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South Korea's rapidly declining population on its defense capabilities and suggests policies to design military manpower system for sustainable defense. The rapid population decline is adversely affecting the entire military manpower system of R.O.K. based on the conscription system. As a result, we are focusing on solving the shortage of military resources from the quantitative perspective, including the supply and demand of military resources. In addition to that, I believe that in order to increase combat capability, we must simultaneously improve the quality of defense personnel. To meet this end, I propose a through review of the demand for military personnel, total defense manpower management system, introduction of a contractual soldier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job security of professional soldiers as major policy desig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구감소시기 강한 국방을 위한 병역제도 설계 = Designing military manpower policies for a strong defense in a time of demographic decline : 군인력 정책의 질적 전환을 위한 제안 김신숙 p. 7-32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에 대한 국제법적 대응책 검토 = Revisiting international legal response to North Korea’s cryptocurrency heist : enhancing cyber deterrence through hacking-back : 해킹백을 통한 사이버 억지력 제고 김자희, 이경민 p. 33-63

국방혁신 4.0과 연계된 육군의 혁신전략 = The ROK Army’s innovation strategy linked to defense innovation 4.0 이강경, 김금률 p. 65-99

김정일의 당에서 김정은의 당으로 = From Kim Jong Il’s party to Kim Jong Un’s party : a study on changes in composition of WPK 7th Politburo : 조선로동당 7기 정치국 인선변화 연구 이준희 p. 101-157

국내 방위산업의 ESG 경영 현황과 개선 방안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ESG management in the South Korean defense industry 이동현, 곽호승, 송인규 p. 159-191

인공지능(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함 무기효과 추정방안 연구 = A study on estimation of naval weapon effec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김선준, 노상현, 김종헌 p. 193-222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민성. (2023. 5. 11.). “7년 뒤 병역자원 반토막…복무기간 18→24개월 연장, 여성 징병제고려해야.” TV조선 뉴스 . (검색일: 2023. 6. 1.).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5/11/2023051190186.html. 미소장
2 국방부. 「국방개혁에관한법률」. (법률 제19073호, 2022. 12. 13., 일부개정). 미소장
3 국방부. 「임기제부사관제 운영규정 개정」(대통령령 제31799호, 2021. 6. 22.,전부개정). 미소장
4 국방부. (2022). 2022 국방 양성평등 통계 . 미소장
5 국방부. (2023. 3. 28.). “국방부 국회인구특위 업무보고.” 인사이트 미소장
6 김관용. (2023. 5. 28.). “병력 40% 축소 불가피…2040년대 국군의 모습은?.” 이데일리 .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18/0005495665?cid=1064733. (검색일: 2023. 6. 1.). 미소장
7 김승욱. (2023. 7. 8.). “인구절벽 직면한 군, 관련법 ‘상비병력 50만명 목표’삭제.”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30708030700504.(검색일: 2023. 7.8.). 미소장
8 김신숙. (2020).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 서울: 메디치. 미소장
9 김신숙・박형준. (2016). “병역 대체복무제도의 변동과정고찰과 변화 요인분석.” 국정관리연구 제11권 제3호. pp. 85-115. 미소장
10 김태훈. (2015. 7. 16.). ““군대 가고 싶어요”… 입영 적체 현상 심각.” SBS 뉴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076509&plink=COPYPAS TE&cooper=SBSNEWSEND. (검색일: 2023. 6. 1.). 미소장
11 박수윤. (2023. 6. 13.). “소령, 중령 진급 못해도 50세까지 복무…정년 5년 연장.”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30613113100504.(검색일: 2023. 6. 15.). 미소장
12 박진수. (2022). “인구감소시대 대안적 병역제도 연구: 모병제와 여성징병제 쟁점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65권 3호. pp. 237-270. 미소장
13 신다윗・정철우. (2016). “미국 예비군의 발전 사례를 통한 한국 예비전력 정예화를 위한 제언.” 주간국방논단 . pp. 16-54. 미소장
14 이병철. (2023. 3. 3.). “군, 국방혁신 4.0 기본계획 발표.” 조선일보 . 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2023/03/03. (검색일: 2023. 6. 1.). 미소장
15 이웅. (2017). “한국군 병역제도 유형에서의 인력활용 효율성 향상 방안 연구: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제17권 1호. pp. 1-32. 미소장
16 이학기 외. (2018). “기술발전으로 인한 업무 자동화와 일자리 대체 가능성 추정 및 정책방안 연구.” 기본연구 제18권 3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소장
17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2. 12. 28.). 보도자료: 인구구조 변화와 대응방안. 미소장
18 조관호. (2019). “미래 병력운영과 병역제도의 고민.” 주간국방논단 . pp. 1-15. 미소장
19 조현숙. (2022. 2. 11.). “저출산 후폭풍…5년새 대학생 24% 병역대상 30% 줄어든다.” 중앙일보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7269#home (검색일: 2022. 10. 3.). 미소장
20 하채림・이상현. (2023. 3. 23.). “초급간부, 지원 반토막에 이직급증… 병 보수 인상에 심화우려(종합).”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30323067151504.(검색일: 2023. 6. 1.). 미소장
21 홍석희・김진. (2023. 3. 29.). “인구대책 가져오랬더니…“현역판정 늘리겠다”는 국방부.” 헤럴드경제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328000124. (검색일: 2023. 6. 1.). 미소장
22 Haltiner, K. W. (1998). “The Definite End of the Mass Army in Western Europe?.” Armed Forces & Sociology, Vol. 25, No. 1. pp. 7-36. 미소장
23 McConville, James C. (16 February 2021.). “People First: Insights from the Army’s Chief of Staff.” U.S. Army. https://www.army.mil/article/243026/people_first_insights_from_the_armys_chief_o f_staff. (검색일: 2023.6.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