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중점 개정 내용에 적합한 유아중심, 놀이중심의 유아교육이 안착될 수 있도록 놀이자료의 지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 지원을 돕기 위해 제작된 놀이운영사례집 5종에서 총 155개의 놀이사례를 대상으로 놀이자료를 분석하여 10가지 대항목으로 유목화하였다. 연구결과: 일상 사물 항목에서는 책상, 의자 그리고 음식모형과 공, 자연물・자연현상 항목에서는 나뭇가지와 햇빛, 블록 항목에서는 종이벽돌블록이 많이 사용되었다. 미술재료 항목에서는 다양한 재질의 종이와 가위, 재활용품 항목에서는 종이박스와 휴지심, 책 항목에서는 관심사와 관련된 책이나 종이접기 책이 자주 등장하였다. 악기 항목에서는 실로폰과 핸드벨, 수학・과학적 탐구자료 항목에서는 돋보기와 줄자, 시청각 매체 영역에서는 유아의 얼굴 사진과 놀이 영상, 몸・신체 항목에서는 온 몸과 손이 놀이자료로 자주 활용되었다. 요약 및 논의: 유아의 놀이에서 놀이자료의 개수나 종류가 많이 필요한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사물 뿐 아니라 유아의 신체나 자연현상도 놀이자료로 사용되었다. 또한 구조화된 놀이자료와 비구조화된 놀이자료가 얽혀서 활용되었으며, 우연히 만난 놀이자료로부터 새로운 놀이가 생성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취지에 맞는 놀이자료 기준이 새롭게 개편되고 다양한 종류의 놀이자료를 열린 공간에서 열린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놀이자료 구입절차가 간소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육실습학기제 도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teaching practicum semester system 정혜영, 김미진 p. 153-186

한 교사교육자의 금융투자 교육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a teacher educator's financial investment education experience 이동성 p. 187-213

영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이은정, 신현정 p. 215-230

남아메리카 고등교육 기회 불평등 비교분석 = A study on inequality of opportunities in higher education in South America : focusing on trends in higher education enrollment rates by income level : 소득계층별 고등교육 등록률 변화를 중심으로 정이현, 고장완 p. 251-274

소나무반 유아들이 함께 만들어 가는 놀이공간 이야기 = Sonamu classroom story about young children's co-created playful places 심세은, 이경화 p. 25-48

지체장애학생의 우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elf-esteem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 p. 231-249

대학생 주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gen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기희경, 김정섭 p. 49-75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괴롭힘에 대한 적극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s' active coping with bullying : moderated mediating roles of psychological hardiness and friendship quality : 심리적 강인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세현, 이동형 p. 77-100

청소년 시기 학업적 자아개념의 종단적 변화와 학업스트레스, 부모 학업지원의 동시효과 분석 = Longitudinal changes in self-concept during adolescence and concurrent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parental academic support 하유경, 조한익 p. 275-302

마을과 연계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구성원의 의사결정 과정 분석 = Analysis on decision-making process of participants in operating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linked to village : focusing on the case of Hongsung Turtle Village : 홍성거북이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정, 김은경 p. 101-128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 Understanding teacher praxi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ing on Bhaskar’s critical realism : Bhaskar의 비판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손유진, 정혜영 p. 1-23

ChatGPT관련 국내 언론보도 기사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press coverage on ChatGPT using text network analysis :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김시현, 양성훈 p. 303-328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운영사례집에 나타난 놀이자료 분석 = A study on analysis of play materials according to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focusing on play operation casebooks 김은주, 이가은, 김정미 p. 129-151

중학교 음악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education 김은지, 양성관 p. 329-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