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한강 대권역의 물 공급량과 수요량 분석을 통해 시공간적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물관리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도권과 같은 인구 밀집지역에 대한 물 수요와 공급 차의 공간적 변화를 통해, 토지이용 및 인구변화, 물 소비 관련 정책변화를 살펴보고 물 부족 현상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와 토지이용 변화가 물 수요와 공급 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이한 변화를 보이는 서울, 성남, 용인의 공급과 수요 차 추세를 분석한 결과, 주요 영향 요인이 토지이용과 인구변화, 물 소비 패턴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water supply and demand changes in space and time in the Han River region and suggested water management policies to addr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By examining the spatial changes in the gap between water demand and supply in highly populated areas such as the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diagnosed the water shortage phenomenon caused by changes in land use, population, and water consumption policies. This study found that land use and population changes a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water demand and supply balance. By investigating the gap trends in Seoul, Seongnam, and Yongin regions that showed abnormal changes,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factors as land use, population change, and water consumption patter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함평만 갯벌 지형분류와 식생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landform classification of tidal flat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Hampyeung Bay 김일룡, 문새로미, 김남신 p. 1-12

한강 대유역권의 수량 공급량과 수요량 시계열 분석을 통한 영향요인 파악 =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f water supply and demand in the Han River watershed area 정필모, 천금성, 김장수, 권혁수 p. 13-27

국내 무슬림이주민의 공간분포 특성 분석 =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uslim immigrants in Korea 이소현 p. 28-38

강원특별자치도 합계출산율 현황과 지역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of total fertility rat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Gangwon state 박건영 p. 39-54

강릉 용연계곡 스텝-풀(step-pool) 지형의 형태적 특징 = Characteristics of step-pool morphology in Yongyeon Valley, Gangneung-si 안성기, 최광희, 이찬주 p. 55-68

역사문화경관을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s for promoting tourism using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 focused on the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at Osan City with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 Site :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를 중심으로 홍경옥 p. 69-86

코로나19의 전파 네트워크에 근거한 강원도 시군의 방역권역 설정 = Establishment of quarantine area for local governments in Gangwon-do based on COVID-19 홍길종, 정승민, 임채윤, 배선학 p. 87-101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유휴공간 활용 방안 = Methods for utilizing idle space to respond to local extinction crisis : a case of Chuncheon-si : 춘천시를 사례로 이나영 p. 102-121

제주 돌문화경관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for nomination of Jeju stone cultural landscape as a World Heritage Site : focusing on the keyword ‘volcano’ : ‘화산’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주연, 정광중 p. 122-138

공간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원터마을과 방초정의 장소성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the placeability of Wonteo Village and Banchojeong using space storytelling 이명숙 p. 139-155

우리나라 7대 특별시 및 광역시 중심의 도시세력권 변화 =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sphere of influence in Korea metropolitan city 곽병조, 정환영 p. 156-175

역사문화유적 트레킹을 통한 관광자원 활성화 방안 = Research to vitalize tourism resources through trekking of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 centered on Queen Inhyeon-gil of Cheongamsa Temple in Gimcheon-si : 김천시 청암사 인현왕후길 중심으로 김홍길 p. 176-188

세계문화유산 서원입지의 풍수지리 연구 = Analysis of feng shui geography of World Cultural Heritage Seowon location : focused on Seowon in Yeongnam Region : 영남지역 서원을 중심으로 박재락 p. 189-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