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8년 평창동계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 후 정부는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5년이 지난 현재 국내 장애인 생활체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장애인체육의 선진국인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가 나가야 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나라 정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와 누리집, 논문을 중심으로 생활체육 주요 정책 및 참여율, 프로그램 및 시설, 지도자 양성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인구를 넓히기 위해서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운동참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자발적 참여를 위한 유인전략을 펼쳐 신규참여자 발굴이 필요하다. 셋째, 종목별로 양성되고 있는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을 세분화하거나 장애인 건강운동관리사 보수교육과 같은 보완이 필요하다. 장애인 생활체육 관련 지원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신규참여자 발굴과 수요자 중심의 지원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는 물론 장애인스포츠 복지 국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사회 기반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한 체육 전공 대학생의 경험 및 방향성 탐색 = The exploration of experiences and direc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in community-base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김환, 김지태 p. 19-34

대학생의 특수체육 교육기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Narrative inquiry on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donation for education'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이유민, 김동한, 이혁기 p. 35-49

장애인 가족의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family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water leisure sports experience 황상현, 노형규 p. 51-67

학습자 중심 기반의 체육수업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건강체력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lea[r]n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the health related fitn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정정환, 김경진 p. 69-82

스마트 미러 운동기기를 활용한 8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n 8-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using a smart mirror device on health-related fitness in elder 홍상민, 김지태, 김환, 김욱 p. 83-98

노인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헬스 리터러시 분석 = Analysis of health literacy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 older adults 김태형, 김춘종 p. 179-191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특수체육 초임지도자의 강화기법 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techniques by novice instructor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승희, 허진영 p. 115-124

지체장애 청소년 지도자의 피지컬 리터러시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physical literacy in youth leaders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구교만, 김춘종, 윤석민, 오아라, 김경진, 변정균, 서건우, 서은철, 김재화, 김도윤 p. 99-114

국내·외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 모색 = The seek of implicating points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sport for all for people with disability : based on the case study of Korea, France, China and Italy : 한국,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김권일, 정이루리, 진주연, 김인애 p. 125-141

장애인 엘리트 수영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전략 연구 = A study on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sports performance in disabled elite swimmers 안승옥, 김민지, 이재원 p. 143-163

파크골프 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culture of park golf clubs 안찬우, 정현, 김예진 p. 193-206

보행 로봇을 이용한 4주간의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신체구성, 기초체력, 보행능력 및 하지근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4 weeks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with robotic assisted o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fitness, gait ability and lower muscle strength in subacute stroke patients 이문진, 이승복, 조영희, 김수미, 김윤호, 문광태, 김종배 p. 165-178

예비초등교사의 장애학생 체육 지도 경험 탐색 = Exploring pre-prim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김방출, 한동기 p.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