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조선 초기 예악 정비의 과정을 고제의 구현이나 민족적 주체성의 발현이라는 측면에서만 이해하였던 기존 연구와 달리, 세종과 세조가 음악의 본질적 특징인 심미성이나 정서적 기능 또한 중요하게 여기며 나라의 음악을 마련하였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조선 초기 왕가에는 일상에서 음악을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대군들에게 악기를 배우고 음악을 가까이하기를 장려하였다. 이러한 시대 분위기를 바탕으로 세종과 세조를 비롯한 여러 대군이 음악적 소양을 기를 수 있었으며 이후 이들이 주축이 되어 나라의 음악을 만들 수 있었다.
세종은 아악을 만드는 과정에서 회례에 연행될 음악은 음률이 맞아야 하며 눈과 귀를 길러 사람의 마음을 흥기 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곧 음악이 미적 요건을 갖추어 청자의 정서적 작용을 일으켜야 한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의례에서 어떤 음악을 연향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도 사상적 기준만을 따른것이 아니라 심미적 기준에 의해 결정을 내린 사례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보면 세종은 음악 본연의 심미적 특징과 정서적인 기능을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음악관은 신악의 창제로 이어졌다. 세종이 재위 말기에 창제한 신악은 고려 전래의 향악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창작되면서 적층적으로 형성된 고려 향악의 예술적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
세조는 유가의 악론에 제한받지 않고 폭넓고 유연하게 음악을 사유하였으며 음악을 통한 정서적 넓게 표현을 인정하는 음악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아악이었던 기존 종묘제례악을 세종 신악 중 하나인 《보태평》·《정대업》으로 개정하였는데, 이 두 곡은 악장 형식, 기악대강, 장단에 있어서 다양한 양식의 악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면서도 앞뒤로 인입곡(引入曲)과 인출곡(引出曲)을 배치하여 하나의 작품이 되도록 짜여있다. 세조가 시행한 종묘제례악 개정은 단일 양식의 음악에서 다양한 양식의 음악으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예술성을 갖춘 신악이 종묘제례악으로 오늘날까지 이르게 된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에서 세종과 세조는 제례작악(制禮作樂)의 과정에서 사상과 이념뿐 아니라 음악의 예술적 내용도 고려하여 음악을 만들어 나갔다. 직접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을 깊이 이해했던 세종과 세조는 음악의 심미성과 정서적 기능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들의 주도로 진행된 조선 초기 음악 정비 과정은 사상적인 면뿐 아니라 예술적인 면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