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조선 초기 예악 정비의 과정을 고제의 구현이나 민족적 주체성의 발현이라는 측면에서만 이해하였던 기존 연구와 달리, 세종과 세조가 음악의 본질적 특징인 심미성이나 정서적 기능 또한 중요하게 여기며 나라의 음악을 마련하였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조선 초기 왕가에는 일상에서 음악을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대군들에게 악기를 배우고 음악을 가까이하기를 장려하였다. 이러한 시대 분위기를 바탕으로 세종과 세조를 비롯한 여러 대군이 음악적 소양을 기를 수 있었으며 이후 이들이 주축이 되어 나라의 음악을 만들 수 있었다.

세종은 아악을 만드는 과정에서 회례에 연행될 음악은 음률이 맞아야 하며 눈과 귀를 길러 사람의 마음을 흥기 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곧 음악이 미적 요건을 갖추어 청자의 정서적 작용을 일으켜야 한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의례에서 어떤 음악을 연향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도 사상적 기준만을 따른것이 아니라 심미적 기준에 의해 결정을 내린 사례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보면 세종은 음악 본연의 심미적 특징과 정서적인 기능을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음악관은 신악의 창제로 이어졌다. 세종이 재위 말기에 창제한 신악은 고려 전래의 향악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창작되면서 적층적으로 형성된 고려 향악의 예술적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

세조는 유가의 악론에 제한받지 않고 폭넓고 유연하게 음악을 사유하였으며 음악을 통한 정서적 넓게 표현을 인정하는 음악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아악이었던 기존 종묘제례악을 세종 신악 중 하나인 《보태평》·《정대업》으로 개정하였는데, 이 두 곡은 악장 형식, 기악대강, 장단에 있어서 다양한 양식의 악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면서도 앞뒤로 인입곡(引入曲)과 인출곡(引出曲)을 배치하여 하나의 작품이 되도록 짜여있다. 세조가 시행한 종묘제례악 개정은 단일 양식의 음악에서 다양한 양식의 음악으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예술성을 갖춘 신악이 종묘제례악으로 오늘날까지 이르게 된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에서 세종과 세조는 제례작악(制禮作樂)의 과정에서 사상과 이념뿐 아니라 음악의 예술적 내용도 고려하여 음악을 만들어 나갔다. 직접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을 깊이 이해했던 세종과 세조는 음악의 심미성과 정서적 기능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들의 주도로 진행된 조선 초기 음악 정비 과정은 사상적인 면뿐 아니라 예술적인 면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소셜 시대에 지역학으로서 음악학은 아직 유효한가? = Is ‘musicology as regional studies’ still valid in the post-social era? 전지영 p. 7-17
여주 집단 민속놀이의 복원 배경과 지역적 향유 양상 = Restoration background and regional enjoyment of Yeoju group folk games : focusing on the Ssangyonggeojuldarigi in Heunam-ri : 흔암리 쌍용거줄다리기를 중심으로 노복순 p. 19-43
충청지역 민요의 연구현황 및 토리 이론 재검토 = A review of the research status and tory theory of folk songs in Chungcheong Province 이성초 p. 45-65
18~20세기 충남지역 판소리의 전개 = Development of Pansori in Chungcheongnam-do in the 18th and 20th centuries 최혜진 p. 67-86
이말량·허순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 풍류의 전승 양상 = Transmission aspects of the Yeongnam region-Pungryu focusing on Lee Mal-ryang·Heo Sun-gu's Pungryu 강혜진 p. 87-113
17~18세기 원곡 <영산회상>의 변이 고찰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17th and 18th century original song <Yeongsanhoesang> :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을 중심으로 이혜정 p. 327-342
경상도 지역 메나리토리의 쟁점 = Issues in menaritori in Gyeongsang Province 소영 p. 115-136
강릉관노가면극에 대한 음악학적 접근 = A musicological study on the Gangneung Gwanno Mask Drama 임혜정 p. 137-152
국창 권삼득 기념사업의 전개 양상과 추후 과제 =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patterns and future challenges of Gukchang Kwon Sam-deuk's promotion projects 김정태 p. 153-177
국립중앙박물관소장 『금보(琴譜)』의 기보 체계와 수록 악곡 = Notation system and music included in Geumbo (琴譜)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송혜진 p. 179-202
사물놀이 악기 구음 연구 = A study on the Gueum of Samulnori instruments 이상규 p. 269-306
무령왕릉 미확인 출토 유물에 대한 음악학적 접근 = A musicological approach to unidentified artifact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 consideration on the existence of string instruments : 현악기 존재 여부에 관한 고찰 이장원 p. 307-326
조선 초기 예악의 또 다른 지향, ‘興起人心’ = Another orientation of early Joseon court music, ‘stimulating the people’s heart’ 임영선 p. 343-370

현대 국악 음고 이론의 ‘합리화’ 경향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tendenc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itch-related theories in the modern era 장인종 p. 371-390
『시용향악보』 고려가요의 수록배경 추론 = Inferences to the background of Goryeo songs on Siyonghyangakbo : focusing on <Sangjeoga>, <Pungipsong>, and <Yasimsa> : <상저가>, <풍입송>, <야심사>를 중심으로 윤아영 p. 223-240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사설시조의 양상 = The aspects of the Sasulsijo contained in the phonograph records 양지인 p. 203-221
<어랑타령> 考 = A review of <Eorang-taryeong> 이도현 p. 241-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