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수준 변수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집단수준 변수인 학교 관련 요인이 유해매체 접촉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7년 청소년보호 및 복지서비스 이용에 관한 조사의 1,847명의 청소년과 75개 학교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모형 분석 결과,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이 학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조건모형 분석 결과, 개인수준 변수인 성별, 연령, 부모의 자녀 존중이 유해매체 접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에 비해 남성이 유해매체에 많이 접촉하는 반면, 부모가 자녀를 존중할수록 유해매체 접촉이 감소하였다. 집단수준 변수인 문제행동에 대한 친구들의 제어가 많을수록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 감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We analyzed the effects of adolescents' individual-level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roup-level variables (school-related factors) on exposure to harmful media using a multilevel model. We used 1,847 adolescents and 75 schools from the 2017 Youth Protection and Welfare Service Use Survey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null model analysis,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media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As a result of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parental respect for children affect exposure to harmful media. Compared to females, males had more exposure to harmful media. However, exposure to harmful media decreased as parents respected their children. As peers’ control over problem behavior, which is a group-level variable, increased,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media de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al support measures to reduce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medi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 비대면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 A study on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the youth arts and culture online program : focusing on SM Entertainment SMile Music Festival : SM엔터테인먼트 스마일 뮤직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조수민, 유원선, 박주혜 p. 15-51

코로나19 비상사태 종료 후 청소년의 마스크 쓰기 행동 지속 문화에 대한 동기 유형 및 특성 연구 = Motivational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mask-wearing behavior after the conclusion of the COVID-19 emergency 김민아, 곽승철, 차유진, 송원영 p. 53-79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on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moderated by emotion dysregulation : 정서조절곤란으로 조절된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 박라임, 송미경 p. 81-109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학교 관련 요인이 청소년의 유해매체 접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chool related factors on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media : a multilevel analysis 유승희 p. 111-137

학교폭력 보도에 대한 담론 분석 = Discursive analysis on reports of school violence : centralization and limitation of communication by discussion system : 토론체계에 의한 소통 집중화와 제한 이준엽 p. 139-170
학대 및 방임이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investigating group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and non-academic cohorts : 학업형·비학업형 집단 간 차이 탐색 조혜민, 전종설 p. 171-207
개념도 방법론을 활용한 SW·AI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 Adolescents perceptions of SW·AI education program effectivenes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황유빈, 송다인, 엄정혜, 강민지, 이하림, 박선웅, 양은주 p. 209-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