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가네시로 가즈키 문학은 주류(중심) 사회를 향한 마이너리티의 복수와 혁명을 서사화한다. 주류(중심)사회를 상대화하는 각종 대항 논리를 통해 견고한 ‘벽’에 균열을 가하는 형식이다. 타자화된 마이너리티들이 주류(중심)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안티테제로 기능함을 보여준다. 마이너리티가 ‘올바른 일’을 한다는 가치관, 즉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사회적 ‘벽’과 부딪히며 험한 꼴을 당하더라도 ‘부서진 세계’에서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실천한다. 마이너리티들은 권력화된 국가와 민족주의, 사회적 이데올로기의 “세계에 넘쳐나는 부조리와 불공평에 대항해 있는 힘을 다해 대결하고 싸우는” 주체적 자의식을 보여준다. 거기에 작가 특유의 현실주의와 엔터테인먼트, 리드미컬한 문체는 가네시로 문학의 독창성과 대중성을 담보하는 기재가 된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재일 코리안 ‘박순신’은 그러한 ‘올바른 일’의 복수와 혁명의 중심에 위치한다. 복수/혁명의 리더로서 주류사회를 상대화하는 마이너리티의 주체적인 존재감을 ‘신체성’으로 보여준다. 소설 『GO』를 비롯해 『SPEED』, 『RUN BOYS RUN』, 『플라이, 대디, 플라이』에서 부조되는 마이너리티(재일 코리안, 오키나와 출신, 홋카이도 출신, 혼혈아)의 역동적 움직임은 권력화/계급화된 사회적 ‘부조리와 불공평에 대항’하는 자의식의 표상이다. 그것은 주류사회에 ‘안티테제’로서 기능하는 타자화된 비주류/주변의 목소리인 것이다.
金城一紀文学は主流(中心)社会を向けたマイノリティーの復讐と革命を物語化する。主流社会を相對化する様々な對抗論理を通して堅固な「壁」に龜裂を加える形式である。他者化されたマイノリティーが主流社会を變化させうるアンチテーゼとして機能するありさまを見せる。マイノリティーが「正しいこと」をするという價値觀, 即ちどうなるかわからないが、社會的「壁」と向き合いながら厳しいことがあっても、「壊れた世界」で何か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考えを實踐する。マイノリティーは勸力化した國家と民族主義、社會的イデオロギの「世界に溢れる不條理と不公平に對抗し、尽力して對決し戦う」主體的自意識を見せる。そこに作家特有の現實主義とエンターテイメント、リズミカルな文體は金城一紀文学の獨創性と大衆性を擔保する機制となる。作品に登場する在日コリアン「朴舜臣」はそのような「正しいこと」の復讐と革命の中心に位置する。復讐/革命のリーダとしての主流社会を相對化するマイノリティーの主體的な存在感を「身體性」としてみせる。小說『GO』を始め、『SPEED』, 「ラン、ボーイズ、ラン」, 『フライ,ダディ,フライ』に浮彫されるマイノリティー(在日コリアン, 沖縄出身, 北海道出身, 混血兒)の力動的動きは勸力化/階級化された社會的「不條理と不公平に対抗」する自意識の表象である。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일제강점기 심묘(心畝) 김창환(金彰桓)의 예술 연원과 작품 분석 = 日帝强占期の心畝金彰桓の芸術淵源と作品分析 | 조정래 | p. 5-31 |
|
|
전후 미일(美日) 교배의 서사화 = 戦後における日米<交配>の物語化 : 小島信夫 『抱擁家族』を中心に : 고지마 노부오 『포옹가족』을 중심으로 | 강우원용 | p. 33-62 |
|
|
북송재일동포 일본인 처의 적응과 실천 = 北朝鮮に移住した日本人妻の適応と実践 | 이주희 | p. 63-89 |
|
|
1980년대 재일조선인 사회의 민족교육과 변화 = 1980年代の在日朝鮮人社会の民族教育とその変化 : 『三千里』,『民涛』の議論を中心に : 『삼천리(三千里)』, 『민도(民涛)』의 논의를 중심으로 | 신재민 | p. 91-123 |
|
|
가네시로 가즈키의 탈민족적 글쓰기와 엔터테인먼트 = 金城一紀の脱民族的なナラティブとエンターテイメント : 『フライ、ダディ、フライ』/『GO』を中心に : 『플라이, 대디, 플라이』/『GO』를 중심으로 | 김환기 | p. 125-144 |
|
|
재일코리안 집중거주 지역의 민족학급 = 在日コリアン集住地域の民族学級 : A小学校を中心に :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정성희 | p. 145-167 |
|
|
독일/유럽 사례로 본 동아시아 사회통합 과제의 시사점 = ドイツとヨーロッパの事例からみた東アジアの社会統合のための示唆点 | 정진헌 | p. 169-191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