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이문열의 「필론과 돼지」와 오에 겐자부로의 「人間の 羊」의 배경인 기차, 버스 등의 폐쇄공간에서 벌어지는 권력과 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상호관계를 역사 변화의 연속성으로 탐색하고 소설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로 변화하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모빌리티 공간에서 일어나는 인물의 행동과 사건의 전개는 의미확장을 통해 사회구조와 역사성의 일면을 알레고리화 한다. 결말에 나타난 주인공의 의식과 스토리 구조를 탐색하여 폐쇄공간의 역동성과 순환성 구현 양상을 탐색하면 역사와 현실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고찰할 수 있다. 소설적 시간에서 일련의 단절 혹은 불연속성으로 드러나는 기차와 버스 등의 폐쇄공간은 단순히 이동 수단을 넘어 역사의 반복과 순환의 알레고리를 형성하며 새로운 권력에 의해 사회구조와 이데올로기가 재편성되는 역사의 속성을 나타낸다. 역사 공간에 대한 모빌리티 연구가 민중 의식을 다룬 역사소설 분석의 스펙트럼 확장과 다각적 연구 방법론 제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この記事は、イ・ムンヨルの「フィロンと豚」と大江健子郎の「人間の羊」の背景である電車、バスなどの閉鎖空間で起こる権力と暴力、加害者と被害者の相互関係を歴史変化の連続性で探索し、小説の空間がヘテロトピアに変化する様相を考察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モビリティ空間で起こる人物の行動と事件の展開は、意味拡張を通じて社会構造と歴史性の一面をアレゴリズム化する。結末に現れた主人公の意識とストーリー構造を探索し、閉空間のダイナミクスと循環性の実装面を探索すれば、歴史と現実に対する作家の認識を考察することができる。小説的時間で一連の断絶あるいは不連続性にあらわれる列車やバスなどの閉空間は、単に移動手段を越えて歴史の繰り返しと循環のアレゴリを形成し、新しい権力によって社会構造とイデオロギーが再編成される歴史の属性を示す。歴史空間のモビリティ研究が民衆意識を扱った歴史小説分析のスペクトル拡張と多角的研究方法論の提示に寄与することを期待する。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의 서학 수용과 중국철학 = 近代中国における西洋研究の受容と中国哲学 윤지원 p. 9-32

17세기 조선 지식인의 재난 기록과 재난 지식 경영 = 17世紀の朝鮮知識人の災難記録と災難知識経営 : 明谷崔錫鼎の疏箚類散文を中心に :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의 소차류(疏箚類) 산문을 중심으로 김묘정 p. 33-60

동아시아 학계의 『韻鏡』 연구 성과 분석 = 東アジア学界の『韻鏡』研究成果分析 : 文献学的研究を中心に : 문헌학 연구를 중심으로 배규리 p. 61-84

막말・메이지기 왕정복고와 신사의 창건 = 幕末・明治期における王政復古と神社の創建 : 楠公社における忠臣顕彰を中心に : 남공사(楠公社)를 통한 충신현창을 중심으로 이충호 p. 89-118

태평양 전쟁기 해군혼(海軍魂)의 탄생과 전파 = 太平洋戦争期海軍魂の誕生と伝播 김준배 p. 119-143

우메하라 다케시(梅原猛)의 반전평화주의 = 梅原猛における反戦平和主義 : 「平成」の文化的背景を中心に : 헤이세이(平成) 문화지형과 종교 담론을 중심으로 남휘정 p. 145-165

최정희의 『정적기』 재게재에 나타난 주체성의 변형 = 崔貞熙の『静寂記』再掲載に現れた主体性の変形 : 「三千里文学」版と「文化朝鮮」版の比較を中心に : 『삼천리문학』판과 『문화조선』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지혜 p. 169-190

전간기 공상 전쟁 기록의 서사성과 그 의미 = 戰間期、空想戰爭記録の敍事性とその意味合い : 『小說 日米戦争未来記』(1920)を中心として : 『소설 미일전쟁 미래기(小説 日米戦争未来記)』(1920)를 중심으로 이민희 p. 191-215

현대소설 공간에 나타난 모빌리티 양상 = 現代小説空間に現れたモビリティ面 : イ・ムンヨルの「フィロンと豚」と大江健子郎の「人間の羊」を中心に : 이문열의 『필론과 돼지』와 오에 겐자부로의 『人間の 羊』을 중심으로 김영선, 김태수 p. 217-235

韓国と日本のESGやSDGsへの社会的関心や実態研究 = 한국과 일본의 ESG·SDGs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실태 연구 : 2023년 7월을 기준으로 : 2023年7月を基準として 李美淑 p. 239-263

「薄い」の意味拡張の動機付け =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본 ‘usui’의 다의구조 : 認知意味論の観点から 金容美 p. 265-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