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한국 신도시 거주자들이 서사하는 주거경험과 자기인식을 통해 그들의 주거실천을 지배하고 있는 강남식(式) 도시주의의 정동과 그 균열을 살펴본다.강남식 도시주의는 한국 도시화의 역사적 과정에서 1960~1970년대에 기안된 중산층 주거지 모델의 정책적 기획, 아파트 단지와 신도시 건설 위주의 주택공급 제도, 그와 맞물려 팽창한 투기적 도시화의 장에서 시민들의 집합적 주거실천이 맞물린 이데올로기적 구조화의 산물이다. 주거경험을 연구대상으로 주목했던 것은, ‘신체적’감각과 수행으로서의 주거실천이 강남을 이상적 주거공간 모델로 전제하는 이데올로기적 구조를 확대·재생산하는 정동의 동력이기 때문이다. 이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33개 사례의 자기서사를 분석하여, 주거실천 과정이 개인을 투기적 주체로 정향하는 정동적 메커니즘을 밝혔으며, 그들의 진술 속에서 투기적 주체성의 이면에 존재하는 강남 지향의 지배적 도시주의의 한계와 균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rough the autoethnography of residential experiences and self-perceptions of residents of new towns in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affection of Gangnam urbanism that dominates their residential practices and its fractions.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Korean urbanization, Gangnam urbanism was developed as the complex consequence of the ideological structuring of the policy planning for the middle-class residential model conceived in the 1960s and 1970s, the housing supply system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and new towns, and the collective housing practices of citizens in the field of speculative urbanization that expanded in parallel. The reason for focusing on residential experience as a research object is that residential practice as a ‘bodily’ sensation and performance is an affective force that amplifies and reproduces the ideological structure that presupposes Gangnam as an ideal residential space model. By analyzing the autoethnographic narratives of 33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reveals how the process of housing practice reorients individuals as speculative subjects, the affective mechanisms that orient individuals as speculative subjects, and identify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of fractures in the dominant Gangnam urbanism that exist behind speculative subjectivity in their statement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