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피동과 비피동 = A study on the passive and non-passive in Korean :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passive sentences : 피동문의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
김영일
|
p. 1-16
|
|
|
|
한국언어문화교육과 한류의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Hallyu
|
한승규
|
p. 17-27
|
|
|
|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의성 간의 관계 연구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creativity in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
김수연
|
p. 29-40
|
|
|
|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거절 화행 전략 사용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the use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strategies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
강미함
|
p. 41-52
|
|
|
|
한국어 ‘아무도’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A study on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Amudo'
|
전소영
|
p. 53-66
|
|
|
|
메타버스 공간에서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group counseling experience in metaverse space
|
선혜연, 정여주, 김예지, 김희주, 박예린, 이애선
|
p. 67-83
|
|
|
|
생성형 AI 챗봇의 혼합주도적 상호작용에 따른 학습 효과와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s and user experience of mixed-initiative interactions in generative AI chatbots
|
양나은, 오창훈
|
p. 85-98
|
|
|
|
메타버스 연계 진로교과목 운영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metaverse-linked career courses
|
강미영, 김경이
|
p. 107-118
|
|
|
|
숏폼 콘텐츠 이용 동기와 HEXACO 성격 6요인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short-form content usage motivation and HEXACO model
|
홍명성, 김근향, 신승민, 송상현, 권소현, 조우인
|
p. 119-129
|
|
|
|
대학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연구 = An analysis of community-based project class in university-community linkages : exploring the class effects
|
안미리, 박인심
|
p. 131-143
|
|
|
|
국경을 넘는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인증 동향 탐색 = Exploring accreditation trends to ensure quality in cross-border higher education : focus on accrediting standards and assessment compliance : 인증기준 및 평가 준거를 중심으로
|
박소영
|
p. 145-158
|
|
|
|
대학생의 성찰일지 작성 및 공유에 관한 학습 경험과 교육적 효과 = Learning experiences and student performances of writing and sharing reflection journals among college students : A 대학 교양과목의 강의식 수업 사례
|
조성범
|
p. 159-177
|
|
|
|
실천형 교양교육프로그램으로서 ‘시민교육’의 아포리아 = Aporia of 'citizen education' as a practical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 : problems of conflict of values and search for educational possibilities beyond them : 가치 충돌의 문제와 이를 넘는 교육적 가능성의 모색
|
이병태, 우대식
|
p. 191-203
|
|
|
|
에메 세제르 시의 장소 정체성 연구 = A study on the place identity of Aime Cesaire's poetry focusing on the 『Notebook of a Return to the Country Nataii』 : 『귀향수첩』을 중심으로
|
배옥주
|
p. 205-215
|
|
|
|
아동문학에 나타난 ‘개 캐릭터’의 알레고리 형상화 연구 = A study on the allegory of the 'dog character' in children's literatur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오지애
|
p. 217-231
|
|
|
|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에서 북유럽 신화로 재생된 아포칼립스와 플레이어 경험 = Player experience and apocalypse reproduced through Norse mythology in Assassin's Creed Valhalla
|
조범준, 길태숙
|
p. 233-245
|
|
|
|
“바이킹 네트워크”와 북유럽 ‘문화 네트워크’에 내재된 북유럽 ‘문화 코드’ 연구 = A study on the 'Nordic cultural code' incuded in "Viking network" and the Northern European 'cultural network'
|
황윤영
|
p. 247-258
|
|
|
|
“숙흥야매잠도” 퇴계 독서법의 창조적 계승 = The creative inheritance of Toigye's reading method in Sukheungyamaejamdo
|
김기호
|
p. 259-272
|
|
|
|
GPT를 활용한 중-한 문학번역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hinese-Korean literary translation using GPT : focused on the translation of idioms in the novel "To Live(活著)" : 장편 소설 "인생(活著)"의 관용구 번역을 중심으로
|
류친
|
p. 273-287
|
|
|
|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 재현된 장애인의 완전 통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reproduced in the drama Our Blues
|
김세령, 남세현
|
p. 289-305
|
|
|
|
공공미술을 둘러싼 공동체의 담론 = Community discourse on public art : focusing on R. Serra's 'Tilted arc' : R. 세라의 <기울어진 호>를 중심으로
|
한지희
|
p. 307-317
|
|
|
|
“서편제”의 영화적 특성 = The cinematic characteristics of "Seopyeonje" : 원작 소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희수, 장정렬, 김영학
|
p. 319-329
|
|
|
|
문명에서 다시 신화로 = From civilization back to mythology : rethinking Pom Poko through Nakazawa Shinichi :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의 나카자와 신이치적 해석
|
정환희
|
p. 331-341
|
|
|
|
한국 DTC 유전자검사 규제의 추이와 특성 =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TC genetic testing regulation : the background and impact of the 2015 Amendment to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 2015년 생명윤리법 개정의 배경과 영향
|
김훈기
|
p. 343-357
|
|
|
|
지역문화정책 대상범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bjectives of local cultural policies : focusing on the cultural enjoyment gap : 문화향유 격차를 중심으로
|
전영옥, 장세길
|
p. 359-369
|
|
|
|
경비원 취업 구직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quality of life of security job elderly seeker : focusing on new employee training participants : 일반경비원 신임교육 이수자를 중심으로
|
김정규
|
p. 371-381
|
|
|
|
관광경쟁력이 성평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혁신주도형 국가그룹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factor, efficiency, innovation-driven country groups on the impact of tourism competitiveness on gender equality
|
김준호
|
p. 383-394
|
|
|
|
1인 가구 우울 변화 유형과 자살 생각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depressive change types and suicidal ideation
|
정규형, 우현재, 류주현
|
p. 395-403
|
|
|
|
표현예술치료와 통합예술치료의 융합을 위한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for convergence of expressive arts therapy and integrative arts therapy : focusing on application and practice in med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및 실제를 중심으로
|
이성현
|
p. 405-420
|
|
|
|
반려동물을 상실한 중년여성 1인 가족의 상실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 Thematic analysis on the grief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who have lost their pets
|
김윤희, 양준석
|
p. 421-432
|
|
|
|
간호대학생의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이유희, 문미경
|
p. 433-442
|
|
|
|
첨단 의료기술에 대한 윤리적 쟁점과 첨단 의료기술에 대한 윤리원칙 수립을 위한 예비고찰 = Ethical issues regarding advanced medical technology and preliminary considerations for establishing ethical principles for advanced medical technology
|
김진선, 심지원
|
p. 443-451
|
|
|
|
외상사건 후 치료적 개입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동향 분석 = Analysis of group program trend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after traumatic events : 국내 KCI 등재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04)
|
변은희, 김성봉, 윤혜연
|
p. 453-471
|
|
|
|
일본 근대 초기 초등 교재의 어휘 교육 연구 = A study on vocabulary education in early modern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a focus on "Sekai-shobaiorai" : “세카이 쇼바이오라이(世界商売往来)”를 중심으로
|
최승은
|
p. 473-482
|
|
|
|
음악 산업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음악 교육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tting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music industry : based on topic modeling and PEST-SWOT analysis methodology : Topic Modeling과 PEST-SWOT 분석 방법론을 기반으로
|
권오경
|
p. 483-496
|
|
|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튜브를 활용한 생태소양교육 관련 교과의 플립러닝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n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for subjects related to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using YouTube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yeachers
|
장미연
|
p. 497-508
|
|
|
|
노인의 경제적 수준이 주중과 주말의 여가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conomic status of the older adults on th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weekdays and weekends
|
여소담, 한창근
|
p. 509-519
|
|
|
|
가상박물관 플랫폼을 활용한 DMZ의 문화적 확장성 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cultural expandability of DMZ utilizing virtual museum platforms
|
고경호, 이대철
|
p. 521-532
|
|
|
|
중국대학 신입생의 주체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effect of agency an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level in China university freshman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류루루, 김은빈, 김다영, 정진희
|
p. 533-548
|
|
|
|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에 따른 다문화 중학생의 또래 지지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다문화 수용의 매개효과 = Medi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er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s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
이명선, 김승석
|
p. 549-565
|
|
|
|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communication abil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
김순미
|
p. 567-579
|
|
|
|
한국의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언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ity brand slogans in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initial slogan and the 2023 slogan : 초기 슬로건과 2023년 슬로건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부전
|
p. 581-594
|
|
|
|
문학과 음악의 삼투현상 = Osmosis between literature and music : focusing on Duras's Nathalie Granger and Moderato Cantabile : 뒤라스의 나탈리 그랑제와 모데라토 칸타빌레를 중심으로
|
김은경
|
p. 595-607
|
|
|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삶의 의미 연구 동향 분석 = Analyzing trends in domestic life meaning research using text mining
|
전혜정, 김성봉, 주학
|
p. 609-619
|
|
|
|
김수환 추기경이 추구한 인간 존중 문화에 대한 신학적 고찰 =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culture of human respect pursued by Cardinal Kim Sou-hwan
|
임민균
|
p. 621-635
|
|
|
|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research trends after the COVID-19 pandemic
|
정영인
|
p. 637-647
|
|
|
|
불교적 관점에서 본 분노조절 연구 = A study of anger control from Buddhist perspective
|
김미진
|
p. 649-660
|
|
|
|
풍수 결록서의 종류와 활용 = Types of traditional secret document and its utilization
|
박정해
|
p. 661-672
|
|
|
|
북한이탈주민들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
이재관
|
p. 673-681
|
|
|
|
지각 현상학 이론을 기반으로 중국 동시대 미술의 고찰 = Contemporary Chinese art study based on phenomenology of perception : focusing on the physical expression of the performance art works : 행위예술 작품의 신체적 표현을 중심으로
|
유충신, 이구용
|
p. 683-696
|
|
|
|
UTAUT2 및 TRI 이론을 기반으로 중국 노인 이용자 디지털 미술관 사용 행동에 연구 = A study on the user behavior of Chinese elderly users in digital art museum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UTAUT2 and TRI theory
|
황천
|
p. 697-712
|
|
|
|
‘카운터 모뉴먼트’의 비물질적 특성과 국내외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non-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unter Monument' and its case
|
구윤지, 양태근
|
p. 729-745
|
|
|
|
청소년 회복탄력성 증진 방안 연구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youth resilienc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tegrated art therapy trends : 통합예술치료 동향분석을 중심으로
|
김예지, 윤미라, 심혜경
|
p. 747-759
|
|
|
|
메타버스 젭(ZEP) 기반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영어 학습 모형 개발 = The metaverse Zep-based English language learning for international students : focusing on Korean cultural content : 한국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이현주
|
p. 761-773
|
|
|
|
교육 귀촌의 등장과 그 의미 = The appearance and meaning of educative rural migration : a case study on urban-to-rural migration in Gosan-myeon, Wanju-gun : 완주군 고산면 귀농·귀촌 사례 연구
|
허나겸
|
p. 775-786
|
|
|
|
실용보컬 기초발성과 호흡 훈련의 실기교육 사례 연구 = Practical education case study of basic vocalization and breathing training for pop vocal major students
|
이현숙, 오한승
|
p. 787-800
|
|
|
|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미용교육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style on the attitude of beauty education classes
|
임주하
|
p. 801-809
|
|
|
|
한중일의 정원에 나타난 자연주의 사상과 반영성 = The reflection of naturalistic ideas appeared in the gardens of Korea, China and Japan
|
최배석
|
p. 811-826
|
|
|
|
벨리댄스 전문 공연이 이미지 및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belly dance professional performance value on image and re-viewing intention :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f Ahlan and Sahlan on the 70th anniversary of Egypt's national holiday : 이집트 국경일 70주년 기념 아흘란와사흘란 공연을 중심으로
|
김수산나
|
p. 827-840
|
|
|
|
어머니의 그릿과 자녀의 그릿 간의 종단적 관계 = The lasting impact of mother's grit and a child's grit
|
김지영, 정은정, 정수경
|
p. 841-849
|
|
|
|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학생역량함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PBL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competencies
|
김선영
|
p. 851-862
|
|
|
|
편의점 브랜드 캐릭터의 개발과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nvenience store brand characters : a case study of CU : CU 사례를 중심으로
|
유영재, 김공숙
|
p. 863-877
|
|
|
|
디지털 교육 체제 전환을 위한 교사단의 양성연수 성과 분석 = A study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eacher training for the digital education transformation : focus on AI courseware competency : AI 코스웨어 역량을 중심으로
|
김경리
|
p. 99-105
|
|
|
|
지속가능한 교육 환경으로서 독도 지역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Dokdo region as a sustainable education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ecomuseum : 에코뮤지엄을 중심으로
|
강경리
|
p. 179-190
|
|
|
|
르네 마그리트 작품의 제목 연구 = A study on the titles of René Magritte's works
|
노시훈
|
p. 713-727
|
|
|
|
과수를 활용한 일본의 6차산업화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Japan utilizing fruit
|
전지영
|
p. 879-887
|
|
|
|
사자성어 실사용 현황 및 배경 분석 연구 =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background analysis of actual use of four-character idioms : China People's Daily from 2018 to 2023 : 중국 인민일보 2018년~2023년
|
기유미
|
p. 889-898
|
|
|
|
방과 후 아동교육 현황과 아동교육 지원서비스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status of after-school child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children's education
|
전영환, 차명희, 이미영
|
p. 899-911
|
|
|
|
한국 전통 농기구 호미를 활용한 지역 콘텐츠 개발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local content utilizing the hoe of traditional Korean farming tool : an exploratory study focusing on the popularity of 'Yeongju Daejanggan Homi' : ‘영주대장간 호미’ 인기에 착안한 탐색적 연구
|
권교숙, 김공숙
|
p. 913-927
|
|
|
|
계보학적 관점에서 본 부산 동인발레 = Busan's Coterie Ballet from the perspective of genealogy : based on the notion of 'dispositif of power and resistance' : 권력과 저항의 장치
|
정두순
|
p. 929-944
|
|
|
|
간찰서식집 DB의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ormularies of letters DB
|
김동건
|
p. 945-955
|
|
|
|
대학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llege freshmen's student engagement and self-efficacy on digital citizenship
|
정연재, 주소영
|
p. 957-969
|
|
|
|
대학 인공지능 기반 학습지원시스템 구축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 The needs o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support system in university
|
허선영, 이가영, 지현경, 김명선, 김민지
|
p. 971-980
|
|
|
|
칸트 선험성에 기초한 학교안전정책 체계성 연구 = Systematic study of school safety policy based on Kant's a priori : focusing on the concepts of inevitability and tniversality : 필연성과 보편성 개념을 중심으로
|
표석환
|
p. 981-992
|
|
|
|
중국 고전문학 IP의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P : focusing on the useof "A New Account of Tales of the World" : “세설신어(世說新語)”의 활용을 중심으로
|
최영희, 문현선
|
p. 993-1006
|
|
|
|
온라인 기반 통일교육 프로그램 사례와 평가 = A case and evaluation of online-based unified education programs : focused on unified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 간호대학생을 위한 보건분야 통일교육 프로그램 중심으로
|
김희숙, 이도영
|
p. 1007-1014
|
|
|
|
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한 학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arning competency scale for customized learning support
|
박세진, 이지나
|
p. 1015-1027
|
|
|
|
유튜브 이용 실태를 통한 초등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n analysis of YouTube usage patterns
|
윤주연, 한수영
|
p. 1029-1037
|
|
|
|
아프리카 부룬디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스쿨팜 사업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school farm project of 'Technical High School for Girls Choi Jung Sook' in the Republic of Burundi, Africa
|
양준영
|
p. 1039-1050
|
|
|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특수외국어 학습 방안 연구 = Research on using generative AI to learn critical foreign language : focusing on ChatGPT and the Hungarian language : ChatGPT와 헝가리어를 중심으로
|
이준원, 송은지
|
p. 1051-1066
|
|
|
|
남성 보호자의 관여가 학업영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male guardians' involvemen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cadem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regulation strategies : 인지조절전략의 매개역할에 관한 탐구
|
오혜림
|
p. 1067-1080
|
|
|
|
그림책을 읽고 토의하며 의미 구성하는 활동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Examining the influence of picture book reading, discussion, and meaning construction on students' self-esteem
|
이지영
|
p. 1081-1091
|
|
|
|
대학축구선수들의 지도자신뢰,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과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ach trust, self-esteem, gender sensitivity, university soccer players
|
주창화, 김성훈
|
p. 1093-1102
|
|
|
|
문예회관의 기술 융합 예술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echnology convergence arts education in arts center : focused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echnology : 기술 입은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
양효준
|
p. 1103-1110
|
|
|
|
성격유형(MBTI)별 음악수용 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usic acceptance method by personality type (MBTi) : focusing on the survey of young people : 청년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강신정, 한경훈
|
p. 1111-1126
|
|
|
|
K-pop 걸그룹 뉴진스의 음악에 나타난 모드 선율기법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al melody techniques in the music of K-pop girl group NewJeans
|
유현정, 한경훈
|
p. 1127-1135
|
|
|
|
기혼자들의 성적 평등성이 불륜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간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uple's sexual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s of sexual inequality and of infidelity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 성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
이원준, 이희진
|
p. 1137-1151
|
|
|
|
키스 해링 작품을 응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 A study on art makeup design using artistic works of Kieth Haring : focus on cartoon elements : 만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
정지연, 강은주
|
p. 1153-1162
|
|
|
|
그림자 투사와 부정적인 어머니-콤플렉스 = The shadow projection and negative mother-complex : focusing on the psyche of the male character Clegg in The Collector : “콜렉터”의 남성 인물 클렉의 심리를 중심으로
|
황지혜
|
p. 1163-1174
|
|
|
|
경당일기(敬堂日記)에 나타난 경(敬)의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Gyeong in GyeongdangIlgi
|
윤성호
|
p. 1175-1184
|
|
|
|
패션 아이템의 조합성을 활용한 구성적 해체주의 연구 = A study on compositional deconstructionism using the combination of fashion items
|
김종수
|
p. 1185-1198
|
|
|
|
들뢰즈의 영화 이미지 존재론을 통해 본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붉은 사막” = Analysis of Michelangelo Antonioni's 'Red Desert' through Deleuze's cinematology
|
신원경
|
p. 1199-1213
|
|
|
|
토니 윌리엄스의 재즈 드럼 연주 특징 분석 = Aspects of characterize Tony Williams' jazz drumming : 마일즈 데이비스 퀸텟 So what 음악 중심으로
|
김진홍
|
p. 1215-1229
|
|
|
|
로컬크리에이터의 하이퍼로컬 미디어로서의 역할과 성장 가능성 모색 = Unveiling the potential of local creators in shaping hyperlocal media landscapes
|
곽선혜
|
p. 1231-1239
|
|
|
|
북한지역 작전 시 지형적 난점을 고려한 군수지원 발전방향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opographical difficulties in operation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asputicha and North Korean geography : 라스푸티차 현상과 북한지형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김창준, 박찬영, 박성수
|
p. 1241-1254
|
|
|
|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현대미술과 전시 공간 = Comtemporary art and exhibition space as heterotopia : contemporary art as the other space escaped from Panoptic White Cube : 파놉티콘적 화이트 큐브를 벗어난 다른 공간으로서의 현대미술
|
전혜정
|
p. 1281-1291
|
|
|
|
소비자 참여수준과 온라인 프로모션 만족도와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engagement levels and online promotion satisfaction : 기업인지도 보상형태를 중심으로
|
장위에, 정의태
|
p. 1255-1269
|
|
|
|
치료약과 강장제 사이에서 = Between remedies and tonics : the introduction of vitamin supplements in modern Korea : 근대 한국의 비타민 보충제 도입
|
김태호
|
p. 1271-1280
|
|
|
|
전통문화 기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연구개발 동향 = Analysi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traditional culture base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김민경, 나윤빈
|
p. 1293-1303
|
|
|
|
학교부적응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적 지원방안 = Psychological support for school-adaptive multicultural youth
|
성수나
|
p. 1305-1311
|
|
|
|
UTAUT2와 사용자 경험을 결합한 디지털 패션 모바일 플랫폼 기술 수용이 소비자의 사용 의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acceptance of digital fashion mobile platform technology combining UTAUT2 and user experience on use and purchase intention
|
홍예
|
p. 1313-1328
|
|
|
|
감정코칭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motional coaching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expression
|
김영아, 어은경
|
p. 1329-1340
|
|
|
|
경제교육이 노인 경제기본개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conomic education on the basic economic concept of the elderly
|
김명진, 방희명
|
p. 1341-1349
|
|
|
|
생태윤리 시각에서 본 한국의 4대강 보 해체 분석 = Analysis of the four-rivers dismantling project based on an eco ethics perspective
|
박균열, 방정배, 김현수
|
p. 1351-1365
|
|
|
|
『논어』의 문장으로 바라본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성 고찰 = Examining the direction of university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unyu(論語)』's sentences
|
김하윤
|
p. 1367-1376
|
|
|
|
드뷔시(C.A. Debussy) 'Pierrot'를 대상으로 한 음악 교육의 융합적 접근 = A convergent approach to music education targeting C.A. Debussy's 'Pierrot'
|
반명진, 민경훈
|
p. 1377-1391
|
|
|
|
복식 발기[件記] 수록 복식명 구성요소의 계열관계와 결합순서 = A study on the paradigmatic relationships and syntagmatic order of the components of costume names listed in costume Balgi [件記]
|
조정아
|
p. 1393-1404
|
|
|
|
EDM에서 나타나는 라틴 아메리카 리듬 표현 기법 연구 = A study on Latin American rhythm expression techniques in EDM : focusing on works released since 2010 : 2010년 이후 발매된 작품을 중심으로
|
유진, 전윤한
|
p. 1405-1416
|
|
|
|
패브릭 소파에 대한 소비자 인식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mer perception on fabric sofa design : focusing on MZ consumers : MZ 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야람, 한석원
|
p. 1417-1427
|
|
|
|
가야금병창의 태동과 발전과정 = Gayageum Byeongchang's advent and develoment progress by period : 시대적 구분
|
박혜련
|
p. 1429-1440
|
|
|
|
방탄소년단 음악의 특성 분석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TS music : focusing on the musical elements of "Dynamite" and "Butter" : Dynamite와 Butter의 음악적 요소를 중심으로
|
박은지
|
p. 1441-1449
|
|
|
|
A. 볼로딘의 희곡 『다섯 밤』의 무대화와 영화화 연구 = A study on the stage and film adaptation of A. Volodin's play 『Five Nights』 : focusing on 1959 Г. Topstonogov's play and 1978 H. Mikhalkov's films : 1959년 Г. 톱스토노고프의 연극과 1978년 H. 미할코프의 영화를 중심으로
|
이승억
|
p. 1451-1465
|
|
|
|
샤오홍슈의 플랫폼 속성이 중국 관객의 뮤지컬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impact of Xiaohongshu's platform attributes on the musical attendance intention of Chinese audiences : focusing on information trust and engagement : 정보 신뢰와 정보 참여를 중심으로
|
조약계, 이명창, 천현
|
p. 1467-1475
|
|
|
|
이주여성의 생존투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rvival struggles of migrant women : with specific focus on Chinese Korean migrant women in Daegu City in : 대구 경북 중국계 이주여성의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
정란희
|
p. 1477-1490
|
|
|
|
외국인 학부생의 경연대회 참가 경험의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contest participation experiences : focusing on interviews with the winners of the 'Foreigners' Hangul Writing Contest' : ‘외국인 한글 글씨쓰기 대회’ 수상자 면담을 중심으로
|
서효원
|
p. 1491-1502
|
|
|
|
가창 중심 음악 중재프로그램이 사회초년생의 자기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 Effects of vocal-based music intervention program on the self-awareness of social beginners : a case study
|
이미화, 박혜영
|
p. 1503-1517
|
|
|
|
목회자 사모의 소진과 음악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urnout and music use among pastors' wives
|
유미선, 박혜영, 조미란
|
p. 1519-1532
|
|
|
|
명리 운명론과 자유의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고찰 = A reflec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Myeongri and free will
|
윤상흠
|
p. 1533-1546
|
|
|
|
미국 대중음악에 나타난 여성 인권 운동 요소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lements of the women's rights movement in American popular music : centered around the 1960s : 1960년대를 중심으로
|
박민호, 홍성규
|
p. 1547-1561
|
|
|
|
공공 통합사례관리사의 직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job experience of public integrated case managers
|
유지안, 이선화
|
p. 1563-1577
|
|
|
|
파킨슨병 환자의 인지 기능 개선에 대한 무용요법의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dance therapy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체계적 문헌고찰
|
진애경
|
p. 1579-1587
|
|
|
|
언어학적 갈등분석과 갈등대화 연구 = Linguistic analysis of conflict and study of conflict discours
|
김갑년
|
p. 1589-1598
|
|
|
|
명창 안숙선의 판소리 예술세계 = The world of master singer Ahn Sook-sun's Pansori art
|
안시현
|
p. 1599-1606
|
|
|
|
중국의 박물관 정책과 집안고구려박물관 = China's museum policyand Ji'an Goguryeo Museum
|
김봉숙
|
p. 1607-1620
|
|
|
|
대학생의 미래시간관과 주체적 참여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agentic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
박윤희, 예신, 김은지
|
p. 1621-1633
|
|
|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특성 및 참여동기에 따른 전달체계, 사회적 자본, 사업만족도 연구 = A study on the delivery system, social capital, and busine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the elderly job program
|
윤현태, 강은미, 고광선
|
p. 1635-1648
|
|
|
|
메이크업 교육에 에듀테크를 활용한 TBL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TBL lesson plan applying edu-tech for makeup education
|
안정민, 정재형, 이상원
|
p. 1649-166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