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고려후기 유학자들이 성리학을 수용하여 군자를 지향하고 화충, 절충의 학문 방법과 정치론으로 성학론, 군신공치를 지향하고 있음을 밝힌 글이다.

고려후기 유학자들은 수용되고, 유교의 이상적 인간형인 군자를 지향하고, 공손한 마음으로 상대방과 화합하는 화충(和衷)과 진실한 마음으로 의견 차이를 극복하는 절충(折衷)을 견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음 자세는 진리 탐구 곧 인간을 둘러싼 세계와 자연 그리고 사회를 개혁하며 새로운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여기에서 절충(折衷)은 자기 주장에 대한 집착과 대립되는 주장에 대한 편견을 끊고, 조정자 역시 여러 유파에 대한 사적 감정이나 입장을 끊고 대상을 객관화하여, 나아갈 방향의 최선의 길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화합 절충의 정치론은 군주와 신하가 협력하는 군신공치(君臣共治)로 이어진다. 군주와 신하는 하늘을 대신해서 다스리는 임무를 부여받고 있었으므로, 공치가 성립된다. 경연(경연)이나 대간이 이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준다.

군주와 신하의 협력정치는 군주성학론과 군주학 문헌 정리로 이어진다. 군주성학론은 군주가 성인이 되는 학문이다. 곧 군주는 경전 공부를 통하여 사물 현상의 도를 파악하고 마땅히 해야할 일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국왕은 자연인으로 불완전하므로, 국왕으로서의 자질과 덕망을 쌓도록 군주수신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군주학의 텍스트로 『대학연의 』·『경제문감별집 』·『사서절요 』·『치평요람 』·『대학연의집략』등이 있다. 이들 책은 군주의 도덕 수양을 중시하고 이를 기초로 나라를 다스릴 이룰 수 있다고 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8~19세기 조선 국내 가죽 유통조직의 분화와 분쟁 = Segmentation and conflict among leather trading organizations in Joseon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김미성 p. 177-211

조선초기 화충·절충의 학문 방법과 군신공치 = Learning and governance through "harmony" and "eclecticism" between a monarch and his subjects in early Chosun Dynasty 도현철 p. 143-175

1960~70년대 한국 정신분석학의 반공·냉전적 재편과 젠더·섹슈얼리티 낙인의 형성 = The anti-communist and Cold War reshaping of Korean psychoanalysis and the formation of gender and sexuality stigma in the 1960-1970s : centered on psychiatrist Paik Sang-chang : 정신의학자 백상창을 중심으로 김대현 p. 1-31

연대의 정동과 대안의 체제화 = The affect of solidarity and the systematization of alternatives : 충남 홍동 지역의 협동적 문화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강석민 p. 63-91

아시안 아메리칸의 분노와 사랑 = Anger and love in Asian-Americans : the affective economy of a transnational emotional industry in Beef and Elemental : <비프>와 <엘리멘탈>, 초국적 감정 산업의 정동 경제 권두현 p. 33-61

갑오개혁 이후 대외교섭체계의 변화 = Changes in the diplomatic system of Korea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민회수 p. 213-242

지도 시각화 기술 기반 재일본 조선 유학생 사회 타임라인 = Timeline of the society of Joseo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based on map visualization technology. 1, Focusing on the journal 'Chin-Mog-Hoe-Hoe-Bo(친목회회보)' published by Amity Society(Dae-Jo-Seon-Il-Bon-Yu-Hag-Saeng-Chin-Mog-Hoe) in 1896. 1, 대조선일본유학생친목회 발간 『친목회회보』(1896)를 중심으로 전성규 p. 243-288

경부철도 개통초기 일본인 청년의 남한지역 철도여행 = The railroad travels of Japanese youth in southern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Gyeongbu Railroad : focusing on Yano Kunitaro's Gyeongbu Railroad Information (1905) : 야노 쿠니타로의 『경부철도안내』(1905)를 중심으로 오진석 p. 289-327

1920년대 소설의 다층적 존재 양상과 의미 = The multi-layered being aspect and meaning of novels in the 1920s : 기생 강명화 정사 사건의 전유 양상을 중심으로 배정상 p. 329-351

대전의 지역 극장 대전좌(大田座)의 변모 과정과 역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Daejeonjwa(Daejeon Theater) in Daejeon : 1915년 실체 확인에서 1935년 재개관 요구까지 김남석 p. 353-382

조선의용대의 ‘전쟁포로’ 초모(招募) 활동과 연극 「조선의 여아」의 의미 = The significance of the recruitment of prisoners of war by the Korean Volunteer Corps and the play "Korean Maiden" :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advance to Huabei : ‘화북진출’ 표상을 중심으로 오은아, 문미라 p. 383-405

김광주의 중국어 문필 활동과 중국 좌익 문인들과의 관련성 연구 = A study of relevance of Kim Kwang-ju's writings in Chinese to China's leftist literati 왕혜, 최창륵 p. 407-433

‘사학자’ 김태준에 대하여 = Kim Tae-joon as a historian another possibility for colonial hitoriography 이용범 p. 435-461

분단 전 동요선집의 작가정전 형성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writer canon in the anthologies of Children's Song before the partition 강영미 p. 463-497

김대중 사면을 위한 독일연방공화국의 대응과 노력 = German Federal Republic's reaction and efforts to amnesty Kim Dae-jung : 코블렌츠 연방문서고(Bundesarchiv in Koblenz)와 성남시 국가기록원 자료를 중심으로 최원준 p. 499-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