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시조에 투영된 놀이 문화와 특질 = Play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ijo / 하경숙 1

국문초록 1

I. 시작하기 2

II. 시조에 나타난 놀이의 모습 4

III. 시조에 나타난 놀이의 현실과 인식 9

1. 사회·문화적 체험의 실천 10

2. 놀이에 대한 동감과 개성의 다양성 13

IV. 마치기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실용교과로서의 시조, 시조 교육 = Sijo(時調) as a practical subject, Sijo education 김상진 p. 7-37

보기
古時調의 밈(meme) 활용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Sijo memes 김지은 p. 39-64

보기
경신대기근(庚申大飢饉), 그리고 사설시조 = The "Gyeongsin Great Famine"(庚申大飢饉) and Saseolsijo 윤두희, 김성문 p. 65-92

보기
생태적 사유와 시조창작 교육 = Ecological thinking and Sijo creation education 이송희 p. 93-118

보기
현대시조 3장의 의미구조 = The semantic structure of three lines of modern Sijo : focusing on the Dansijo (the singular Sijo) in The Encyclopedia of Korean Modern Sijo : 『한국현대시조대사전』의 단시조를 중심으로 정병기 p. 119-150

보기
동시조의 형식적 특징과 교육적 의미 = The formal feat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ijo : 박경용 동시조를 중심으로 정한기, 주상현 p. 151-178

보기
삶의 문제와 가치 실현으로서 가객 시조의 문학교육적 탐구 = Exploring the literary education of Gagaek Sijo [歌客時調] as a realization of values for life's problems : regarding Kim Cheon-taek's[金天澤] Sijo[時調] : 김천택의 시조를 대상으로 최홍원 p. 179-228

보기
시조에 투영된 놀이 문화와 특질 = Play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ijo 하경숙 p. 229-250

보기
현대시조와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 교육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convergent education model for Sijo and digital media 홍숙영 p. 251-277

보기
법고창신(法古創新)과 여민정신의 감각화 = Innovation of old laws(法古創新) and sensitization of the spirit of the common(黎民情神) 홍용희 p. 279-30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