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사회의 불공평한 정치 및 사회 요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비판적 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성, 인종, 계층의 세 영역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선행연구와 국외에서 개발된 척도를 고찰하여 한국사회의 성, 인종, 계층의 세 영역의 비판적 의식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제작하고, 9인의 전문가 평정을 통해 68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68문항을 사용하여 205명의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 20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2에서는 초중고 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판적 의식이라는 일반요인과 성, 인종, 계층의 3요인구조의 이중 요인 모형을 선택하고 20문항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의 공인타당도,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를 확인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비판적 의식 척도, 다문화태도 척도, 다문화교육역량척도, 계층차별주의, 성차별주의 척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의 학문적 의의와 활용방안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measuring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aimed at analyzing inequitabl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the scale targets three domains: gender, race, and class.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reated, drawing upon previous research and international scales, and focusing on the domains of gender, race, and class. This proces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68-item questionnaire, refined through the input of nine experts and administered to 205 K-12 teac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ree factors and 20 items. Study 2 involv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 different sample of 228 K-12 teachers, revealing a bifactor model. This model comprised a general factor of critical consciousness and a three-factor structure representing gender, race, and class. Further validation of the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was achieved by examining concurren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This was done through correlations with measures of critical consciousness,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classism, sexism, belief in a just world, and social desir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discussed implications, suggested uses for the scale,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xploring needs and impact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or borderline intellectual disorder =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디지털 시민교육의 영향과 필요성 탐색 Choi Jee Hae p. 1-28

(The) nature of AI ethics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 포스트휴먼 시대의 AI 윤리 교육의 성격 Park, Hyu-Yong p. 29-51

한국판 정서·행동평가시스템(K·BASC-3), 교사보고형 검사-아동용(TRS-C)의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via item response theory :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3rd edition, teacher rating scales-child form (K·BASC-3, TRS-C) : 문항반응이론을 중심으로 백성은, 안명희 p. 53-72

전환기 교육소외 청소년의 긍정심리 역량 유형 및 영향 요인 탐색 = Explor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ypes and influential factors in education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during transitional periods : utiliz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random forest analysis : 잠재전이분석과 랜덤 포레스트 분석 활용 강유림, 김소희 p. 73-9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for civic education = 시민교육에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Lee, Kwangsung p. 95-105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for teachers 김태선, 정애경, 신주연 p. 107-131

(A) comparative study on civic consciousnes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in Thailand and Korea = 태국과 한국 예비교사 시민 의식 비교 연구 Jeong, Moonseong p. 133-148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eaching flow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함은희, 김희태 p. 149-170

유보통합 정책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Regarding the reservation integration policy, a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ed on linking infants,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영아·유아·초등 교육과정 연계 중심으로 지성화 p. 171-187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자기개념 명확성, 진로신념, 진로적응성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self-concept clarity, career belief,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노윤지, 김장회, 김미점 p. 189-209

평화 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생명존중의식 및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eace picture book-mak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mpathy ability, life-respect recognition and global citizenship 양진희 p. 211-226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 on young children’s socio-emotional compet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 교사-유아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문정원, 김성현 p. 227-247

관점수용 향상을 위한 학습분석 기반 수업설계 모형의 효과 연구 = Development of a learning analytics-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improving perspective-taking : focusing on social studies classes : 사회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허선영 p. 249-270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프로파일 간 인지·심리사회·진로 특성 차이 = Differences in cognitive, psychosocial and career characteristics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profile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박혜성, 김성연 p. 271-293

역량(Competency)과 웰빙(Well-Being) = Competency and well-being :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al experiences at high school and eudaimonic well-being in adulthood on subjective well-being : 고교 역량기반 교육 경험과 성인기 유다이모닉 웰빙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이혜나, 문찬수 p. 295-321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대학 핵심역량 키워드 분석 = An analysis on core competencies in universitie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장지현 p. 323-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