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의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 증상인지, 심뇌혈관질환 예방 태도, 건강습관과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 증상인지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사업장 등에서 만 20~39세의 성인 1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고혈압 교육 경험과 지인의 뇌졸중 병력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 태도가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인지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뇌졸중 조기 증상인지 관련요인은 지인의 뇌졸중 병력과 심뇌혈관질환 예방 태도 및 건강습관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심뇌혈관질환 예방 태도와 건강습관은 젊은 연령대 성인의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 증상인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젊은 연령대 성인의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 증상인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young individuals’ awareness of symptoms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s associated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ttitudes and health behavior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90 young adults aged 20 to 39 at workplaces and other locations. The data was collected at workplaces, etc., from January to March 2023. Hypertension education, knowing someone close who has experienced a stroke, and having preventive attitudes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were found to affect awareness of warning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In addition, knowing someone close who has experienced stroke, having preventive attitudes towar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and having healthy habits affected awareness of the warning symptoms of strok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eventive attitudes towards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we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awareness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that healthy habits we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awareness of stroke in young adults. The findings provide a basis on which strategic programs can be built to improve awareness of warning symptoms of cardio-cerebrovacular diseas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국, 프랑스, 한국의 간호 제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nursing institutions : legal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South Korea : 법체계를 중심으로 신유경, 박이대승 p. 8-28

코로나19 전후 초등학생의 미디어 이용과 신체 자아상 간의 관계 = Association between media usage and body image of elementary stud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 focusing on gender comparison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혜란, 김내영, 정익중 p. 29-49

재난적 의료비 발생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ccurr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child problem behavior 변준수, 이태진 p. 50-62

다차원적 구호서비스 제공이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ultidimensional relief service provision on social adaptation of disaster victims : moderating effects of relief service satisfaction : 구호서비스 만족도의 조절효과 박형주, 송도훈 p. 63-83

젊은 연령대 성인의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 증상인지 관련요인 = Factors associated with awareness of warning symptoms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young adults 송현숙, 김윤희 p. 84-102

재난피해자의 미충족 의료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disaster victims : using Andersen’s healthcare utilization model : Andersen의 의료서비스 이용 모델을 활용하여 김이레, 권진아 p. 103-121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elf-perceived health among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satisfaction : 주관적 건강 상태와 건강 만족도를 중심으로 정희주, 안병일 p. 122-137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 Psychosocial challenges among men who undergo infertility treatment 문은미, 김민아 p. 138-157

일자리 안전과 보건을 위한 위험성평가 실시 요인 연구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workplace safety and health risk assessment : focus o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박천수 p. 158-178

사회경제적 발전에 따른 출산율과 성평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socioeconomic development 이제상, 송유미 p. 179-193

광역과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사회복지 사무배분과 재정분담에 관한 논의 = Discussion on the distribution of social welfare tasks and financial burden sharing between metropolitan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 focusing on the city of Busan : 부산광역시 재정분담 개선 방안에 대한 제언을 중심으로 오영삼, 이재원 p. 194-210

AUDIT-K 척도의 요인구조 및 측정불변성 검증 = Validating th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AUDIT-K scale : focusing on the use of the RMSEAD index for nested model comparison : 내포(nested) 모형 비교를 위한 RMSEAD 지수의 활용을 중심으로 박병선, 이선영 p. 211-226

Does fine particulate matter affect parental childcare time? = 초미세먼지가 자녀 돌봄 시간에 미치는 영향 : 대기오염의 젠더 효과 : the gendered effects of air pollution Choi, Mihyang p. 227-248

우리나라 기후보건 탄력성의 현황과 과제 = Climate change and health resilience in South Korea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from a health system perspective : 보건의료체계 관점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이한솔, 박예인, 김재희, 이유리 p. 249-273

법의부검 자료를 통한 대한민국 고독사에 관한 고찰 = Solitary deaths in the Republic of Korea : an autopsy-based study 나주영 p. 274-288

정신장애인의 커밍아웃이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ming out on the self-stigma in persons with mental illness :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thers’ reactions and social support : 상대방의 반응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서미경, 이민화, 이진향 p. 289-308

복지태도의 영향요인 =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s : a focus on perceptions of current and future inequality levels : 현재와 미래 불평등 수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변영주, 고길곤 p. 309-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