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한 낙인(stigma) 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사설 심리상담센터에 내원하는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어머니 8명으로, 면담자료는 Corrigan과 Kosyluk(2014)의 낙인사회인지모델 관점에서 Krippendorff 내용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낙인 경험은 낙인사회인지모델에 따라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으로 분류한 후 각각 고정관념, 편견, 차별로 세분화 되었다. 사회적 낙인에서의 고정관념은 ‘돈을 바라고 자녀를 장애 등록하는 사람들’, ‘억지스러운 혜택을 요구하는 사람’ 등 7개 범주, 편견은 ‘물리적으로 가까이 다가서고 싶지 않음’ 등 5개 범주, 차별은 ‘거부’ 등 3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 낙인에서의 고정관념은 ‘나의 자녀는 장애인이라는 프레임에 갇혀 자녀를 과하게 제재함’ 등 4개 범주, 편견은 ‘자녀를 죽을 때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에 짓눌림’ 등 7개 범주, 차별은 ‘사람들 앞에 당당하게 내놓지 못함’ 등 5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또한, 분석결과 낙인사회인지모델에서는 설명이 되지 않지만 연구참여자들은 낙인을 내재화 하기보다 극복과 회복의 길로 나아가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주제화 하여 ‘기능과 유형이 다른 장애아이들을 보며 우리 아이에 대한 공감과 고마움을 느낌’ 등 5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도박중독 및 회복 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the process of gambling addiction and recovery 노은주, 신주연 p. 1-28

청년 조현병 환자 부모의 자녀 돌봄 경험과 서비스 요구에 관한 개념도 연구 = Caring experiences and service needs of parents of young adults with schizophrenia : a concept-mapping approach 이지민, 이동귀 p. 29-49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낙인경험 = Understanding stigma in mothers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수미, 전지열, 이동훈 p. 51-78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ging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women :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function esteem and body shame : 체기능존중감과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 정환희, 이지연 p. 79-96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성인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및 문제 음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trusive and intentional rumination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problem drinking in adults : mediating effects of PTSD symptoms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 PTSD 증상과 정서조절 어려움의 매개효과 김인율, 이동훈 p. 117-142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지향성과 SNS중독경향성 간 군집에 따른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interpersonal ori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using Instagram :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disagreement, and self-exposure : 대인관계유능성, 자기불일치, 자기노출을 중심으로 연서영, 송연주 p. 143-158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 회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The study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recovery experience of play therapist qualitative research 차미성, 송미경 p. 159-175

가족 구성원을 사이비 종교에서 회심시킨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of the experience of conversion family member from a cult 권윤아, 최준섭 p. 177-205

SNS 과의존 여대생을 위한 심리도식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group schema therapy program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SNS overdependence 정형화, 김택호 p. 207-226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ool for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using a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 김준성, 천성문 p. 227-243

자기대화(self-talk)의 국내 연구 동향 =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self-talk 송정선, 김미점, 김장회 p. 245-259

집단상담 수퍼비전에 의한 집단상담자의 지식구조 변화 = Changes in knowledge structures of counselors through group counseling supervision 조수연 p. 261-282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심리상담 분류체계 개선 방안 =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김현아, 김요완 p. 283-299

노인의 노년초월과 삶의 질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gerotranscendence and quality of life : mediating effect of wisdom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 지혜와 죽음불안의 매개효과 최현진, 이영순 p. 97-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