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경희, 박선희 (2017).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88-98. | 미소장 |
2 | 구경희 (2020). 교수역량 진단척도 개발 및 요구분석: P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99-128. | 미소장 |
3 | 권대봉, 조대연, 김재현, 이윤수 (2013). 재직자 특별전형 내실화를 위한 재학생 및 교직원의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32(5), 1-25. | 미소장 |
4 | 권성연, 신소영, 김지심 (2011). 대학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중심 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대학교수학습연구, 3, 6-33. | 미소장 |
5 | 김경은, 장은정, 이성주 (2021).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 271-285. | 미소장 |
6 | 김동심, 박현경, 이영선 (2018). 대학교 전임교원의 역량 모델 개발 및 생애주기별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공학연구, 34(1), 133-163. | 미소장 |
7 | 김미란, 김태준, 서인영, 김재효, 채재은, 이소연 (2017).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정책진단과 방안(I): 대학 교육과정 혁신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RR2017-08). 충청북도: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8 | 김미란, 김태준, 서인영, 우선영, 김재효, 채재은, ... 조혜진 (2018).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정책진단과 방안(II): 대학교원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RR2018-18). 충청북도: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9 | 김민정, 김혜원, 이윤수 (2018). 종합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지원 교육 체계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35(2), 289-317. | 미소장 |
10 | 김선희 (2017). 강의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교육의 질 제고 방안 탐색: A 대학교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1), 147-174. | 미소장 |
11 | 김승옥, 박수미 (2019). 대학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 분석: 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501-520. | 미소장 |
12 | 김희곤 (2014). 다원적 군 교수자 교수역량이 학습자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노정진 (2018).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교수역량 모델 개발: 한국폴리텍대학을 중심으로. HRD연구(구 인력개발연구), 20(1), 131-165. | 미소장 |
14 | 노혜란, 최미나 (2004).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모형 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7(2), 1-28. | 미소장 |
15 | 박영순, 차현전, 송영명, 천경희 (2015). 대학 교원의 생애단계에 기반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32(3), 137-162. | 미소장 |
16 |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2007).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 | 미소장 |
17 | 백순연, 엄우용 (2015). 대학 교원이 지각하는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에 대한 수용 및 활용 정도. 학습과학연구, 9(3), 145-169. | 미소장 |
18 | 백종남, 백유진, 김세연, 최숙영 (2020).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 (teaching) 역량 프레임 제안.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6), 349-357. | 미소장 |
19 | 서민원 (2007). 교원선발제도의 평가학적 검토와 개선과제. 교육평가연구, 20(2), 51-76. | 미소장 |
20 | 송연옥, 노혜란 (2016).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32(1), 229-251. | 미소장 |
21 | 송해덕, 장선영, 김연경 (2013). 대학교수의 경력별 직무역량 요구분석과 지원 방안. 아시아교육연구, 14(4), 149-179. | 미소장 |
22 | 양은하 (2010).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양은하, 정재삼 (2010).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변화필요도분석. 교육공학연구, 26(2), 25-52. | 미소장 |
24 | 엄미리 (2012). 대학 교원의 역량 분석을 통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방향성 제고: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3), 21-45. | 미소장 |
25 | 오승국, 전주성, 박용호 (2014). 교육요구 우선순의 결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 보완연구. 교육문제연구, 27(2), 77-98. | 미소장 |
26 | 우영식, 임영재 (2021).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A대학 교수자를 중심으로. 핵심역량교육연구, 6(2), 27-50. | 미소장 |
27 | 이경희, 강경리 (2017). 대학 수업의 비인지 역량 함양 효과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대인관계역량 및 자기관리역량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591-620. | 미소장 |
28 | 이현아 (2019). 교원의 교수역량 및 프로그램 요구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도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1-26. | 미소장 |
29 | 이현영, 김영수, 허희옥 (2012). 공과대학 교수역량 진단도구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3), 439-469. | 미소장 |
30 | 이혜정, 이지현 (2008). 대학 ‘교수 (teaching)’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평가지표 개선 방안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9(3), 173-204. | 미소장 |
31 | 임규연, 안상란 (2015).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교육방법연구, 27(3), 375-400. | 미소장 |
32 | 임명희 (2021). J 대학교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6), 435-446. | 미소장 |
33 | 임우섭, 김용주 (2007). 대학 교수의 핵심 강의역량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4), 413-434. | 미소장 |
34 | 임유진, 김보경, 홍유나, 김세영 (2018). IPA 기법을 활용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교육혁신연구, 28(2), 45-72. | 미소장 |
35 | 정은이 (2010).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교육방법연구, 22(3), 25-44. | 미소장 |
36 | 정인호, 이은진 (2012).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교수 직급별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 HRD연구, 7(1), 1-22. | 미소장 |
37 | 조대연 (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165-187. | 미소장 |
38 | 채성기 (2017). 군사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요구도 분석.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최금진, 권성연, 김은정, 박일수 (2018).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A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415-437. | 미소장 |
40 | 최미순, 오민아, 조혜영 (2019).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ies)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교수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1301-1321. | 미소장 |
41 | 한승연, 임규연 (2012).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모델링. 교육방법연구, 24(4), 837-862. | 미소장 |
42 |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 (2009). 대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수행능력(Teaching Performances) 개선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7, 233-255. | 미소장 |
43 | 홍순정, 장은정, 서윤경 (2004). 원격교육 교수자의 역량모델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0(2), 81-112. | 미소장 |
44 |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 미소장 |
45 | Borich, G. D. (2000). Effective teaching method.(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 미소장 |
46 | Blomeke, S., Zlatkin-Troitschanskaia, O., Kuhn, C., & Fege, J. (2013). Modeling and measur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Rotterdam: Sense Publishers. | 미소장 |
47 | Condon, W., Iverson, E. R., Manduca, C. A., Rutz, C., & Willett, G. (2016). Faculty development and student learning: Assessing the connection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8 | Hannum, W. H., & Hansen, C. (1989).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in large organiz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 미소장 |
49 | IBSTPI (2004). Instructor Competency: The Standards.(Rev. ed.), Batavia. IL: International Board of Standards for Training, Performance and Instruction. | 미소장 |
50 | Phuong, T. T., Duong, H. B., & McLean, G. N. (2015). Faculty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n higher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6, 107-117. | 미소장 |
51 | Moreno-Murcia, J., Torregrosa, Y. S., & Pedreo, N. B. (2015). Questionnaire evaluating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Evaluation of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Journal of New Approaches in Educational Research (NAER Journal), 4(1), 54-61. | 미소장 |
52 | Stritter, F. T., Bland, C. J., & Youngblood, P. L. (1991). Determining essential faculty competencies.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3(4), 232-238. | 미소장 |
53 | Tigelaar, D. E., Dolmans, D. H., Wolfhagen, I. H. A. P., & Van Der Vleuten, C. P.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48, 253–26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