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2022). 2022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 | 미소장 |
2 | 권태희, 정현희(2020).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27(12), 187-215. | 미소장 |
3 | 김미희(2014). 학업적으로 추락한 대학생의 좌절 경험.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선영(2014). 중국 유학생들의 정서적, 사회적, 그리고 학업수행 측면에서의 문화적응과 만족도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32(1), 131-157 | 미소장 |
5 | 김영천, 정정훈(2021). 사회과학을 위한 질적연구 핸드북.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6 | 김원영, Nuo Xu, 안현선(2021).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2011∼2020).다문화교육연구, 14(2), 55-71. | 미소장 |
7 | 김현지, 김진아, 한우진, 이수지, 이상수(2021). 성적우수자와 학사경고자의 자기공감 학습전략 분석. 교육혁신연구, 31(2), 21-49. | 미소장 |
8 | 노정은(2020).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851-873. | 미소장 |
9 | 대학알리미(2020).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 현황. | 미소장 |
10 | 류위한(2020).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요인과 자기결정성 및 계획행동이 한국어 학습행동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 역할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67, 75-105. | 미소장 |
11 | 문은식(2002). 대학생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 교육발전논총, 23(2), 43-57. | 미소장 |
12 | 문희진, 김영순(2022).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학습생애사 연구. 리터러시 연구, 13(5), 103-129. | 미소장 |
13 | 박은미, 황빙의, 정태연(2010).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8(2), 205-223. | 미소장 |
14 | 성현준, 성나경, 홍누리, 이지혜(2018).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1343-1370. | 미소장 |
15 | 이동성, 김영천(2014).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한 포괄적 분석절차 탐구: 실용적 절충주의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2(1), 159-184. | 미소장 |
16 | 이민지, 김동민, 진성미(2019).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학사경고 극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문화연구, 25(5), 1027-1051. | 미소장 |
17 | 이선영, 나윤주(2018).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교양교육연구, 12(6), 167-193. | 미소장 |
18 | 이수정(2011). 중국인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경험에 대한 FGI 연구. 인문연구, 63, 91-120. | 미소장 |
19 | 이지영(2017).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업부적응 요인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임이랑, 오인수(2016). 대학생의 학습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학습역량, 환경/지지 요인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7(4), 285-309. | 미소장 |
21 | 장애경, 양지웅(2013).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과 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4(2), 995-1013. | 미소장 |
22 | 전재은, 장나영(2012). 니하오?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학생과의 교우관계: 중국인 유학생의 경험과 인식. 한국교육학연구, 18(1), 303-326. | 미소장 |
23 | 정영숙, 성지훈(2018). 대학 강의식 수업에서 질문 작성 중심의 학습자 질문 활성화 전략에 대한 교육적 효과 인식. 교육문제연구, 31(2), 145-173. | 미소장 |
24 | 정지아, 부향숙(2018).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다문화교육연구, 11(3), 169-198. | 미소장 |
25 | 하정희(2008).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73-496. | 미소장 |
26 | 홍경선(2012). 설계기반연구방법을 활용한 학생생성 질문촉진 수업모형 개발 연구. 지역발전연구, 11(2), 215-245. | 미소장 |
27 | 황경아, 홍지아(2018). 재한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문화자본으로서의 취득학위의 가치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91, 319-357. | 미소장 |
28 | 황두경, 소려나, 박창언(2016). 학사경고를 받은 공과계열 중국인 유학생의 학업적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4(3), 53-73. | 미소장 |
29 | Baxter, P., & Jack, S. (2008).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Study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novice researchers. The Qualitative Report, 13(4), 544-559. | 미소장 |
30 | Chaorro-Premuzic, T., & Furnham, A. (2003). Personality traits and academic examination performanc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7, 237-250. | 미소장 |
31 |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32 | Diseth, A. (2003). Personality and approaches to learning as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7, 143-155. | 미소장 |
33 | Fenning, B. E., & May, L. N. (2013). “Where there is a will, there is an A”: examining the roles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in college students’ current educational attainment and career planning.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6(4), 635-650. | 미소장 |
34 | Flyvbjerg, B. (2006). Five misunderstandings about case-study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12(2), 219-245. | 미소장 |
35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 미소장 |
36 | Yin, R. K. (2005). Introducing the world of education: A case study reader. Sage. | 미소장 |
37 | Yin, R. K. (2018). Case study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6).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