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희(2009). 미래학습자와 교육성과. 한-OECD 국제세미나: 새천년 학습자 및 교원. 연구자료 RRM 2009-02-2.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2 | 곽영순(2016). 과학과 역량중심 교육과정.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3 | 교육부(2022). 2022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 미소장 |
4 | 교육부(2023.10.10.). “2028 수능 국·수·탐 선택과목 없이 통합 평가; 학업포기 내모는 내신 9등급제, 2025부터 5등급 체제로”. 교육부 보도자료. | 미소장 |
5 | 구경호(2020). 미래교육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육연구, 20(6), 169-191. | 미소장 |
6 | 권진희(2018). 미래사회의 인재상에 대응하는 교육변혁 방향.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 65-70. | 미소장 |
7 | 김병찬, 김민조, 김운종(2018). 한국 교원교육 정책 및 제도 성찰.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09-151. | 미소장 |
8 | 김성원, 정세미, 황윤진(2005). 중등 과학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36-745. | 미소장 |
9 | 김승정, 이수정, 신정철, 김재근, 유준희, 이경화, 홍훈기, 강은정, 권정희, 김은경, 김지애, 김현숙, 이일, 정태실(2015). 수학, 과학 교과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6(4). 1-30. | 미소장 |
10 | 김승현(2005). 화학교사 양성 및 임용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1 | 김영수, 김도희(1989). 생물교사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1), 39-52. | 미소장 |
12 | 김희규, 주영효, 엄준용(2016). 중등학교 교사의 생애단계별 직무역량 분석. 교육문제연구, 29(4), 163-189. | 미소장 |
13 | 김희삼(2017). 교수학습법 변화를 통한 미래인재 역량의 배양.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6-141. | 미소장 |
14 | 박민정, 최임숙(2022).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사역량 및 교사양성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요구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0(5), 71-93. | 미소장 |
15 | 박용호, 조대연, 배현경, 이해정(2012).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99-320. | 미소장 |
16 | 백지연, 조현정, & 송민영(2015). 중등교사 역량모델 개발. 직업과 자격 연구, 4(2), 85-110. | 미소장 |
17 | 서봉국, 이상기(2022). 엑셀로 끝내는 델파이 조사. 서울: 유페이퍼. | 미소장 |
18 | 손경수, 유위준, 김수자, 김종만, 남궁상, 이유수, 임인철, 최승택(2005). 교원연수 체제 개선 후속 조치 정책연구: 교원 자격연수 표준 교육과정 개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 2005-지정-61. | 미소장 |
19 | 송진웅, 이학동, 손연아, 노경임(1996). 과학교사의 양성・임용・재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0. | 미소장 |
20 |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 미소장 |
21 | 신지은(2011). 수업에서 학생의 과학적 창의성 발현을 위한 과학 교사 역할.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2 | 신원석, 한인숙, 엄미리(2012).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변화에 관한 연구: 테크놀로지활용 교과목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71-80. | 미소장 |
23 | 안유민, 홍선주(2020). 미래 학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문화연구, 26(2), 49-74. | 미소장 |
24 | 양윤영, 김재근(2021). 전국 시ㆍ도교육청 교원 연수기관의 과학교육 관련 교원 직무연수에서의 과학교사 전문성 요소 및 과학교육 개혁 동향 반영에 대한 분석. 생물교육, 49(1), 42-53. | 미소장 |
25 |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26 | 이보아(2020). 아트테크 4.0-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융합. 성남: 북코리아 | 미소장 |
27 | 이선영(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 미소장 |
28 | 이지연(2017).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진로교육 정책과 진로교육의 방향. 세종: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미소장 |
29 | 이학동(1989). 중학교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1), 1-17. | 미소장 |
30 | 이화국(1985). 과학 교사 교육에서의 교과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10, 73-85. | 미소장 |
31 | 이해룡(2014). 현장에서 보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과 과학교사의 역할. 교육정책포럼, 257, 18-23. | 미소장 |
32 | 임유나, 홍후조(2018). 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교육학연구, 56(2), 1-31. | 미소장 |
33 | 장경원, 김희정(2012). 학습자중심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요소 도출 및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285-310. | 미소장 |
34 | 정제영(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전망과 과제. 충청북도: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5 | 정제영, 김갑성, 강태훈, 유성창, 윤홍주, 선미숙(2014).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373-396. | 미소장 |
36 | 조석훈(2010). 교원자격의 구조 분석과 관계법의 재구조화 방안. 교육법학연구, 22(1), 117-144. | 미소장 |
37 | 최영(2012). 중등 과학교사의 수업 샐행 전문성의 발달과 학습 틀. 과학교육연구지, 34(1), 124-139. | 미소장 |
38 | 최재호, 전신영(2023). 인공지능 시대의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대학 교수・학습 연구, 16(3), 95-122. | 미소장 |
39 | 한국교육개발원(2015).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 (4)교원역량지수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40 | 한화정, 심규철(2014).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인성 활동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3), 599-611. | 미소장 |
41 | 허영주(2021).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역량지표 및 성취수준 개발. 교육문화연구, 27(4), 323-357. | 미소장 |
42 | 홍선주, 안유민, 최영인(2019). 미래 학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모델링. 교육문화연구, 25(3), 265-288. | 미소장 |
43 | 황은희, 백순근(2008).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의 비교 연구. 교육평가연구, 21(2), 53-74. | 미소장 |
44 | APEID (1985). Training of scien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port of technical working group. Quezon City, Philipines, 17-27. | 미소장 |
45 | Delbecq, A. L., Van de Ven, A. H. & Gustafson, D. H. (1975).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A guide to nominal and Delphi Processes. Glenview, IL: Scott, Foresman. | 미소장 |
46 | Glesne, C. (2016).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Pearson. One Lake Street,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07458. | 미소장 |
47 | Lubis, A. S., Absah, Y. & Lumbanraja, P. (2019). Human Resource Competencies 4.0 for Generation Z. Europ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tudies, 3(1), 95-105. | 미소장 |
48 | Moore. K. D., & Blankenship, J. W. (1978).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teacher needs and selected teacher varibl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6), 512-518. | 미소장 |
49 |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Summary of the final report. OECD Press. | 미소장 |
50 | Rowe, G. & Wright, G. (2001).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In J. Armstrong(Ed.). Principles of Forecasting, 125-144. Boston: Kluwer Academic. | 미소장 |
51 | Sahlberg, P. (2011). Finnish Lessons. What Can the World Learn from Educational Change in Finland?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 미소장 |
52 | Yager, R. E., & Lunetta, V. N. (1984). Newfoci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6), 37-4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