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경상남도 혁신학교라 할 수 있는 행복나눔 초등학교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 및 운영 경험을 근거이론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근거이론적 연구를 수행한 것은 실천현장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축적된 운영경험 사례들을 이론적, 학술적으로 성찰하여 일반학교로 확산하려는 요구가 있어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경남의 10개 행복나눔 초등학교 중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세 학교를 선정하여, 현장탐방 및 심층면담, 포커스그룹 워크숍, 내용분석과 같은 질적 자료수집과 개방, 축, 선택코딩의 근거이론적 자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과 운영의 현상, 개념, 범주 간 관계 이해를 위한 근거이론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로 1) 성공적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의 중심현상으로서 수업혁신과 전문성 개발을 넘어 교사 성장과 정체성 나눔, 2) 인과적 조건으로서 교사들의 자발적 의지와 교육철학의 공유, 3) 중재적 조건으로서 리더 역할과 리더십 분산, 3)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서 자율과 책무 간 리듬타기, 재맥락화, 체제화, 4) 맥락적 조건으로서 민주적 교사문화와 학교규모에 따른 다양한 접근, 6) 구축의 결과로서 내실 있는 교육과정과 수업, 교사 리더의 배출, 공동체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형성 등을 도출하였고,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연계하여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고도화 방안 연구 = A Delphi study on advancement of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문한나, 박상오 p. 5-22

“AI 윤리와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related to "AI ethics and education" 김철 p. 23-41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S대학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S university faculty to strengthen teaching competence : focusing on Borich need assessment and LF model : Borich 요구도와 LF모델을 중심으로 유영의, 장은정 p. 43-61

ESG 관점에서 교양교과목 개발 과정 =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s from an ESG perspective : focusing on S university's liberal arts subject <Sustainable Future and Solution Design (Based on Cultural Contents)> : S대학 교양교과목 <(문화콘텐츠 기반) 지속가능한 미래와 솔루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전정옥 p. 91-111

대학생의 부정적 자기개념과 사회불안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elf concept and social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s of validation from others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s sequential mediators : 타인인정추구와 정서표현억제의 순차 매개효과 박유림, 신효정 p. 113-132

한국 대학 중국인 유학생의 성공적 학습전략 탐구 = Exploring the learning strategies of academically successful Chinese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소애진, 이수지, 정정훈 p. 133-155

중등 과학교사 직무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 도출 = Derivation of core competencies to strengthen the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김영준, 맹희주, 손연아 p. 157-185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영향요인 분석 =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the MZ and the older generation 이문정, 김경리 p. 187-208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과 운영에 대한 근거이론적 모형 탐색 = A grounded theory study on building and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focusing on the case of innovativ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nam-do, Korea : 경상남도 행복나눔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헌, 박수억 p. 209-235

부모의 교육적 성공에 대한 인식 및 자녀에 대한 학업관여와 청소년의 심리적 분리 사이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educational success and intervention in their children's learning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박수진, 김태한 p. 237-256

10대 남자 청소년의 페미니즘 인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feminism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le teenagers 이수정, 김자영 p. 257-286

초기 청소년의 평일 및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 Weekday and weekend media usage type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arly adolescents : foc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김균희, 공수연 p. 287-309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영어유치원’ 담론 분석 = "English language kindergarten" discourse in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의 적용 정옥경, 고온조, 김경근 p. 311-338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차이 분석 =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faculties for improv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 focusing on 'H' university : H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진희 p. 63-90

참고문헌 (4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정·이문향·공상호·조현정·장세정·최수아 (2022). 행복나눔학교 교육과정 일반화 방안 연구. 경상남도교육청. 미소장
2 곽영순(2015). 교사 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8(2), 83-104. 미소장
3 경기도교육청(2012). 혁신학교 기본문서. 경기도교육청. 미소장
4 경상남도교육청(2021a). 2021 행복학교 선정 교원 직무 연수. 경상남도교육청. 미소장
5 경상남도교육청(2021b). 경남 초등 미래형 혁신학교 성장지원연구. 경상남도교육청. 미소장
6 경상남도교육청(2022a). 행복학교[3.0] 운영 기본 계획. 경상남도교육청. 미소장
7 경상남도교육청(2022b). 행복학교운영사례집: 배움과 협력이 있는 미래형 학교. 경상남도교육청. 미소장
8 경상남도교육청(2022c). 경남 초등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연구 및 일반화. 경상남도교육청. 미소장
9 김경남, 김신주, 임희숙, 김민호(2023). 초등 초임교사의 수석교사와 함께 한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경험. 한국교원교육연구, 40(2), 217-243. 미소장
10 김도헌 (2008). 교사들의 지식공유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실천공동체의 발달과정: 인디스쿨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24(2), 1-30. 미소장
11 김동원, 이정표(2022).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요구분석: 충북교원을 대상으로. 교원교육, 38(2), 111-133. 미소장
12 김병수(2014).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초등학교 국어수업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50, 7-35. 미소장
13 김영환(2019). 국내 혁신학교 관련 연구주제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6), 113-132. 미소장
14 김지현, 정재범, 김준희(2023).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효과성평가: 전산화 신경 인지검사를 활용하여. 평생교육·HRD연구, 19(1), 1-28. 미소장
15 김효정, 한재범(2021).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교사리더십 관계에 대한 탐색적 사례 연구. 문화와 융합, 43(4), 981-1001. 미소장
16 박민선, 최성욱(2017).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 내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교원교육, 33(2), 171-203. 미소장
17 박종필, 이세정(2021).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27(4), 1-26. 미소장
18 박희진, 고영규, 권동택(2018).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저해요인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651-674. 미소장
19 배정현, 박미희(2020).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분석: 경기도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309-308. 미소장
20 백병부(2019).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9년 이후 학교변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2), 121-148. 미소장
21 백병부, 성열관, 양성관(2015).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기본연구 2015-04. 미소장
22 류영철(2019). 혁신학교 교직원 회의 문화특질에 대한 해석적 분석. 교육과학연구 21(1), 81-112. 미소장
23 서경혜(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미소장
24 서경혜(2015). 교사학습공동체. 학지사. 미소장
25 서경혜(2019).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6(2), 105-130. 미소장
26 오영범(2021).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사례를 통한 성찰적 글쓰기의 수업개선 가능성. 초등교육연구, 34(4), 55-81. 미소장
27 오영범, 정영애(2016). 한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들의 혁신학교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육 43(1), 123-154. 미소장
28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미소장
29 유하원, 김수연, 장재홍(2022).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 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9(4), 175-199. 미소장
30 윤정, 강에스더, 조영하(2016).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4), 155-185. 미소장
31 이세미, 김기영, 김해련, 김영식, 김이경(2020). 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역량함양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과정중심평가 연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7(4), 435-455. 미소장
32 이수민, 김경식(2020). 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실천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교육사회학연구, 30(1), 143-177. 미소장
33 이주연, 이경언, 정영근, 이민형, 임유나(2019).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9-6. 미소장
34 정찬빈, 김회용(2022). 비자발적 혁신학교의 학교단위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동 사례 연구. 교육혁신연구, 32(2), 173-197. 미소장
35 최종진, 박균달(2018).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12(3), 209-233. 미소장
36 최정안(2019).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점화 정책집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혼합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37 한재범, 김효정(2020). 경력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현주소와 시사점. 인문사회21, 11(6), 1469-1482. 미소장
38 허주, 최원석(2019).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원교육, 35(2), 147-169. 미소장
39 Andrews, D. & Lewis, M. (2002). “The experience of a professional community: Teachers developing a new image of themselves and their workplace”. Educational Research 44(3), 237-254. 미소장
40 Cresswell, J. W. (2002).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ve and qualitative research.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미소장
41 DuFour, R.(2004).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Leadership, 61(8). 6-11. 미소장
42 Hord, S. M.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ERIC Document. 미소장
43 Hord, S. M. (2004). Learning together, leading together: Changing schools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er College Press. 미소장
44 Reeves, T. C. (2000). Enhancing the worth of instructional technology research through "design experiments" and other development research strategies. Paper presented on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미소장
45 Strauss, A. L. & Cobin, J. M.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46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47 Wenger, E., McDermott, R. & Snyder, W. M.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Boston, MA: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미소장
48 Wenger, E. & Snyder, W. M. (2000).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