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곽선정(2006). 아버지와 의사소통 수준, 정서적 교육지원, 학업기대수준이 청소년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권미경(2009).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자녀의 지각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5(2), 164-170. | 미소장 |
3 | 김경근(2016). 한국사회 교육열의 동인, 유산, 승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교육학연구, 54(1), 229-257. | 미소장 |
4 | 김경숙(2009). 강남 학부모의 자녀 학업지원활동 특성과 자녀교육에 대한 신념.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수정, 박혜준(2020). 성인이행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유형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31(1), 211-233. | 미소장 |
6 | 김은영(1993).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은정(2019). 청소년 자녀의 건강한 경계선 형성과 분리-개별화를 위한 부모의 역할. 학부모연구, 6(3), 1-19. | 미소장 |
8 | 김의철, 박영신(2008).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Ⅱ):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와 사회문제, 14(1), 63-109. | 미소장 |
9 | 김혜온, 이진순(2006). 한국과 독일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2), 21-40. | 미소장 |
10 | 남미자, 배정현, 오수경(2019). 교육열, 능력주의 그리고 교육 공정성 담론의 재고(再考): 드라마 |
미소장 |
11 | 문상석, 염유식(2010). 학벌과 불행: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현대사회와 문화, 31, 73-102. | 미소장 |
12 | 박한솔, 하정희, 최기현(2020). 고등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갈등적 독립)이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12), 373-400. | 미소장 |
13 | 변수용, 김경근(2008).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1), 39-66. | 미소장 |
14 | 손승영(2009). 한국 가족의 청소년 자녀 사회화 연구: 부모의 기대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1), 57-84. | 미소장 |
15 | 심미옥(2003).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2), 333-358. | 미소장 |
16 | 심혜숙, 전순희(2008).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의 관계. 교육연구, 18, 67-87. | 미소장 |
17 | 오남경, 권혁철, 이영순(2012).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리개별화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분리불안과 함입불안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19(1), 85-102. | 미소장 |
18 | 오명희, 장윤옥(2007).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4), 57-74. | 미소장 |
19 | 이도형, 김예은, 유소영, 김명선, 박미정, 연규진(2018). 부모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지각하는 대학생들의 부모기대에 대한 경험: 합의적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821-853. | 미소장 |
20 | 이수빈, 김동일(2022). 실제자기-부모기대 불일치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3(5), 81-100. | 미소장 |
21 | 이인영, 정영숙(2016). 청년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4), 123-144. | 미소장 |
22 | 이지영(2011).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공격성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이희영, 최태진(2005). 부모의 양육행동과 후기 청소년의 심리적 분리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6(2), 93-123. | 미소장 |
24 | 전예지, 이재림(2014). 대학생과 미취업 대졸자 청년이 지각한 부모의 진로기대,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3), 119-146. | 미소장 |
25 | 정은희(1992). 부모로부터의 독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정제영, 정예화(2015). 부모의 교육적 관여 수준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7), 73-93. | 미소장 |
27 | 조화진, 서영석(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411. | 미소장 |
28 | 최인재(2006). 한국인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상담학연구, 7(3), 61-773. | 미소장 |
29 | 한정규(2016).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과보호가 여고생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7(3), 153-169. | 미소장 |
30 | 허묘연(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 미소장 |
31 | 현주, 이재분, 이혜영(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3-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2 | Angelike, & Grigoris (2000).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to the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young adult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4), 451-464. | 미소장 |
33 | Blos, P. (1967). The second individuation process of adolescence. Th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22(1), 162-186. | 미소장 |
34 | Blos, P. (1979). The Adolescent Passage: Developmental Issues. New York,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 미소장 |
35 |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New York, NY: Greenwood Press. | 미소장 |
36 | Caldwell, L., & Joyce, A. (2015). 한국정신분석학회 역. 리딩 위니코트. 서울: 눈출판그룹. (원서 출판 2011). | 미소장 |
37 | Christie, D., & Viner, R. (2005). ABC of adolescence: Adolescent development. British Medical Journal, 330(7486), 301-304. | 미소장 |
38 | Christopoulos, A. L. (2003).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An exploratory study with Greek adolescents. Psychology: The Journal of the Hellenic Psychological Society, 10(2-3), 248-257. | 미소장 |
39 | Grolnick, W. S. (2003). The Psychology of Parental Control: How Well-meant Parenting Backfir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40 | Havighurst, R. (195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2nd ed.). New York, NY: David McKay. | 미소장 |
41 | Hill, N. E., & Taylor, L. C. (2004). Parental school involvemen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Pragmatics and issu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3(4), 161-164. | 미소장 |
42 | Hoffman, J. A. (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of late adolescents from their par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0-178. | 미소장 |
43 | Josselson, R. (1988). The embedded self: I and thou revisited. In D. K. Lapsley & F. C. Power (Eds.), Self, Ego, and Identity: Integrative Approaches (pp. 91-106). New York, NY: Springer. | 미소장 |
44 | Kins, E., Beyers, W., & Soenens. B. (2012).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ysfunctional separation-individuation: A tale of two different dynamic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7(1), 1-12. | 미소장 |
45 | Lapsley, D. K., Rice, K. G., & Shadid, G. E. (1989).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3), 286-294. | 미소장 |
46 | Mahler, M. S., Pine, F., & Bergaman, A. (1997). 이재훈 역. 유아의 심리적 탄생–공생과 개별화.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서 출판 1975) | 미소장 |
47 | McElhaney, K. B., Allen, J. P. (2001). Autonomy and adolescent social functio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 Child Development, 72(1), 220-235. | 미소장 |
48 | Spokas, M., & Heimberg, R. G. (2009). Overprotective parenting, social anxiety,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3(6), 543-551. | 미소장 |
49 | Sroufe, L. A. (2005). Attachment and development: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from birth to adulthood.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7(4), 349-367. | 미소장 |
50 | Stavrou, P., D. (2022). The failure of separation and individuation in adolescence leading to addictions. Psychology, 13(8), 1314-133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