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등교육법(2011.07.21). 고등교육법. 제2조(학교의 종류).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30710&lsiSeq=251527#0000 | 미소장 |
2 | 고은선, 장미란(2023).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 교양교육과정의 질 진단 및 개선 방안. 교육문화연구, 29(3), 191-214. | 미소장 |
3 | 교육부(2014.12.24.). 2015년 대학 구조개혁 평가 기본계획 확정. 12-24(수)조간보도자료(대학구조 개혁 평가방안 확정발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20402&opType=N&boardSeq=58070 | 미소장 |
4 | 김대현(2017). 교육과정의 이해(2판).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5 | 김양희(2021).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2(2), 2457-2468. | 미소장 |
6 | 김영채(2014). CPS 창의 프로그램과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유원사. | 미소장 |
7 | 민춘기(2020).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의 방법 이론- TPACK와 대학교수법 중심. 교양교육연구, 14(4), 225-238. | 미소장 |
8 | 박종진(2022).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연구-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8(1), 285-290. | 미소장 |
9 | 박혜정(2018).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2), 65-87. | 미소장 |
10 | 서일보(2023).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A전문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7(1), 183-195. | 미소장 |
11 | 성귀복(2018). 예비영어교사의 문제해결역량 증진을 위한 디자인사고 프로세스 활용 프로젝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781-806. | 미소장 |
12 | 신영헌(2021). H대학교 교양이수체계 개편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2), 341-361. | 미소장 |
13 | 신철균, 변혜영, 어성민, 김성목(2020).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A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3), 217-231. | 미소장 |
14 | 윤유진(20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2), 311-325. | 미소장 |
15 | 이정열, 김삼섭(2019).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요구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12), 545-554. | 미소장 |
16 | 이청민, 정제영, 양민석(2020).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2(5), 109-121. | 미소장 |
17 | 이효성, 차성현(2020).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방안 탐색: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6), 253-265. | 미소장 |
18 | 정선호(2016).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10(4), 283-310. | 미소장 |
19 | 정연재, 주소영, 정기섭, 이영선(2021). 교양교육과정 개편의 조건과 방향에 대한 탐색- I 대학교 개편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5(4), 251-263. | 미소장 |
20 | 정제영, 김성기, 김무영, 이윤희, 선미숙, 이아진(2015).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교원의 요구도 분석: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1), 231-250. | 미소장 |
21 |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 미소장 |
22 | 조무정, 박선영(2023). 교양필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17(3), 259-276. | 미소장 |
23 | 조헌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53-89. | 미소장 |
24 | 최화숙(2016). 핵심역량에 근거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 243-250. | 미소장 |
25 |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 미소장 |
26 | Mink O. G., Shultz J. M., Mink B. P., & Formosa A. R. (1991). Developing &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s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Austin, TX, USA. | 미소장 |
27 | UNESCO(2005). 핵심역량 정의 및 선정 프로젝트(DeSeCo Project) 요약. https://www.deseco.ch/bfs/deseco/en/index/03/03.parsys.72387.downloadList.48879.DownloadFile.tmp/2005.dsc.executivesummary.ko.pdf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