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대학인 H대학교의 학생과 교원의 인식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고도화 및 개선을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생은 425명, 교원은 48명이 응답하였다. 조사 문항은 총 37문항이며, 분석방법은 SPSS 25.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양교육과정의 실수요자인 학생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학생 친화형 교양교육과정 운영 방안 마련 필요, 둘째, 교양교육 목표 달성 정도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과 성과지표 마련, 셋째, 교육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중․장기적 단계별 개선 방안 마련과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의 다양성 이해 필요, 넷째, 핵심역량의 실제적인 향상을 위하여 핵심역량별 대표 교양 교과목의 선정 및 교양교육과정에 기대되는 핵심역량을 중점적으로 강화하는 등의 전략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고도화 방안 연구 = A Delphi study on advancement of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문한나, 박상오 p. 5-22

“AI 윤리와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related to "AI ethics and education" 김철 p. 23-41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S대학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S university faculty to strengthen teaching competence : focusing on Borich need assessment and LF model : Borich 요구도와 LF모델을 중심으로 유영의, 장은정 p. 43-61

ESG 관점에서 교양교과목 개발 과정 =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s from an ESG perspective : focusing on S university's liberal arts subject <Sustainable Future and Solution Design (Based on Cultural Contents)> : S대학 교양교과목 <(문화콘텐츠 기반) 지속가능한 미래와 솔루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전정옥 p. 91-111

대학생의 부정적 자기개념과 사회불안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elf concept and social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s of validation from others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s sequential mediators : 타인인정추구와 정서표현억제의 순차 매개효과 박유림, 신효정 p. 113-132

한국 대학 중국인 유학생의 성공적 학습전략 탐구 = Exploring the learning strategies of academically successful Chinese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소애진, 이수지, 정정훈 p. 133-155

중등 과학교사 직무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 도출 = Derivation of core competencies to strengthen the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김영준, 맹희주, 손연아 p. 157-185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영향요인 분석 =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the MZ and the older generation 이문정, 김경리 p. 187-208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과 운영에 대한 근거이론적 모형 탐색 = A grounded theory study on building and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focusing on the case of innovativ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nam-do, Korea : 경상남도 행복나눔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헌, 박수억 p. 209-235

부모의 교육적 성공에 대한 인식 및 자녀에 대한 학업관여와 청소년의 심리적 분리 사이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educational success and intervention in their children's learning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박수진, 김태한 p. 237-256

10대 남자 청소년의 페미니즘 인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feminism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le teenagers 이수정, 김자영 p. 257-286

초기 청소년의 평일 및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 Weekday and weekend media usage type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arly adolescents : foc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김균희, 공수연 p. 287-309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영어유치원’ 담론 분석 = "English language kindergarten" discourse in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의 적용 정옥경, 고온조, 김경근 p. 311-338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차이 분석 =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faculties for improv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 focusing on 'H' university : H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진희 p. 63-90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등교육법(2011.07.21). 고등교육법. 제2조(학교의 종류).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30710&lsiSeq=251527#0000 미소장
2 고은선, 장미란(2023).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 교양교육과정의 질 진단 및 개선 방안. 교육문화연구, 29(3), 191-214. 미소장
3 교육부(2014.12.24.). 2015년 대학 구조개혁 평가 기본계획 확정. 12-24(수)조간보도자료(대학구조 개혁 평가방안 확정발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20402&opType=N&boardSeq=58070 미소장
4 김대현(2017). 교육과정의 이해(2판). 서울: 학지사. 미소장
5 김양희(2021).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2(2), 2457-2468. 미소장
6 김영채(2014). CPS 창의 프로그램과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유원사. 미소장
7 민춘기(2020).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의 방법 이론- TPACK와 대학교수법 중심. 교양교육연구, 14(4), 225-238. 미소장
8 박종진(2022).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연구-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8(1), 285-290. 미소장
9 박혜정(2018).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2), 65-87. 미소장
10 서일보(2023).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A전문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7(1), 183-195. 미소장
11 성귀복(2018). 예비영어교사의 문제해결역량 증진을 위한 디자인사고 프로세스 활용 프로젝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781-806. 미소장
12 신영헌(2021). H대학교 교양이수체계 개편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2), 341-361. 미소장
13 신철균, 변혜영, 어성민, 김성목(2020).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A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3), 217-231. 미소장
14 윤유진(20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2), 311-325. 미소장
15 이정열, 김삼섭(2019).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요구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12), 545-554. 미소장
16 이청민, 정제영, 양민석(2020).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2(5), 109-121. 미소장
17 이효성, 차성현(2020).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방안 탐색: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6), 253-265. 미소장
18 정선호(2016).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10(4), 283-310. 미소장
19 정연재, 주소영, 정기섭, 이영선(2021). 교양교육과정 개편의 조건과 방향에 대한 탐색- I 대학교 개편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5(4), 251-263. 미소장
20 정제영, 김성기, 김무영, 이윤희, 선미숙, 이아진(2015).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교원의 요구도 분석: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1), 231-250. 미소장
21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미소장
22 조무정, 박선영(2023). 교양필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17(3), 259-276. 미소장
23 조헌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53-89. 미소장
24 최화숙(2016). 핵심역량에 근거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 243-250. 미소장
25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미소장
26 Mink O. G., Shultz J. M., Mink B. P., & Formosa A. R. (1991). Developing &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s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Austin, TX, USA. 미소장
27 UNESCO(2005). 핵심역량 정의 및 선정 프로젝트(DeSeCo Project) 요약. https://www.deseco.ch/bfs/deseco/en/index/03/03.parsys.72387.downloadList.48879.DownloadFile.tmp/2005.dsc.executivesummary.ko.pdf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