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몽골의 음주문화를 살피고 원대 새롭게 조합된 금속제 음주기의 기형, 문양, 기법 등을 분석하여 원대 음주기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원을 포함한 몽골제국에서 발견된 음주기도 함께 비교하여 기물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이들 지역 간의 교류 양상도 탐색하였다.

몽골이 세운 원대에 사용된 음주기는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그들이 음용한 주류의 특성과 음주 취향, 그리고 몽골제국의 확장에 따른 다양한 민족ㆍ문물ㆍ문화적 요소가 융합되면서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원대 신유형의 음주기는 몽골제국에 속한 러시아 남부의 주치 울루스와 중동의 훌레구 울루스에서도 등장하였다. 이는 지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거리를 초월한 ‘대몽골 울루스’ 라는 하나의 연합체 안에서 음주문화가 공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대 음주기는 금속기와 도자기로도 두루 제작되어 재질 간의 기형을 공유했을 뿐만 아니라 고려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인안나/이슈타르 도상과 정체성의 변화 = The transformation of the Mesopotamian goddess Inanna/Ishtar's iconography and identity 이승희 p. 7-39

금대(金代) 동경(銅鏡)의 회화적 특징과 제작 여건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of bronze mirrors from the Jin Dynasty 박진경 p. 41-67

원대 음주기로 본 몽골제국의 동서교류 = A study of East-West exchange in the Mongol Empire through the drinking vessels of the Yuan Dynasty 최국희 p. 69-100

일본 16세기 낙중낙외도(洛中洛外圖)의 정월 풍속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image of the customs of the first month of the lunar year of the Rakuchu-Rakugai-zu folding screen in the 16th century in Japan 김현지 p. 101-133

원주 구룡사 금고의 양식적 특징과 제작 시기 = The stylistic character and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Buddhist gong of Guryongsa Temple located in Wonju City 이용진 p. 135-159

조선 후기 왕실 목공예품용 왜주홍(倭朱紅) 안료의 위계와 활용 = Hierarchy and utilization of Waejuhong, the red pigment for royal family's woodcraft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김미라 p. 161-199

조선 후기 의궤 사수도의 변화 = The change of four auspicious beasts paintings in Uigwe : a focus on the Lacquer of Jaegu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재궁가칠의 시행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신영주 p. 201-232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연구 = A study on the ordination platform of Yongyeonsa Temple in Dalseong 김정윤 p. 233-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