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우리나라는 1994년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바이오산업 육성을 시작하였다. 이후 2023년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바이오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분야를 넘어 새로운 ‘주력산업’으로서 육성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1~3차 기본계획 기간인 1994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29년간의 바이오 육성정책과 성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정 산업부문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이론인 산업혁신체제(Sectoral Innovation System)와 선행연구를 통해서 바이오 부문 육성을 위한 4대 중요요소(① 선진국 지식 접근, ② 과학역량 기반 구축, ③ 학습 및 지식축적, ④ 과학기술의 산업화 역량)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1~2차 기본계획 기간에는 정부 주도 투자를 통해 양적ㆍ질적 성장과 기술력 축적이 이루어졌다. 이후, 대형 기술이전 성과 창출, 대기업들의 진출 등이 연계되며 제3차 계획 기간 산업 성장이 가속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바이오 부문의 자국 내 지식축적보다는 선진국과 격차 해소를 위한 빠른 추격에 주력하였다. 다만 추격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선진국 지식 접근 노력은 다소 소극적이었다는 특징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의 “접근-습득-학습-축적-성과”라는 일련의 과정 측면에서 바이오 육성 정책과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로서 추격 중심의 육성정책을 넘어 ‘선도국(First mover)’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