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세기 초반과 중반 한국사회와 한국불교계는 일련의 대변화를 겪었다. 한국 비구니공동체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격변의 과정은 다양한 시련을 겪어야 했던 고난의 시간이자, 동시에 그동안 한국 비구니 역사에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기회이기도 했다. 지리적으로 볼 때 탑골 보문사는 서울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비구니공동체였다. 은영과 보문사 비구니공동체는 조선왕조 말기 권력을 향유하던 세력가 집안과 일제강점기 친일권승의 횡포와 위협을 받고 공동체 자체가 궤멸될 뻔한 큰 위기들을 수차례 겪었으나 민주적인 의사 결정 방식과 은영의 결단력 있고 미래지향적인 리더십 덕분에 위기를 기회로 삼아 누구보다 앞서 현대적 승가공동체의 모델을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손에 의해 그동안 남성출가자 공동체에서만 운영되었던 강원과 선원을 비구니만을 위해 개설하고 사찰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범패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이를 자신들의 공동체뿐 아니라 전국의 비구니공동체 일원에게 개방하였다. 건축에 있어서도 당시로서는 불교계는 물론 사회 전체에서 앞서가는 건축물을 세워 혁신을 주도하였다. 또한 비구니들만을 위한 비구니종단을 세계 최초로 창종하여 여성출가자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은영의 입적 후 보문종의 활동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보문종 창종 취지는 오늘날의 시각에서 살펴본다 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훌륭하다. 이제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재도약하여 지속해서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담연당 선경의 삶과 수행 = The life and Buddhist practice of Damyeon Seongyeong 정혜련 p. 13-48

비구니 은영의 생애와 보문종 창종의 의의 = The life of Bhikkhuni Eunyeong and the significance of her establishing the Bomun Order 전영숙 p. 49-93

『한마음요전』에 나타난 계바라밀의 고찰 = Exploring the perfection of ethics as presented in The Principles of the One Mind 이충환 p. 95-133

공사상의 전개 = Buddhist conceptual development of emptiness : Myogong Daehaeng's concept of Juingong and the practice of emptiness : 묘공당 대행의 주인공과 공의 실천 윤종갑 p. 135-175

『논궤論軌』(Vādavidhi)는 외도의 궤변인가? = Was Vādavidhi the sophistry of non-Buddhists? : focusing on Dignāga's Disapproval of Vasubandhu's writing : 디그나가의 바수반두의 저작 불인정을 중심으로 박대용 p. 179-215

일본 정토종 종조 호넨(法然)의 보리심관(菩提心觀) = Japanese Jodo School founder Honen's concept of Bodhicitta 김춘호 p. 217-252

문화콘텐츠 활용을 위한 불교 비평 체계 = Buddhist critique system applicable for the use of cultural content : interpreting the drama When the Camellia Bloom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불교로 읽기 최원섭 p. 253-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