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재난문학’이라는 개념을 좁게, 즉 실제로 발생한 역사적 재난에 대한 대응으로 제출된 작품으로 규정한다. 재난문학은 현실 재난의 사실적 국면들을 반영할 것이고, 특히 중요한 재현 대상은 재난 그 자체라기보다는 재난 시기의 인간 행동 패턴이 될 것이다. 이를 사회적 연대(social solidarity)와 사회적 갈등(social conflict)으로 나눌 수 있다. 재난문학은 이에 대한 이중적 대응이다. ‘사회적 연대’에 동참하거나 그것을 창조하고, ‘사회적 갈등’에 개입해서 그 근거를 해체한다. 첫 번째 유형을 ‘치유서사’라 부를 수 있다. 피해자들의 고통을 언어화하여 그 고통에 형상(figure)을 부여하고 그것이 공적 영역 속에 존재하도록 만든다. 사회적 연대의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치유서사의 몫이다. 두 번째 유형을 ‘대항서사’라 부를 수 있다. 재난을 바라보는 특정한 인식/서사가 지배서사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사회적 갈등을 촉발할 때 대항서사로서의 재난문학은 재난을 달리 사고하는 방식(대안적 재난 인식)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서사 투쟁에 참여한다. 본고는 21세기 이후 사회재난과 자연재난의 상징적 사례라고 할 ‘9·11 테러’와 ‘3·11 동일본대지진’을 대상으로 삼아 치유서사와 대항서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작품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고가 제시한 개념들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재난문학론의 정립을 위한 기초를 마련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term “disaster literature” is narrowly defined: works submitted in response to actual historical disasters. Disaster literature will reflect the factual aspects of real disasters, and of particular importance will be the patterns of human behavior in times of disaster, rather than the disaster itself. This can be divided into social solidarity and social conflict. Disaster literature is a dual response to this. It joins or creates social solidarity and intervenes in social conflict to dismantle its basis. The first type can be called ‘healing narratives’. It verbalizes the suffering of the victims, gives it a figure and allows it to exist in the public sphere. The role of the healing narrative is to mediate social solidarity. The second type of narrative can be called ‘counter-narrative’. When a particular perception/narrative of disaster takes the place of the dominant narrative and triggers social conflict, disaster literature as a counter-narrative participates in the social narrative struggle by offering a different way of thinking about disaster (alternative disaster perception). This paper examines works that fulfil their roles as healing narratives and counter-narratives by taking the September 11 attacks and the Tōhoku earthquake and tsunami as symbolic cases of social and natural disasters in the 21st century. In doing so, we will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ncepts presented in this paper and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a theory of disaster litera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L 닥터로우의 『앤드류의 뇌』에 나타난 뇌과학과 기억 연구 = Study on neuroscience and memory in E.L. Doctorow’s Andrew’s Brain 김대중 p. 5-26
불가능한 부활 = The impossible rebirth : the subjectivities in the age of finance capitalism in The Razor’s Edge : 『면도날』에서 본 금융 자본주의 시대의 주체성 손일수 p. 27-49
9·11과 3·11, 혹은 문학의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에서 = 9·11 and 3·11, or at ground zero of literature : essays on the theory of disaster literature. 1 : ‘재난문학론’을 위한 시론(試論). 1 신형철 p. 51-80

현대문학의 창조적 진화에 관하여 = On the creative evolution of modern literature : reading Austerlitz : 『아우스터리츠』 론 유희석 p. 81-115
포스트휴먼 칸트의 단초 = Clues to posthuman Kant : Deleuze-Foucault’s Kantianism without humanity : 들뢰즈-푸코의 인간 없는 칸트주의 윤영광 p. 117-148
프랑스 이론과 사이버네틱스 = French theory and cybernetics 이택광 p. 149-167
주디스 버틀러와 몸의 정치윤리 = Judith Butler and the ethics and politic of bodies : vulnerability, precarity, and open solidarity : 취약성, 프레카리티, 그리고 몸들의 열린 연대를 위하여 정혜욱 p. 169-204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나타난 여성 유토피아 비전과 철인 통치 국가론 = Huxley’s vision of gender utopia and the philosopher-ruled state in The Brave New World 조현준 p. 205-227
(The) political claim of Deleuzean shame = 들뢰즈의 수치의 정치성 Woosung Kang p. 229-260
Exploring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in the Deleuzean light of pure becoming and affect = 들뢰즈의 순수생성과 정동 이론을 적용한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분석 Jae-seong Lee p. 261-291
Revisiting the realism/modernism debate = 리얼리즘-모더니즘 논쟁의 재사유 :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재현의 윤리 : Marxist thought and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Hyeryung Hwang p. 293-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