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이 심리상담을 받고자 하는 의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상담을 받는 행동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개념도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하여 심리상담을 받아볼 의사가 있으나, 실제로 심리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없는 경력 2년 이상의 초등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개별 면접을 시행하였다. 아이디어 진술문을 수집하고, 종합 및 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52개의 최종 진술문이 추출되었다. 이에 대해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고,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 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상담추구행동 장애요인에 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초등교사들이 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분류를 한 결과를 활용하여 개념도 분석을 한 결과, 6개 군집은 (1) ‘정보 및 기회의 부족’, (2) ‘자기 자각 및 자기돌봄 부족’, (3) ‘상담 이외의 대안책 활용’, (4) ‘도움 추구에 대한 소극적인 신념과 태도’, (5) ‘상담 기관과 상담사에 대한 낮은 신뢰’, (6)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중 가장 높은 중요도 평정 결과가 나타난 군집은 (2) ‘자기 자각 및 자기돌봄 부족’ 군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상담 연구와 정책에 관한 향후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barriers that do not lead to actual counseling-seek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job stress and burnout, despite their intention to receive counseling.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with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who were willing to receive psychological counseling due to the job stress and burnout, but have not actually received counseling. 52 statements were finally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integrating and editing. A conceptual diagram that can visually show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work stress and burnout was deriv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of conceptual diagram analysis using the results of the similarity classification of statements by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the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s were explored in 6 clusters of (1) ‘Lack of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2) ‘Lack of Self-awareness and Self-care’; (3) ‘Using Alternatives than Counseling’; (4) ‘Passive Attitude and Beliefs towards Help-seeking’; (5) ‘Low Confidence in Counseling Institutions and Counselors’ (6) ‘Fear of Stigma’.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2) “Lack of Self-awareness and Self-care” was the most important cluster.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n future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teacher counseling and public policy were provided.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