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루쉰의 《고향》과 모옌의 《만숙인》은 거의 100년 떨어져 있는 지식인의 두 편의 "환향" 서사 소설로, 모두 1인칭 내초점 서사시각을 사용하여 서사를 전개하고 있으며, 《고향》의 "황금빛 둥근 달"인 자연 이미지 서사는 앞뒤가 호응하여 약간 정갈한 기색을 띠며, '길'에 관한 유명한 비서사적 담화도 남겼다. 만숙인'의 '굴러진 용권'인 문화 이미지 서사는 전편을 관통하고 '조숙'과 '만숙'의 변명은 또한 반어적인 비서사적 담화를 사용하여 독자들에게 서사의 공백을 남겼다.

이 두 소설의 서사 내용에서 두 작가는 모두 비교 기법을 사용하여 고향, 고향 사람 및 고향 풍습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였다. 이 둘의 차이는 시대의 차이일 뿐만 아니라 작가의 입장에서도 나타나는데, 루쉰은 계몽자의 입장을 취하고 모옌은 관찰자의 입장을 취하였다. 100년을 뛰어넘은 두 작가, 루쉰은 고향의 쓸쓸함 속에서 희망을 보았고, 모옌은 고향의 소란스러움 속에서 문제를 보았는데, 이는 중국 지식인들에게 전해진 근심 의식을 반영하였다.

이 논문의 비교에서 100년 동안 중국 농촌 지역의 급격한 변화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옌이 루쉰 소설의 서사 예술의 계승과 발전을 볼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he) overt pronoun constraint and Halkomelem = 명시 대명사 제약과 Halkomelem Kim, Kyeong-min p. 1-25

편견에 관한 수사 = Rhetoric of prejudice : focusing on text complexity of Canterbury Tales, Macbeth, and The Merchant of Venice : 『캔터베리 이야기』, 『맥베스』와 『베니스의 상인』의 텍스트 복합성을 중심으로 김민 p. 27-62

전북지역 조선시대 토광묘 변화양상 연구 = A transformation study on the pit of the Joseon Dynasty in Jeonbuk 박춘규 p. 63-89

유신체제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본 ‘군사적 교육’ = Military education as viewed form senior high school curriculum during Yushin regime 야마시타 케이 p. 91-118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문제점 분석 = Analysis of problems in cross-curricular learning in Korea : focusing on practice in school : 관련 규정에 따른 학교현장 실천의 관점에서 이림, 김혜인 p. 119-145

(A) uniform analysis to English such = 영어어휘 such에 대한 일원적 분석 Lee, Jong-hwa, Kim, Kyeong-min p. 147-16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actions and the perceived effects of an online overseas teaching practicum = 온라인 국제교육실습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반응과 실습경험이 미친 효과 Chun, Sun-young p. 169-203

‘사실의 재현’에서 ‘생활의 발견’으로 = From the reappearance of facts to the discovery of everyday life : focus on the forum of "Joseonmundan" and Yeom Sang-seop's critiques : 『조선문단』 합평회와 염상섭의 평론을 중심으로 전훈지 p. 205-237

율격으로 보는 화산 권집의 시 = Hwasan Gwon-Jib's poetry seen in terms of etiquette : focusing on the five-character regulated verses(五言律詩) : 오언율시를 중심으로 정순희 p. 239-272

탈식민적 미술 담론의 플랫폼으로서 비엔날레 = The biennale as a platform for postcolonial art discourse : a focus on the 2018 Gwangju Biennale : 2018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정은진 p. 273-300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신화 재현 = Reenactment of myths of <Spirited Away> 하영미 p. 301-331

(The) racialized female body as a “burning candle” in Jessica Hagedorn’s Dogeaters = 제시카 하게돈의 『개를 먹는 사람들』에 나타난 "타는 양초"로서의 인종화된 여성의 몸 요약 : building one's identity on an incandescent and consumable feminine beauty Bensalah, Sihem p. 333-360

“似而不同” = '같지만 다르다' : 백년을 뛰어넘는 '환향(还乡)' 서사 : 跨越百年的“还乡”叙事 : 鲁迅小说《故乡》与莫言小说《晚熟的人》之对比 杨宗波, 张倩 p. 361-386

论苏轼“南行時期"之山水诗心 = 논"남행"시기 소식의 산수시심 李佳慧, 崔秢僔 p. 387-411

語言學視角下中文菜名與漢語教學研究綜述 = 언어학적 시각에서의 중국어 음식명과 중국어 교육 연구 張麗妹 p. 413-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