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시기의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과 고등학교 시기의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를 다변량 잠재성장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데이터 중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자료인 1차년도 ~ 6차년도 종단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생 시기 체험활동 만족도 초기값이 고등학생 시기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공동체 의식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 시기 체험활동 만족도 초기값이 고등학생 시기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학교적응의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al cognition clar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 dual mediation effect of ability to empathize and cognitive flexibility :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의 이중매개효과 여미정, 이태상 p. 1-30
교육신경학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해석 =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ducational neurology in the Republic of Korea 강문선, 이은정 p. 31-50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color psychotherapy program on emotional expression of migrant youths 이숙경, 김민 p. 51-78
대학생 취업과 채용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and recruitment status 조금주 p. 79-102
쉼터 퇴소 청소년의 사회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rehabilitation of youths discharged from the shelter 류은주 p. 103-12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직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on occupational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강하은, 홍혜영 p. 127-154
초등 고학년의 또래지지와 또래 피드백 태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feedback attitude in peer feedback among upper elementar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 김기쁨, 임효진 p. 155-181
코로나-19시기, 청소년의 학업열의 영향요인 분석 =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academic engagement of adolescents during COVID-19 : comparison analysi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초·중·고 학교급별 비교 이지선, 최려나, 이진혁 p. 183-214
모-자녀 의사소통과 디지털리터러시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digital literacy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and learning flow : 자기 격려와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 이예환, 하정희 p. 215-243
직업결정 상태에 대한 중학생의 자기보고식 응답과 진로성숙도에 따른 예측 분류의 비교 = Comparison of self-reported respon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ccupational decision status and predictive classification based on career maturity 이은준 p. 245-268
코로나-19 이후 심리적 어려움이 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after COVID-19 on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조연수 p. 269-290
초기 성인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early adults :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childhood trauma, depressio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psychache : 아동기 외상, 우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심리적 극통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전다영, 구훈정 p. 291-321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기조절능력,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self-regulation ability, learning flow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은지 p. 323-350

ICD-11 기반 청소년 도박문제 선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CD-11-based adolescent problem gambling screening scale 권선중, 김에스더 p. 351-370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areer adapt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장은지, 김민석 p. 371-390
중학교 시기의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과 고등학교 시기의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분석 =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years’ experience activity, sense of community, schoo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high school years : longitudinal mediation analysis using LGM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장효은 p. 391-414

고위험군 남·여 청소년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부모자녀관계 차이 = Parent-adolescent relation according to behavior problem types of high-risk adolescents : focusing on internalizing-externalizing comorbidity : 내재화-외현화 공존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박진아 p. 415-433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한 아동·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집단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typ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이혜진, 신인수 p. 435-468

청소년지도사의 업무그릿이 정서적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youth worker’s work grit,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satisfaction : 경력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금봉, 김지영, 조현정, 김우철 p. 469-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