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ChatGPT를 활용한 10명의 현직 국어 교사의 서논술형 평가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서논술형 평가 문항 개발의 가능성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논술형 평가 문항 생성 시 효과적인 프롬프트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1)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의 제공(역할, 대상 학년, 성취기준 등)과 2) 성취기준에 대한 해설 및 서논술형 평가의 개발 요건, 3) 문두, 지문, 채점을 위한 정답, 정답 해설, 채점 루브릭 등에 대한 산출 결과에 명시적인 요구를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ChatGPT에 입력하는 프롬프트를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초기에 원하는 답변을 얻지 못해도 단계별(step by step)로 접근하며 프롬프트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AI가 지문을 직접 생성하는 방식보다는 기존의 텍스트를 제시해 주고, AI가 텍스트를 재가공하여 문항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넷째, ChatGPT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채점 자료의 생성과 활용이 용이하지만 이를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비판적 재구성을 거쳐 활용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등학생 텍스트와 전문가 텍스트의 어휘 특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lexic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 and expert text 백유진, 박영민 p. 7-37

나는 어떻게 독서하는 10대가 되었는가 = How did I become a reading teenager 우신영, 김향연 p. 39-75

문법 영역에 대한 고등학교 학습자 인식 유형 탐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secondary learners’ cognitions of grammar area 김범진, 김명하 p. 273-319

초등 국어과 대화 추론 교육의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 of conversational inferenc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손희연 p. 211-241

설득 텍스트로서의 ‘제자해’ 분석 = The analysis ‘Jejahea’ as a persuasive text 박형우 p. 321-351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이 인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for youth on character improvements : based on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 위계적 선형 모형을 중심으로 방상호, 조재윤 p. 77-104

문해력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literacy instruction professionalism 이경남, 이영태 p. 105-128

초등 예비교사의 취약성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창근, 김성한 p. 129-158

디지털 사진을 활용한 초등 학습자의 시 창작 활동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poetry creation activities of elementary learners using digital photography 방승범, 이향근 p. 379-415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말하기에 대한 인식 분석 = Analysis of perception on college students’ speaking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 전북지역 J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박찬흥 p. 159-183

사고 도구로서 AI를 활용한 글쓰기 방법 탐색 = The exploration of writing methods using AI as a cognitive tool 김태호, 박성석, 박혜림 p. 185-209

TTS의 복합 명사 경음 실현 양상에 대한 검토 = Review of tensification patterns in compound noun realization by TTS 이호승, 김아름 p. 353-376

김수영의 ‘신귀거래’ 연작에 나타난 ‘시인’의 존재성 성찰 연구 = An study on the introspection of the poets’ existence in Kim Soo-young’s series of poems ‘New Return Home’ 류순태 p. 417-453

생성형 AI를 활용한 현직 국어교사의 서‧논술형 평가 문항 개발 양상 분석 =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attern of constructive assessment items by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generative AI 최숙기, 박종임 p. 243-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