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물리학과 수학을 언어 연구에 통합하는 것이 언어 이해를 풍부하게 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학제간 접근 방식이 언어학에서 자연 과학 개념을 통합하는 데 있어 특히 큰 격차를 만든 중세 시대의 학제간 언어 연구에서 초기 근대기의 보다 분리된 접근 방식으로의 역사적 전환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함수, 미분 방정식, 엔트로피, 선형 대수학과 같은 과학적 원리들을 검토하면서, 이러한 원리들이 언어 현상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는 언어 처리, 기계 학습, 인공 지능 분야에서 계산 언어학의 역할을 강조하며, 자연어 처리와 번역에서 신경망의 이점을 보여준다. 학제간 연구로의 복귀를 옹호하며, 이 논문은 언어학이 자연 과학을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언어 복잡성을 더 잘 해결할 수 있는 더 역동적이고 포괄적인 분야가 되는 미래를 전망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ntegration of physics and mathematics into linguistic studies, arguing that suc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enriches language understanding. It highlights the historical shift from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language in the medieval era to a more segregated approach in the early modern period, which created a gap in linguistics, especially in incorporating natural science concepts. By examining scientific principles like function, differential equations, entropy, and linear algebra, the paper shows how these can improve our grasp of linguistic phenomena. It emphasizes the role of computational linguistics,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language processing, demonstrating the benefits of neural network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ranslation. Advocating for a return to interdisciplinary study, the paper envisions a future where linguistics leverages the natural sciences to become a more dynamic and comprehensive field, better equipped to address the complexities of language in modern socie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영어 교사의 문해력 지식과 읽기 지도 실행 탐색 = An examination of teachers' knowledge of English literacy skill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이윤 p. 1-21

(The) interdisciplinary nexus = 학제 간 연결 : 언어 연구에서 자연 과학의 역할 : the role of natural sciences in linguistic studies Hosung Nam p. 23-39

Exploring writing strategy use among learners with different levels of L2 writing avoidance = 학습자들의 L2 쓰기 회피 정도에 따른 쓰기 전략 활용 양상 연구 Jeong-eun Kim p. 41-59

Exploring stylistic alignment in L2 conversation = 대화 중에 나타나는 영어학습자의 언어적 스타일 병렬 현상 연구 YeonJoo Jung p. 61-83

Investigating the impact of L2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s on contextual processing in English-medium instruction = 제 2언어학습자의 개인차이가 영어매개 교육시 문맥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Juhyun Jang p. 85-103

영화에서 어휘력 증강을 위한 어휘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xical approach for promoting vocabulary power through movies 이연준 p. 105-124

Construction of identity in L2 academic written discourse = 유학생들의 제2언어 학문적 글쓰기를 통한 정체성 형성에 관하여 : a case study of international students Jin Soo Choi p. 125-140

Colloquialization of American English = 미국영어의 구어화 : 소설 ‘파친코’에 내재된 제한적 관계절 사례 연구 : a case of restrictive relative clauses in the novel ‘Pachinko’ Il Jae Lee, Seunghan Shin p. 141-163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L college students' motivation and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 EFL 대학생의 동기부여와 학습전략 활용의 관계 탐색 Eun Hwa Park p. 165-175

플립러닝 환경에서의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이 영어 어휘 지식과 읽기 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in mobile-assisted flipped learning on developing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강희연 p. 177-197

단어장 작성 조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riteria for creating vocabulary lists : working memory, affect, lexical priming, and strong interaction : 작업 기억, 애정, 어휘 점화, 그리고 강한 유대감 유도형 p. 199-216

Effect of repeated reading on English reading fluency and affective factor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반복 읽기가 한국 중학생의 영어 읽기 유창성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Yong-Bum Yi p. 217-234

(The) effects of in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and revision on L2 learning = 간접 서면 수정적 피드백과 수정하기가 제2언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Bo-Ram Suh p. 235-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