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장애등급제가 폐지됨에 따라 모든 발달장애인이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로 분류되게 되어 본 연구에서는 장애등급별 능력 차이를 분석하여 장애정도가 모두 같지 않음을 확인하고 능력 결함으로 인한 영향(취업 여부, 보호자 돌봄 부담, 보호자 삶의 만족)을 분석하여 장애 정도에 따라 복지서비스 지원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2022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기존 장애등급을 보유한 2,942건의 응답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차이 검증을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집단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가 심할수록 일상생활능력,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인지능력, 의사소통능력, 취업여부, 돌봄부담,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능력 수준이 취업 여부, 보호자 돌봄 부담, 보호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발달장애인은 다양한 장애 정도를 나타내며 그에 따라 지원 요구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능 제한과 복지서비스 필요도를 면밀히 조사하여 필요한 사람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지원하여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n happi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p. 5-23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살펴본 한국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 = Happiness among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in Korea as measured by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김차영, 이인영 p. 25-46

장애인의 직무만족 변화궤적과 예측 요인 = Trajectory and predictiv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서진우, 강종수 p. 47-69

중증 발달장애인 직업만족 자기보고의 필요성 및 보호자 대리응답 시 직장 관계자 소통의 조절효과 = The need for self-reporting of job satisfaction for peop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employer communication when parents respond by proxy 심다빈 p. 71-93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 = The relationship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 a multigroup analysis on aptitude fit and multiple mediation of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 적성적합성에 따른 다집단분석 및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나연, 임예림, 백성욱, 홍세희 p. 95-122

장애인의 정책신뢰 유형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ypes of policy trust and influencing fact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김지우, 김한솔 p. 123-146

전환기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취업 및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n employment and employment maintenance of transition-a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민영, 민은정, 유희정 p. 147-167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청각장애인 삶의 만족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rajectories of deaf people'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using a growth mixture model 고혜정, 김경미 p. 169-197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본인, 교사 및 부모 세 집단의 평정 비교 = Comparisons of self and proxy reports on the qualify of life of Korea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using Self-Report version of QLS-KADD : QLS-KADD의 자기보고용 사용 이나경, 박승희 p. 199-235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지원기준 예측요인 탐색 = Exploring predictors of social services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 the abolition of grade of disabilities 한성훈, 심다빈, 조영희, 김동일 p. 237-262

장애인 교원 인적지원 모델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human support model for teachers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case of S City : S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원호, 이현정, 박지석 p. 263-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