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전문가 중심주의를 넘어서 시민 참여의 과학으로 | 진태원 | p. 2-17 | ||
카르텔, 핵실험, 식민주의 : 핵폐기물 처리라는 재난의 역사 | 우동현 | p. 20-36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방식은 과학적인가? | 이정윤 | p. 37-56 | ||
후쿠시마, 재난의 연대기 | 오은정 | p. 57-75 | ||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어떤 과학 | 이영희 | p. 76-92 | ||
백선엽과 홍범도 : 뉴라이트의 항일무장독립운동 역사 부정과 정쟁화된 역사 전쟁 | 강성현 | p. 178-202 | ||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와 동북아 질서 변화 | 김종대 | p. 203-219 | ||
2024년 대만 총통 선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 : 양안 관계의 미래와 동아시아 평화의 길 | 장영희 | p. 220-235 | ||
'원청(文城)'에서 살아가기 또는 글쓰기 : 위화(余華) 작가 초청 대담 | 대담: 위화, 백원담 | p. 236-270 | ||
함께 사는 삶을 꿈꾸는 노래의 가능성 | 서정민갑 | p. 271-278 | ||
축제가 생태적이지 못한 것은 남탓이다 : 인천평화창작가요제의 경험을 중심으로 | 최경숙 | p. 279-285 | ||
공존·공생은 권력·자본과 불화한다 : 평화와 생태를 노래해온 대중음악 그리고 질문 | 나도원 | p. 286-293 | ||
숨겨진 사람들 | 나영 | p. 316-323 | ||
세상의 굴레, 문학의 굴레 : 김석범의 『언어의 굴레』와 올가 토카르추크의 『다정한 서술자』 | 오길영 | p. 343-355 | ||
정권의 언론 장악은 진행 중? | 김서중 | p. 356-364 | ||
두 권의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기억을 넘어 [서평] | 김인덕 [평] | p. 365-377 | ||
문학과 장소가 만났을 때 [서평] | 정종현 [평] | p. 378-386 | ||
인민의 일상으로 혁명을 주조한 북조선 5년의 기록 [서평] | 이세영 [평] | p. 387-396 | ||
글로벌 세미-노스에서 글로벌 사우스 읽기 [서평] | 옥창준 [평] | p. 397-405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