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국문장편소설과 로맨스 웹소설의 서사 문법상 몇 가지 유사성을 확인하여,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활용 및 대중화의 단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기 위해 국문장편소설과 로맨스 웹소설의 서사 내적인 부분과 서사 외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그 유사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사건 진행의 측면에서 ‘혼인’을 중심에 두는 점이 유사함을 밝혔다. 고소설의 대부분이 ‘혼인’을 다루고 있으나 국문장편소설만큼 혼인을 그 중심 주지에 두고 다양한 서사를 복합적으로 전개하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혼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서사 전개의 유사성은 매우 중요한 척도이다. 다음으로, 외적으로든 내적으로든 완벽함을 갖춘 이상적 인물을 설정한다는 것이 유사하다. 재벌가 혹은 벌열가를 주요한 배경으로 설정한다는 점에서도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시대적 차이에 따라 재벌가의 활용 양상은 다르지만, 배경으로 전경화 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서사 외적으로는 연작성을 지닌 창작 방식을 갖는다는 점, 여성 중심의 향유물이라는 점에서 유사성을 찾을 수 있었다.
한편, 현대의 출판 환경은 ‘웹’을 기반으로 많은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 중 웹소설은 OSMU의 원천으로 기능하고 있다. 달리 말해, 웹소설을 웹툰으로 제작하는 것은 일종의 트렌드가 되고 있으며 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콘텐츠로 재생산하는 양상은 보편적이다. 따라서 국문장편소설과 로맨스 웹소설의 유사성은 국문장편소설의 웹소설화 가능성을 증명하는 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활용 및 대중화 전략의 단초를 로맨스 웹소설에서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