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1950년대 후반 영화업계에 발을 내디딘 후 2010년대 초반까지 영화경력을 이어온 영화업자 이우석과 그가 세운 영화사 동아수출공사를 중심으로 박정희 정권의 영화기업화 정책의 명과 암을 짚어보려는 목표를 갖는다. 더불어 그동안의 연구에서 1970년대 한국영화 쇠퇴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영화기업화 정책이 궁극적으로 어떤 정책이었는지를 동아수출공사의 사례를 통해 재확인해보고자 한다.
이우석이 영화경력을 본격적으로 펼쳤던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공교롭게도 박정희 정권의 영화법이 한국영화계를 강하게 통제하고 있었던 시기였다. 박정희 정권은 1961 년 5ㆍ16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후 사회 각 방면을 통제하며 경제성장제일주의를 표방했다. 박정희 정부의 엘리트주의적 경제성장제일주의 정책의 영화판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영화 기업화 정책’을 통해, 동아수출공사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자본력을 가졌으나 영화제작 경험은 없는 다른 5개의 외화수입전문 회사들과 함께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영화기업’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제작 경험은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한국영화 제작자의 관행들을 흉내낼 생각도 없었던 이우석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영화제작자로서의 모습을 갖춰갔으며, 그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형성된 ‘문화사업가’로서의 면모는 한국의 영화문화의 형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역량에 의한 것으로, 영화법이라는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이나 규제 일변도의 ‘영화기업화 정책’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영화기업화 정책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영화기업화 정책의 가장 모범사례라고 할 수 있는 이우석의 동아수출공사는 그러나 보편적인 영화기업의 사례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