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1950년대 후반 영화업계에 발을 내디딘 후 2010년대 초반까지 영화경력을 이어온 영화업자 이우석과 그가 세운 영화사 동아수출공사를 중심으로 박정희 정권의 영화기업화 정책의 명과 암을 짚어보려는 목표를 갖는다. 더불어 그동안의 연구에서 1970년대 한국영화 쇠퇴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영화기업화 정책이 궁극적으로 어떤 정책이었는지를 동아수출공사의 사례를 통해 재확인해보고자 한다.

이우석이 영화경력을 본격적으로 펼쳤던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공교롭게도 박정희 정권의 영화법이 한국영화계를 강하게 통제하고 있었던 시기였다. 박정희 정권은 1961 년 5ㆍ16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후 사회 각 방면을 통제하며 경제성장제일주의를 표방했다. 박정희 정부의 엘리트주의적 경제성장제일주의 정책의 영화판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영화 기업화 정책’을 통해, 동아수출공사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자본력을 가졌으나 영화제작 경험은 없는 다른 5개의 외화수입전문 회사들과 함께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영화기업’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제작 경험은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한국영화 제작자의 관행들을 흉내낼 생각도 없었던 이우석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영화제작자로서의 모습을 갖춰갔으며, 그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형성된 ‘문화사업가’로서의 면모는 한국의 영화문화의 형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역량에 의한 것으로, 영화법이라는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이나 규제 일변도의 ‘영화기업화 정책’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영화기업화 정책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영화기업화 정책의 가장 모범사례라고 할 수 있는 이우석의 동아수출공사는 그러나 보편적인 영화기업의 사례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아시아 근대 외국인 거류제도의 계보와 그 기원 = Genealogy and origins of modern foreign residency in East Asia : focusing on the Chinese “foreign settlement” model : 중국 ‘조계’ 모델의 탄생을 중심으로 박준형 p. 177-214

영화인 구술 아카이브의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ilm personnel oral archives : focusing on the thematic oral history <Changes in Imported Foreign Films in the 1960s and 1990s> : 주제사 구술 <1960~1990년대 수입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공영민 p. 9-40

1980~90년대 한국 텔레비전 외화의 복화술사들 = Ventriloquists of foreign films on Korean television in the 1980s and 1990s : archiving cinema memory through oral history : 구술사를 활용한 영화 기억의 아카이빙 이화진 p. 41-81

영화인 구술사로 한국영화사 추리하기 = Unraveling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through filmmaker oral histories : centering on the movie company ‘Century Corporation’ : 영화기업 ‘세기상사’를 중심으로 이수연 p. 83-110

김옥균의 제1차 일본 방문 활동과 그 목적 = Kim, Ok-gyun’s initial visit to japan 김흥수 p. 467-496

영화 홍보 장소로서의 극장 = A movie theaters as a place for to promote a movie : focussing on 1980's to 1990's : 1980~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나리 p. 111-142

식민말기 김남천 소설과 경성대화숙(京城大和塾)의 거리 = The distance between Kim Nam-cheon's novel and ‘Geijyo-Yamato-juku’ in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 centered around the epistolary style and frame format of ‘Lamp light’ : 「등불」의 서간체와 액자형식을 중심으로 이동재 p. 247-279

19세기 말~20세기 초 한성부의 고용인과 의탁인 = Employees and dependents in Hanseongbu from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이정주 p. 497-516

개항기 전보송달지(1885~1905년) 연구 = A study on the telegrams received in Korea during the open port period in Korea (1885~1905) 한미경 p. 517-554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 민속연구 제1의 물결 = Western missionaries launching the first wave of modern Korean folklore investigation 육영수 p. 555-585

잡지 『북한』의 문학사적 의미 = The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agazine North Korea : based on poems from the 1970s : 70년대 수록 시를 중심으로 이성주 p. 317-345

한글박물관 소장의 새로운 『규곤의측』 이본과 그 자료적 가치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new version of 『Gyugonuicheuk』 collected by National Hangeul Museum and its material value 백채원, 이영경 p. 217-245

시 해석 교육의 방법론 탐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 A theoretical study on the method of poetry interpretation education : focusing on the poetry educational applicability review of P. Ricoeur's interpretation theory : Ricœur 해석론의 시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신윤희 p. 407-440

한국전쟁과 아동문학 = The Korean War and children's literature : a comparative study on Lee Won-soo & Kang So-cheon’s juvenile novels. 3, 이원수와 강소천의 소년소설 비교 연구 원종찬 p. 281-316

중국문학 정전들과의 뒤늦은 조우 = A belated encounter with the canon of Chinese literature : field of translation(1980s) and Ba Jin, Mao Dun, Laoshe Novels : 1980년대 한국 번역장과 바진, 마오둔, 라오서 소설 엄진주 p. 377-405

접촉지대로서 한국 문화재 국외 전시 = Overseas exhibitions of the Korean art as contact zones : <Masterpieces of Korean Art>(1957) and <5,000 Years of Korean Art>(1979) : <한국 국보전>(1957~1959)과 <한국미술 오천년전>(1979~1981) 권기준 p. 613-640

영화기업화 정책의 모범 사례로서의 동아수출공사 연구 = A study of Dong-A export corporation as a best practice for the film enterprise policy : based on Lee Woo Seok's oral life history (2020) : 이우석의 구술 생애사(2020년)를 바탕으로 박진희 p. 143-174

드라마스케이프, 21세기 드라마 연구를 위한 첫 번째 시론(試論) = Dramascape, the 1st trial discussion for drama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 focusing on genre characteristics of movie and TV drama :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르적 특이점을 중심으로 박노현 p. 441-466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모성 정체성의 수행 양상 = The performance of maternal identity in Oh Jung-hee's novel : focusing on 「A garden in one's childhood」, 「Chinese Streets」, 「The soul of the Wind」 : 「유년의 뜰」, 「중국인 거리」, 「바람의 넋」을 중심으로 박지영 p. 347-376

현대 한국 엘리트들의 중국관의 변화 흐름 = A study on the evolution of modern Korean intellectual elites' views on China 김광희, 왕사가 p. 643-666

역사적 진실규명에 기초한 ‘일본군 위안부’ 관련 연구 제언 = 基于历史真相调查的“日军慰安妇”相关研究建议 : “拉姆塞耶事件”的教训 : ‘램지어 사태’의 교훈 김주용, 金泰國 p. 587-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