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슐레겔의 독일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로의 전환에서 실러의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슐레겔의《그리스문학 연구》는 그의 독일 고전주의자로서의 면모를 확인하고, 그에게 내재해 있던 낭만주의의 맹아를 확인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거의 비슷한 시기에 완성되어 먼저 출판되었던 실러의《소박문학과 감상문학》은 실러가 슐레겔에게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두 가지 물음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슐레겔의 낭만주 의로의 전환에 실러는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슐레겔은 실러의 영향으로 낭만주의자가 되었는데 어째서 실러는 독일고전주의에 머물렀는가? 근대문학을 바라보는 둘의 관점의 차이는 무엇인가? 러브조이는 실러의 논문이 슐레겔의 낭만주의로의 전환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는데, 바이저는 슐레겔의 전환에는 ‘피히테 철학에 대한 비판’이 핵심적 역할을 했으며, 실러의 논문은 오히려 독일고전주의를 옹호 하도록 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슐레겔과 실러의 두 논문을 비교 하고 실러가 슐레겔에게 끼친 영향을 파악하고, 두 사람이 근대 시인 또는 근대 시의 특징으로 묘사한 핵심 개념인 ‘감상적인 것’과 ‘흥미로운것’을 비교함으로써 슐레겔과 실러의 차이를 해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fluence of Schiller on Schlegel's transition from neoclassicism to romanticism. Schlegel's Über das Studium der griechischen Poesie is an important work that confirms his Neoclassicism while also identifying the Romanticism inherent within him.
Schiller's Über naive und Sentimentalische Dichtung, completed and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also provides important clues to Schiller's influence on Schlegel.
This paper revolves around two questions. First, how did Schiller influence Schlegel's transition from neoclassicism to romanticism? Second, if Schlegel became a romantic under Schiller's influence, why did Schiller remain a neoclassicist? What were the differences in their views of modern literature? Lovejoy views Schiller's paper as a major influence on Schlegel's conversion to Romanticism, while Beiser argues that Schiller's paper rather led him to defend neoclassicism, and that Schlegel's ‘critique of Fichte's philosophy’ played a key role in his conversion.
This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between Schlegel and Schiller’s two papers by comparing and identifying Schiller's influence on Schlegel, and by comparing the key concepts of ‘das Sentimentalische’ and ‘das Interessante’ that they both characterize as aspects of modern poets or modern poetr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