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류세 시대 융합 교양교육의 역할과 그 가능성을 논구한다. 둘째, 구체적인 수업의 사례로 고려대학교 교양 필수 교과목인 〈자유정의진리Ⅱ〉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그 핵심에 있는 PBL(Problem Based Learning)의 교육적 의의를 기술한다. 과학기술학(STS :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기반의 〈자유정의진리Ⅱ〉의 교육내용과 PBL 문제 시나리오는 인류세 담론이 제시하는 전 지구적 규모의 문제들과 쟁점들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적, 실천적 방안을 학생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독려한다는 특징이 있다.

인류세 시대에는 자연의 지배자라는 재래의 인간상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인류세를 정의하는 관점에서는 인간이 사유와 관조의 주체로서 세계와 분리된 것이 아니라, 행위자로서 세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본다. 인간과 비인간 모두가 공동-행위주체들(co-agents)이며, 실천과 앎은 행위주체들 간의 상호적이고 공생 가능한 방식으로 조율되어야 한다.

인류세 도래와 함께, 대학 교양교육은 기존의 지식을 전수하고, 기능적 지식인을 양산하는 폐쇄적인 체제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역할뿐 아니라 사회⋅경제⋅지역 혁신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PBL은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론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대학 리빙랩은 대학의 사회적⋅공공적 역할 확대와 함께 지역공동체와의 적극적인 연계⋅협력을 강조하는 방법론으로 부상하고 있다. 공동-창조의 행위자라는 개념을 염두에 둘 때, PBL 교수법과 리빙랩은 방법적으로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 개발한 자유정의진리Ⅱ PBL은 1) 학생 스스로가 행동하는 ‘학생 중심 수업 모형’을 구현한다는 점, 2) 다양한 관점과 지식, 경험을 가진 행위 주체들의 네트워크(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를 통해 연합하고 협력하는 공동-행위주체(co-agents) 모형을 정초한다는 점, 3)학습자가 교육의 주체이자 시민 당사자로서 실천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리빙랩을 구현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인류세 시대에 인간은 사유와 활동의 전환을, 다른 생물 및 무생물들과의 관계의 전환을 요청받고 있다. ‘인간의 조건’에 대한 근본적 전환을 요청받는다는 점에서 이 문제의식은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관통하는 질문임에 분명하다. PBL과 리빙랩을 결합한 〈자유정의진리Ⅱ〉 교육 과정은 당대적 사유와행동의 전환을 위한 교양교육으로서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후마니타스 = Posthumanitas : civilization's transition and a new understanding of humanity : 문명의 전환과 새로운 인간다움 서민규 p. 11-21

인간의 거울, ‘로봇’ = 'Robot', a mirror for humans :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echnological domination and how to read this era : 기술지배시대의 독법과 교양교육 이병태 p. 23-33

기후위기 시대의 융합교양교육 = Convergent liberal education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 using climate science, earth system science/environmental science, climate history as cornerstones :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 기후사를 주축으로 박혜정 p. 37-51

행위자 관계망 이론의 교육적 함의 탐색 = Explor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ctor-network theory 윤옥한 p. 67-78

Mythoverse 상상력의 Metaverse로의 이행 = Transition from mythoverse imaginary to metaverse : exploring the liberal arts educational value of mythology in the context of literary narratives : 문학 서사의 場에서 신화의 교양교육적 가치 탐구 주현진 p. 53-65

미래 사회 예측을 통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re values in national curriculum through future society prediction 유지선, 양성훈 p. 79-100

부모의 성취압력과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 성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the lack of tolerance for creating uncertain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김지은, 최원석, 백승아 p. 101-116

교수법과 기술의 상호의존적 관계 연구 = Research o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methods and technology : focusing on the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 교수자와 학습자의 ‘내적 소통’을 중심으로 곽은희 p. 117-130

인류세 시대의 교양교육과 PBL 리빙랩 =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anthropocene and the PBL living lab : focusing on Korea University's core liberal arts course LIBERTY JUSTICE TRUTH Ⅱ : 고려대학교 교양 필수 교과목 <자유정의진리Ⅱ>를 중심으로 양윤의, 고운이, 김시정, 백은숙, 염인수, 최윤 p. 131-149

기계번역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주제 탐색 = Exploring topics in domestic research on machine translation through text mining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송은정 p. 151-163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understand attitudes about smartphone translators for EFL writing = EFL 작성을 위한 스마트폰 번역기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수용모델 활용 Copeland, Charles p. 165-183

외국인 학부생의 생성형 AI 활용 경험과 글쓰기 교육 요구 분석 =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using generative AI and the needs of writing education of foreign undergraduates 박정은, 장미정, 오선경 p. 185-199

유학생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부스터 표현(boosters)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boost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persuasive writing 최보선 p. 201-220

한국어교육을 위한 지역 문화 리터러시 연구 = Study on regional cultural literacy for Korean education : focusing on locality of Busan : 부산 지역 로컬리티를 중심으로 김강희 p. 221-233

Teachers’ views of L1 use in English speaking classes = 영어 말하기 수업에서 모국어 사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한국 대학 교수자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university teachers in Korea Franzese, John, Cho, Youngsang p. 235-256

프레젠테이션 활동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esentation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임혜원 p. 257-267

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 융복합 사고의 확장 가능성 모색 = A study on the competence-based gener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thinking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learner centered teaching-learning practices using poster presentations : 포스터 발표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김현정 p. 269-288

융복합 시대 교양 독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reading programs in the convergence era : focusing on book-trailer activities : 북트레일러 활동을 중심으로 서보영 p. 289-301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서평 쓰기의 담화 규칙과 사례 분석 = Discourse rules of a book essay and a case study for the writing classes in a university curriculum of liberal arts 이란 p. 303-318

깊은 자기이해에서 세계 알기를 시작하다 = Starting to know the world from deep self-understanding : focusing on the 'Global Citizenship and Restorative Peace' liberal arts class at D university : D대학의 ‘세계시민과 회복적 평화’ 교양 수업을 중심으로 신난희, 유득규, 박난희 p. 319-331

‘지속가능한 인식과 실천’의 체험, 세계시민교육 연구 = Experience of 'sustainable awareness and practice', study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focusing on D university cases : D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진숙 p. 333-346

사회혁신 교과수업의 새로운 시도 = A new attempt at social innovation curriculum : the design and operation of 'urban innovation project (capstone design)' by a private-public-academic partnership : 민관학협력 ‘도시혁신프로젝트(종합설계)’ 개발 및 운영 사례 윤수진 p. 347-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