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IB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핵심통찰력(Key insight)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주목해 볼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학교와 같은 사립학교의 운영에 있어서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시작된 IB 프로그램을 국공립학교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의 문제가 있다. 둘째, IBO가 제시한 듀이의 핵심통찰력에서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각자가 갖고 있는 호기심을 잘 끄집어내어 얻어지는 ‘지적인 힘(Intellectual power)’이다. 듀이가 교육의 목적은 경험의 수단이라고 했을 때, 궁극적으로 IB 프로그램에서 교육의 목적은 경험의 수단이며, 교육은 사고 파는 것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남는다. 셋째, IBO가 제시하는 니일의 핵심통찰력에서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개인적 자유를 통한 ‘지력(Intellect)’이다. 그의 주장이 어린이의 도덕교육을 성인의 관점에서 판단한 것이라면, IB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보다는 성인의 관점에서 아동 교육의 목적을 판단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넷째, IBO가 제시한 피아제의 핵심통찰력에서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인지주기를 통해 발달하는 ‘학업지능(Academic intelligence)’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일반화에 관한 것으로, IB 프로그램은 전체를 일반화하는 지적사고의 발달에서 학습자의 다양한 가능성을 간과할 수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남는다. 다섯째, IBO가 제시한 브루너의 핵심통찰력에서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학습자들이 정보의 자기 발견을 통해 ‘문제해결사(Problem solvers)’에 이를 수 있다는 점으로, 엄격하고 적절한 ‘조기 훈련(early training)’을 강조할 경우, IB 프로그램은 선행학습을 정당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key insights’ pursued by the IB Programme. There are several key considerations to note from this study. Firstly, there is a debate surrounding the suitability of integrating the IB Programme, initially designed to standardize educational practices in private institutions like international schools, into public educational systems. Second, the author underscores the cultivation of 'Intellectual power' by tapping into students’ natural curiosity in Dewey's key insights presented by the IBO, but when Dewey said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a means of experience, questions arise regarding whether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e IB Programme is ultimately a means of experience, or if it reduces education to a transactional exchange. Third, the author emphasizes fostering ‘Intellect’ through personal freedom based on Neill's insights, presented by the IBO. If we understand Neill to suggest that children's moral education is judged from an adult's perspective rather than education tailored to the learner’s level, it raises concerns on whether the IB program also considers the purpose of children's education from an adult's perspective rather than providing education tailored to the learner's level. Fourth, in Piaget's key insights presented by IBO, the author highlights ‘Academic intelligence’ that develops through the cognitive cycle; however, what is important here is generalization, and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the IB program may overlook the learner's diverse potentialities in intellectual growth that generalizes the whole. Lastly, what the author emphasizes from Bruner's key insights, presented by the IBO, is that learners can become better ‘Problem solvers’ through ‘learning by doing’ and self-discovery of information. Thus when emphasizing strict and proper ‘early training’, the question remains as to whether the IB Programme justifies prior lear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육학의 근본적 학제성과 상대적 자율성 = Fundamental interdisciplinarity and relative autonomy of educational research : a critical realist approach : 비판적 실재론의 접근 곽태진 p. 1-23

듀이 철학에서 ‘놀이’의 의미 = The meaning of 'play' in Dewey's philosophy : a philosophical exploration in education for the oper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육철학적 탐구 권정선, 이종향 p. 25-44

국제 바칼로레아 프로그램의 교육적 고찰 = Educational review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ogramme : 핵심통찰력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key insight 김서경, 한용진 p. 45-66

화이트헤드의 『관념의 모험』에 나타난 문명화 과정에 비추어 본 교과교육의 의의 =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education in light of the civilization process shown in Whitehead's Adventures of Ideas 안수진 p. 67-90

학생의 개별성과 교육과정의 공공성 간의 관계 재탐색 = The singularity of the student and the publicness of the curriculum : towards a new possibility of ‘student voice’ : ‘학생 목소리’의 새로운 해석을 찾아서 이상은 p. 91-118

디지털 미디어와 인간 형성 과정 간의 연관성 검토 = An examination of the connections between digital media and human formation process : focusing 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s of Medienbildung and digitale Medialität : 미디어 교육(Medienbildung) 및 디지털 매체성(digitale Medialität) 개념의 교육학적 시사점 고찰을 중심으로 이주호 p. 119-145

인(仁)의 확장에 관한 교육학적 탐구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xpansion of Ren(仁) in Zhu-zi(朱子)'s thought : 주자 인사상의 이론 정립 과정을 중심으로 우버들 p. 147-168

잘삶을 위한 교육에서 ‘자기이해’의 문제 = A study on the matter of self-understanding in education for well-being 정정철 p. 169-190

이주 사회에서 평화교육학의 새로운 가능성 탐구 = A study on the new possibilities of peace pedagogy in a migration society : focusing on criticism of representation and identity violence and the concept of mimesis : 재현과 동일성 폭력의 비판과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홍은영 p. 19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