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함정트랩으로 포획된 맹꽁이 개체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맹꽁이의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지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일대로, 이곳에 서식하는 맹꽁이를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총 4년간 포획함정(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총 1,063개체를 포획하였다. 맹꽁이는 길이(SVL)를 통하여 성체와 미성숙 개체를 구분하였으며, 성체를 대상으로 성비와 성별에 따른 형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체 수컷은 모두 배면에 한 쌍의 흰띠가 관찰되었으며, 암컷은 배면에 알이 확인되었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배면에 한쌍의 흰띠는 수컷의 생식선(Gonads)으로 판단 되었으며, 일부 미성숙 개체들에서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배면에 위치한 한 쌍의 흰띠 존재 유무로 맹꽁이의 성별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는 현장에서 확인 가능한 성별 구분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기간 동안 성체 성비는 수컷 697개체(65.57%)와 암컷 366개체(34.43%)가 확인되어 수컷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맹꽁이의 성비와 암수 구분 방법은 추후 맹꽁이의 종 복원과 개발로 인한 이주, 대체서식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태연구와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낙동강 유역 해반천의 수질 개선을 위한 비점오염관리대책 효과 분석 = Assessmen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strategi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haeban stream of west Nakdong River watershed 김예진 p. 1-9

다양한 이론적 도시규모에서의 습지 보전을 위한 게임 이론 적용 = Game theory application in wetland conservation across various hypothetical city sizes 임란영, 김지윤, 도윤호 p. 10-20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 Okumura, 1949)의 서식지 특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분포 예측 = Habitat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for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Odonata: Macromiidae) 권순직, 권혁영, 황인철, 이창수, 김태근, 박재흥, 전영철 p. 21-31

서울시 고덕지구에 서식하는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성비 및 성별에 따른 형태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x ratio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of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inhabiting the Godeok District in Seoul 김일남, 이상철, 도민석, 김종명, 권은호, 배양섭 p. 32-40

자연기반해법의 에너지원으로서 P-MFC 활용을 위한 연구경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or utilization of P-MFC as an energy source for nature-based solutions : focusing on co-occurring word analysis using VOSviewer : VOSviewer를 활용한 동시 출현단어 분석 중심으로 권미리, 반권수 p. 41-50

전라남도 고흥군 우량 산림습원의 군락구조 및 천이경향 = Community structure and vegetation succession tendency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Goheung-gun, Jeollanam-do 이준혁, 이정은, 변준기, 안종빈, 김호진, 윤충원 p. 51-61

기후변화 지표종 구상나무(Abies koreana E.H. Wilson)의 생태학적 반응 = The ecological response of the climate change indicator species, Korean fir(Abies koreana E.H. Wilson) 김윤서, 김세희, 이정민, 박지원, 박여빈, 박재훈, 김의주, 조경미, 최윤경, 서지현 [외] p. 62-71

한국 서·남해안 연안생태계의 염생식물군락과 염생식물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alophyte vegetation and halophyte flora characteristics of coastal ecosystem in the West and South coasts in Korea 박지원, 김의주, 이정민, 김윤서, 박여빈, 박재훈, 김세희, 조경미, 최윤경, 서지현, 서주현, 유영한 p. 72-81

블루카본 저장 연구 동향 분석 및 블루카본의 정의에 대한 고찰 = Analysis of blue carbon storage research trends and consideration for definitions of blue carbon : a review : 리뷰 박경덕, 강동환, 조원기, 이준호, 정회수, 서만덕, 김병우 p. 82-91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의 관속식물상 = Vascular plants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ed area in Gimhae 황윤도, 한상준 p. 92-113

생활권에 분포하는 소규모 습지 기능 간편평가기법(RAMS) 연구 = Rapid assessment method for small wetlands function (RAMS) distributed in the living area 박미옥, 구본학 p. 114-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