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변화 신념(emotion malleability beliefs)과 정서조절방략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인의 안정적인 정서적 특성 중 하나로 알려진 정서 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관여하는 정서조절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정서조절 과정과 관련된 변인을 정서변화 신념과 정서조절방략으로 세분화한 후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두 변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부정 정서 강도, 긍정 정서 강도,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brooding), 긍정 반추(positive rumination) 및 우울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후, 경로 분석을 통해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변화 신념은 부정 정서 강도, 부정 반추, 우울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정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를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즉, 부정 정서 강도가 높을수록 정서변화 신념이 낮았고 부정 반추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는 높은 우울 수준으로 이어졌다. 부정 정서 강도에서 우울로 이어지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 그리고 두 변인을 모두 거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다. 긍정 정서 강도, 긍정 반추는 정서변화 신념 및 우울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성별을 구분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했을 때, 여성 집단과 달리 남성 집단은 정서변화 신념에서 부정 반추로 이어지는 경로, 부정 정서 강도에서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를 매개하여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방암 생존자의 디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동료지원 경험 및 욕구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peer support for alleviating distres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South Korea 임주희, 임한나, 김향미, 신성만 p. 217-240

청소년의 폭식행동 경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 Association between binge eat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 aggrav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가중효과를 중심으로 손수민, 이소연 p. 241-255

대인외상과 비대인외상에 따른 침습적 반추와 외상후 성장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interpersonal trauma and impersonal trauma :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approach coping :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박주희, 임종민, 장문선 p. 257-280

자립준비청년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초기부적응도식,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hildhood-adolescence trauma,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박신영, 진민진, 현명호 p. 281-298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변화 신념과 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 =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depression 금서현, 이훈진 p. 299-323

정서강도, 정서조절곤란이 강박적 구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ffect intensity and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on compulsive purchasing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 이슬아, 고사랑 p. 325-341

정서조절 전략이 이차 냉담-무정서 특질 집단의 정서 및 생리 반응성과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emotional, psychophysiological reactivity and emotional and cognitive empathy in secondary callous-unemotional traits group 한혜선, 현명호 p. 343-361

정서 마음챙김이 우울성향 여대생의 주의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emotion-focused mindfulness on attentional processing and emotional state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최은경, 김정호, 김미리혜 p. 363-388

관계중독 경향자를 위한 인간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person-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eople with a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이인재, 양난미 p. 389-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