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역사적으로 언어적 동질성이 높은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는 이문화 가정의 언어적 역동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 부모가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고 자녀와의 이중언어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외국인 부모의 개인적 배경이 자신의 가정 내에서 언어 사용 실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 연구는 저자의 박사 학위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집된 다양한 언어 배경과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130명의 외국인 부모로부터 얻은 설문 조사 데이터를 가지고 참가자의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단면 연구 방법을 통한 양적 데이터 분석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외국인 부모는 개인의 변수와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자신의 편안한 공간인 집에서 조차 자녀와 주로 한국어로 의사소통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외국인 부모의 개인적 배경과 그들의 언어 선택은 독립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자신의 계승어 보다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결과는 이문화 자녀의 계승어 유지를 위한 지원과 자원을 개발할 때, 외국인 부모의 개인적 배경을 넘어서는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국인 부모가 그들의 가정 및 사회공동체에서 언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이중문화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결정 과정의 복잡함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또한, 이해관계자들이 계승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장려함으로써 가질 수 있는 중대한 영향력을 강조한다. 이러한 지원은 외국인 부모와 자녀가 주류 사회 내에서 문화적 협상과 정체성 형성을 하는 데 있어 필수적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inguistic dynamics within b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South Korea, a historically and linguistically homogeneous society. It also explores how non-Korean parents negotiate language use and manage bilingualism with their children and examines whether the individual backgrounds of non-Korean parents influence language practices with their children in the unique linguistic environments of their homes. Survey data from 130 non-Korean parents with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and cultural identities collected as part of the author’s larger doctoral research project were analysed. The study employed quantitative data analysis via a cross-sectional approach to simultaneously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mong a diverse group of participa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non-Korean parents in this study communicated predominantly in Korean with their children, even at home in their comfort zone, regardless of personal variables. Additionally, non-Korean parents’ backgrounds appeared to be independent of their language choices. They used Korean alone rather than ethnic heritage langu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akeholders should consider factors beyond the individual backgrounds of non-Korean parents when developing support and resources for heritage language maintenance in bicultural children. Exploring other factors influencing the language choices of non-Korean parents in their homes and communities is crucial.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intricate processes of linguistic decision-making in a bicultural context. Moreover,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t impact that stakeholders can have by actively promoting ethnic heritage languages. Such support can be essential for cultural negotiations and identity formation among non-Korea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mainstream socie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어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 연구 = An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in North Korea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the 'Joseoneo' Publications of Kim Il Sung University (2022) : 김일성종합대학 출판 『조선어』(2022)를 중심으로 고혜민, 유홍빈, 김낭예 p. 1-29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플립러닝을 접목한 한국문화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teaching methodologies of Korean culture class using flipped and project-based learning 김금숙 p. 31-56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발 중심의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using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방성원 p. 57-93

이탈리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연구 = Korean terms of address for Italian learners 이상숙 p. 95-118

한국어 번역사에 대한 시점(始點) 연구 = A study on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translation history : under the perspective of social organization theory : 사회 조직이론의 시점(視點)을 통한 시점(時點)의 논의 임형재, 리번 켈빈 p. 119-151

공손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적 요인의 질적 분석 =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micro-factors that influence politeness judgments 정지훈 p. 153-187

Linguistic environment of non-Korean parents with children in South Korean bicultural families = 한국 이문화 가정 자녀와 외국인 부모의 언어 사용 환경 Kim Jiyoung p. 189-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