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과 연계한 코딩프로그램을 개발하고,본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및 논리 수학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방법으로 프로그램 목표 수립, 1차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후 수정 보완 사전검사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프로그램 실시, 사후검사의 단계를 거쳐 효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연구대상 유아가 속한 화성시 J유치원 내 한 한급은 실험집단,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4 달간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 를 활용하여 공 변량분석 (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코딩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적 사고,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및 논리 수학적지능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코딩교육을 적용하고 실현하는 데 있어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 Early childhood teachers' FGI analysis of borderline children 김인애 p. 5-27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developmental stag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on desire for promotion and teacher commitment 임진혁, 방효국 p. 29-50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practice and effo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이세화, 김은혜 p. 51-73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unplugged coding program for the with 2019 kindergarten curriculum manual 신원애, 이혜정 p. 75-100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ther's empathy abilit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강영녀, 신현정 p. 101-122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online involvement and parental satisfaction 박주미, 전유영 p. 123-146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Reality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l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mands for education 김남연, 김명정 p. 147-168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early child writing guidance process 이민영 p. 169-199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o-cognitive mindfulness on creativity : focusing on verify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flexibility :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인정, 채진영 p. 201-227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of problem behavior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s 서현, 김가은, 박미자 p. 229-255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Exploring the practical experience of digital education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김소연, 최이수, 오채선 p. 257-284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ir demand for visiting education by health teachers 강정원, 최성진, 장인순 p. 285-305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happiness : focused on concept mapping :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김윤지, 오선미, 이윤수, 이지영 p. 307-333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 Changes in fertility under work-life balance policies and decentralization : a focus on OECD countries :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최수연, 손종민 p. 335-358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scale for preservice early children teachers in China 장신우 p. 359-396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a children's garden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신은연, 이화도 p. 397-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