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류불안정 지역의 지리적 분포와 지구온난화에 따른 반응 =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onvectively unstable regions and its response to global warming 성록, 강남영 p. 1-10
대도시 대기 중 미세먼지(PM10) 농도의 일간 변화 패턴 = Diurnal change patterns of atmospheric PM10 concentrations in metropolitan cities : a case study of Busan and Daegu metro areas :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 사례 비교 박선엽 p. 11-23
가거도의 지형 특성과 활용 방안 제안 = Topographic features of Gageodo and the proposed utilization plans 정무열 p. 24-36
4차 산업혁명인가, ‘도시혁명’인가?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r ‘urban revolution’? 최병두 p. 37-52

한국의 ‘탈성장 도시 이데올로기’ 형성을 위한 개념적 고찰 = A conceptual consideration for establishing the ‘degrowth urban ideology’ in Korea :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energy-space : 에너지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이상헌 p. 53-72

도시재생사업 추진체계의 특성과 개선방안 =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promotion system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Daegu Metropolitan City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박순호 p. 73-84
도시를 다른 방식으로 보기 = Ways of seeing a city : walking and cycling along vertical pipes in Nowon-gu, Seoul : 서울 노원지역 굴뚝을 따라 걷기와 자전거 타기 최희진 p. 85-96

의성군의 하천 유로 변화와 취락 분포 양상 = Channel avulsion and patterns of settlement distribution in Uiseong 심우진, 박선영, 정부매 p. 97-111
계층화 분석을 활용한 문화유산의 지형적 입지순위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topographic location ranking of cultural heritage using hierarchical analysis process : focused on attached building of Seosan Bowonsa Temple site : 서산 보원사지의 부속건물지를 대상으로 한지연, 박지훈 p. 112-122
억압된 심신으로 유발되는 만성질환과 통제된 환경의 관계성에 대한 건강지리학적 고찰 = A health geographical consid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 caused by repressed body-mind and controlled environments from a perspective of the Alexander technique as holistic medicine : 전체론적의학으로서의 알렉산더테크닉을 사례로 박수경 p. 123-141
코로나19로 인한 영화산업과 영화관의 분포 변화 = Changes in the film industry and the distribution of movie theaters by COVID-19 박지은 p. 142-159
사회-경제적 변수가 대통령 선거 득표율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the presidential vote : the case of Seoul's administrative district voting results across presidential elections from the 17th to the 20th : 제17대~20대 대선의 서울시 행정동별 득표 결과를 사례로 정진영, 박배균 p. 160-178

간도협약의 한・중 국경을 지도화하는 방식들 = Marking methods of Gando Agreement’s border line on map 이강원 p. 179-193
서울시 아동친화도의 시공간적 변화 탐색 = Exploration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degree of child-friendliness in Seoul, South Korea 최아수 p. 194-208
탐구 기반 한국지리 현장학습 실천과 반성 = A study on the practice and reflection of enquiry-based fieldwork in Korean geography classes 최문규, 강창숙 p. 209-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