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국가 간 ‘후견-피후견관계’ 이론을 적용하여 특정한 시기 중국, 북한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국(후견국)의 지원과 관심을 끌어들이기 위해 북한(피후견국)이 만든 위기 조작의 성공 여부에 어떤 요인이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가? 선행 연구들은 국제환경(강대국 경쟁관계)을 ‘후견-피후견관계’의 가장 중요한 변수로 보았다. 그러나 2010년 서해위기와 2016-17 년 북핵 위기 당시 북한의 위기조작 성공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북한의 취약성이었다. 즉 중국은 북한체제와 중북관계의 존속이 흔들리는 것을 가장 우려했다. 2010년 북한이 조성한 서해위기를 중국이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당시 김정일-김정은 권력 교체기 불안정했던 북한이 붕괴하거나 중국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중국의 입장에서 미국과의 경쟁에서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는 북한의 취약성은 전략적 손실로 연결된다. 앞으로도 중국은 국제환경과 내부적 요인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한 북한의 존속과 중북관계의 유지를 최우선순위에 둘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향후 한국의 대중정책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4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대홍. 『미국, 아시아로 회귀하는가』, (서울: 푸른역사, 2014). 미소장
2 박상남. 『중앙아시아 초원문명의 오늘』, (서울: 다해출판, 2022). 미소장
3 신상진. “중국 외교안보전략의 자산, 북한과 북핵을 읽는 중국의 독법.” 조영남편, 『중국을 고민하다 - 한중 관계의 딜레마와 해법』,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11). 미소장
4 유재광. “김정은 정권의 극단적 핵 및 미사일 위협 원인 고찰: 북한의 ‘전략 문화’ 및 ‘체제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김태진 외, 『북한과 국제정치』, (서울: 늘품플러스 2018). 미소장
5 이정철·백준기·김재관·이남주. 『러시아 북한 중국 삼각 관계의 전략적 함의: 미국요인과 한국에의 시사점』,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미소장
6 정형곤 외. 『비핵화에 따른 대북경제제재: 분석과 시사점』,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미소장
7 지해범. 『중국은 북한을 어떻게 다루나』, (서울: 기파랑, 2020). 미소장
8 최진욱. “북한 정권의 구원자는 누구인가?” 정덕구 외, 『기로에 선 북중관계 -중국의 대북한 정책 딜레마』, (서울: 중앙북스, 2013). 미소장
9 Bader, Jeffrey. Obama and China’s Rise: An Insider’s Account of America’s Asia Strategy,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3). 미소장
10 황성돈 역, 『오바마와 중국의 부상 - 내부에서 바라본 미국의 동아시아전략』, (서울: 아산정책연구원, 2014). 미소장
11 Feng, Zhu. and Beauchamp-Mustafaga, Nathan. “North Korea’s Security Implications for China.” Freeman, Carla P. Ed., China and North Korea: Strategic and Policy Perspectives from a Changing China,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5). 미소장
12 Gates, Roberts M. Duty: Memoirs of a Secretary at War, (New York:Alfred a Knopf Inc, 2014). 미소장
13 Larson, Deborah Welch. Paul, T. V. and Wohlforth, William C. “Status and World Order.” Larson, Deborah Welch. Paul, T. V. and Wohlforth, William C. Eds., Status in World Politics,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미소장
14 Shoemaker, Christopher. & Spanier, John.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Praeger. 1984). 미소장
15 Windsor, Philip. “Superpower and Client states: Perception and interaction.” Moshe Efrat and Jacob Bercovitch, Eds., Superpowers and Client States in the Middle East, (London; New York: Routledge, 1991). 미소장
16 Yinhong, Shi. “Painful Lessons, Reversing Practices, and Ongoing Limitations: China Facing North Korea since 2003.” Freeman, Carla P. Ed., China and North Korea: Strategic and Policy Perspectives from a Changing China,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5). 미소장
17 고수석. “북한 핵실험이 북한-중국 관계에 미친 영향.” 『한반도미래연구』, 7호(2022). 미소장
18 김지운. “2017-18년 중국의 대북외교: 두 번의 급변과 그 동인 그리고 함의.”『글로벌정치연구』, 13권 1호(2020). 미소장
19 박상남. “러시아·중앙아시아 관계: 2015년 EAEU 창설 이후를 중심으로.”『Analyses & Alternatives』 7권 3호 (2023). 미소장
20 손현창. “김정은 정권의 권력 승계와 공고화 연구 : 권력 엘리트의 역할과 변화.”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3). 미소장
21 이동률. “천안함 사건 이후 미중 관계와 한중 관계: 중국 외교 전략의 변화를중심으로.” 『JPI정책포럼』, No. 2010-28 (2010). 미소장
22 이동규. “북한도발사건 이후 정책변동과 정책학습 연구: Birkland의 사건중심정책변동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5호 (2014). 미소장
23 이영수.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원인에 대한 연구: 발칸의 국가 간 후견 피후견관계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2). 미소장
24 이영학. “중국 시진핑 지도부의 新 북핵 정책 동향 및 시사점: 4차 및 5차 북핵실험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40권 3호 (2016). 미소장
25 정지웅. “북한 붕괴론 논쟁 탐구.” 『통일과평화』, Vol.9 No.1(2017), 미소장
26 주재우. “중국의 대북제재 참여 배경과 원인의 담론.” 『국제학논총』, 24호(2016). 미소장
27 추정연. “북한 화폐개혁(2009)의 결과분석.”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28 홍은정.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북정책: 미중관계의 상호작용을중심으로.” 『아시아연구』 제19권 제4호 (2016). 미소장
29 Brown, Jonathan N. and Marcum, Anthony S. “Avoiding Audience Costs:Domestic Political Accountability and Concessions in Crisis Diplomacy.” Security Studies, Volume 20, Issue 2 (2011). 미소장
30 Carney, Christopher P. “International Patron-Client Relationships: A Conceptual Framework.” Studies in Comparat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Vol.24, no.2 (1989). 미소장
31 Liangui, Zhang. “Coping with a Nuclear North Korea.” China Security, 3 (2006), 미소장
32 Snyder, Jack. and Borghard, Erica. “The Cost of Empty Threats: A Penny, Not a Pound.”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105, No. 3 (August 2011). 미소장
33 Tomz, Michael. “Domestic Audience Co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Experimental Approa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61, No. 4 (Autumn, 2007). 미소장
34 Trachtenberg, Marc. “Audience Costs: An Historical Analysis.” Security Studies, Vol. 21, No. 1 (2012). 미소장
35 박광연, “중국 당대회 중에도 포사격···도발 동력 잃지 않으려는 북한”, 『경향신문』, 2022년 10월 19일, https://m.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2210191704001(검색일: 2024년 1월 5일). 미소장
36 박근식, “연평도 포격 전에 남북 군사충돌이 예상됐다”, 『일간경기』, 2018년 8월 9일, http://www.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925(검색일: 2023년 12월 27일). 미소장
37 박성진, “’비질런트 에이스’ 4일 시작···F-22·F-35A·EA-18G 한국 전개완료”, 『경향신문』, 2017년 12월 3일, https://m.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1712031132001(검색일: 2023년 12월27일). 미소장
38 소현정, “北 매체,중국에 우회적 불만 표출… “유관국, 전쟁 위기에 중립 지켜””, 『KBS』, 2015년 12월 29일, https://mn.kbs.co.kr/news/pc/view/view.do?ncd=3206788(검색일: 2024년 1월 5일). 미소장
39 “中 7월 대북 수출 올해 최대폭 ‘뚝’…전년比 27.6%↓”, 『연합뉴스』, 2016년 8월24일, https://www.yna.co.kr/view/AKR20160824166900003(검색일:2023년 12월 27일). 미소장
40 이영재, “38년만에 탄두중량 제한 없애…’미사일 족쇄’ 벗나(종합)”, 『연합뉴스』, 2017년 9월 5일, https://www.yna.co.kr/view/AKR20170905005351014(검색일: 2023년 12월 27일). 미소장
41 이준서, “안보리 새 대북제재 결의…석유제품 90% 차단·北노동자 송환(종합2보)”, 『연합뉴스』 2017년 12월 23일, https://www.yna.co.kr/view/AKR20171222185052072(검색일: 2023년 12월 27일) 미소장
42 장진모, ““2000만 주민도 못 먹여살리느냐”…후진타오, 김정일 訪中 때 힐난”, 『한국경제』, 2010년 12월 2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0120291421(검색일: 2024년 1월 5일). 미소장
43 함지하, “[기자문답] 안보리 새 대북제재결의 2371호 주요내용과 특징”, 『미국의 소리』, 2017년 8월 6일, https://www.voakorea.com/a/3973867.html(검색일: 2024년 1월 5일). 미소장
44 홍제성, “[천안함과 중국] ②中, 北에 기울었나”, 『한국경제』, 2010년 5월 27일,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0052794088(검색일: 2023년 12월 30일). 미소장
45 “<긴급진단:천안함> 北, 부인..향후 행보는(종합)”, 『연합뉴스』, 2010년 5월 20일, https://www.yna.co.kr/view/AKR20100520072200014(검색일:2024년 1월 5일). 미소장
46 “北 “연평도 사격훈련 강행시 2차,3차 타격””, 『연합뉴스』, 2010년 12월 17일, https://www.yna.co.kr/view/AKR20101217202600014(검색일:2024년 1월 5일). 미소장
47 “중국, 북한 미사일에 “합리적 우려 균형 있게 해결해야””, 『미국의 소리』, 2023년4월13일, https://www.voakorea.com/a/7048618.html(검색일:2024년 1월 5일). 미소장
48 Glaser, Bonnie S. “China’s Reaction to North Korea’s Nuclear Test”, CSIS, January 6, 2016, https://www.csis.org/analysis/chinas-reactionnorth-koreas-nuclear-test(accessed: December 28, 20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