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은 군사적으로 벌떼전술, 첨단과 구식의 대결, 민간인에 대한 공격과 인질작전, 전투원에 대한 약물 사용, 땅굴전술 등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하마스의 공격은 전형적인 하이브리드전쟁으로 볼 수 있으며,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냈다.

하마스는 초기공격에서 하이브리드전술을 구사하여 75년 이스라엘 역사상 전례없는 피해를 입혔다. 이러한 전술은 하이브리드전쟁의 가능성 차원에서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전례없는 피해로 이스라엘이 전면전으로 대응하면서 하마스의 하이브리드전쟁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쟁의 문턱’을 핵심적인 변수로 제시하고, 하이브리드전쟁의 가능성과 한계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면전과 하이브리드전쟁을 구분하는 전쟁의 문턱은 ‘피해의 강도’와 ‘대응의 경로의존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하마스의 공격으로 이스라엘은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고, 이에 대해 과거와 달리 전면전으로 대응함으로써 하마스를 실패로 몰아 넣고 있다.

하마스가 전쟁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초기공격에서 하마스가 보여준 하이브리드전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질보다는 수적으로 우세한 북한이 전쟁의 문턱을 넘지 않는 공간에서 하마스와 같은 하이브리드공격을 할 경우 한국에 적지 않은 위협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의 위협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군은 하마스 공격에서 나타난 하이브리드전쟁의 가능성과 한계를 고려하여 정보체계의 재정비, 과학기술군에 대한 맹신 지양, 예상치 못한 전술에 대한 대비, 민관군 통합방위훈련 재정비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군이 추진하는 과학기술 강군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병력이나 무기를 대체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병력과 무기의 수 역시 과학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의 전쟁위협이 현실적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적 차원의 대비와 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심리전, 사이버공격과 같은 ‘전쟁의 문턱’을 넘지 않는 북한의 하이브리드공격에도 대비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방부. 『국방혁신 4.0』. 서울: 국방부, 2023. 미소장
2 클라우제비츠, 카를 폰 저. 류제승 역, 『전쟁론』. 서울: 책세상, 2008. 미소장
3 Arquila, John and David Ronfeldt. Swarming: The Future of Conflict. Santa Monica: RAND, 2000. 미소장
4 Edwards, Sean J. A. Swarming on the Battlefield: Past, Present, and Future. Santa Monica: RAND, 2000. 미소장
5 Hoffman, Frank G.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s. Arlington: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 미소장
6 Matthews, Matt M. We were Caught Unprepared: The 2006 Hezbollah-Israeli War. Washington D.C.: CSI Press Publication, 2008. 미소장
7 U.S. Army. ATP 7-100.2. North Korean Tactics. Washington, D.C.: U.S. Army, 2020. 미소장
8 U.S. Army. ATP 3-25.51. Subterranean Operations. Washington, D.C.:U.S. Army, 2019. 미소장
9 U.S. Army. FM 5-0. Planning and Orders Production. Washington, D.C.: U.S. Army, 2022. 미소장
10 U.S. Army. FM 6-0. Commander and Staff Organization and Operations. Washington, D.C.: U.S. Army, 2016. 미소장
11 U.S. Special Operations Command, White Paper: The Gray Zone. MacDill:U.S. Special Operations Command, 2015. 미소장
12 김남철. “강대국들의 하이브리드전과 주요 사례분석.” 『한국군사학논총』, 제11집 2권(2022), pp.3-30. 미소장
13 박일송·나종남. “하이브리드전쟁: 새로운 전쟁양상?.” 『한국군사학논집』, 제71권 3호(2015), pp.1-32. 미소장
14 박휘락. “정보화시대 전쟁수행 이론의 분석과 한국군의 과제.” 『국제문제연구』, 제8권 3호(2008), pp.195-224. 미소장
15 설인효.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래전: 인도-태평양지역 및 한반도에 대한 함의.”『국방연구』, 제66권 2호(2023), pp.75-110. 미소장
16 송승종. “하이브리드전쟁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우크라이나 사례를 중심으로.”『국방연구』, 제59권 4호(2016), pp.125-165. 미소장
17 송승종. “러시아 하이브리드전쟁의 이론과 실제.” 『한국군사학논집』, 제73집 1권(2017), pp.63-94. 미소장
18 이성만. “현대 비정규전 개념 범주에 관한 고찰.” 『국방연구』, 제53권 3호(2010), pp.47-70. 미소장
19 이종용·이승철. “미래 무인체계를 활용한 Swarming 전술 적용방안 연구.”『군사연구』, 144집(2017), pp.353-381. 미소장
20 조한승. “하이브리드 전쟁양상과 북한 급변사태.” 『국방정책연구』, 제28권 3호(2012), pp.9-39. 미소장
21 지효근. “하이브리드전 승리요인 분석과 한국에 대한 함의: 인간지형에 대한 통제의 중요성.” 『국방정책연구』, 제36권 4호(2020), pp.7-40. 미소장
22 지효근. “미국의 새로운 전투수행 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군사연구』, 제147집(2019), pp.151-183. 미소장
23 최근대·나호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의 대응: 하이브리드전의이론과 적용을 중심으로.” 『군사연구』, 제154집(2022), pp.1-31. 미소장
24 Hoffman, Frank G. “Examining the Complex Forms of Conflict: Gray Zone and Hybrid Challenges.” PRISM, Vol. 7, No. 4(2018), pp.30-47. 미소장
25 Hoffman, Frank G. “Preparing for Hybrid Wars: What will be the Future Marine Corps Capability.” Marine Corps Gazette, 2007. 미소장
26 Hoffman, Frank G. “Lessons from Lebanon: Hezbollah and Hybrid wars.”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E-NOTES(2006a). 미소장
27 Hoffman, Frank G. “Complex Irregular Warfare: The Next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Orbis, Vol. 50, No. 3(2006b), pp.397-399. 미소장
28 McCuenn, John J. “Hybrid Wars.” Military Review, Vol. 88, No. 2(2008), pp.107-113. 미소장
29 Mattis, James N. Mattis & Frank Hoffman. “Future Warfare: The Rise of Hybrid Wars.” Proceedings, Vol. 132, No. 11(2005). 미소장
30 Mearsheimer, John J. “Why the Soviets Can’t Win quickly in Central Europe.” International Security, Vol. 7, No. 1(1982), pp.3-39. 미소장
31 Zanotti, Jim. Jeremy M. Sharp, and Christopher M. Blanchard. “Israel and Hamas October 2023 Conflict: Frequently Asked Questions(FAQs).” CRS Report, October 20, 2023. 미소장
32 김문성. “이스라엘군, 하마스 기습 때 방어계획 없이 부실 대응.” 『연합뉴스』, 2023년 12월 31일, https://www.yna.co.kr/view/AKR20231231038000009(검색일: 2023년 1월 9일). 미소장
33 김서영. “하마스, 지하터널에서 얼마나 버틸까...보급없이 3∼4개월 가능.” 『경향신문』, 2023년 10월 29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print/032/0003257802(검색일: 2023년 10월 30일). 미소장
34 김지헌. “북 무인기 용산 상공까지 침투했다...대통령실 촬영했을 가능성.” 『연합뉴스』, 2022년 12월 27일,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7025600504(검색일: 2024년 1월 17일). 미소장
35 안치용·이정현. “미 정보사의 북한 지하시설물 보고서...북, 2006년에 이미 남한의 벙커버스터 무력화.” 월간조선 9월호, 2014. https://monthly. 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1409100026(검색일: 2023년 12월 1일). 미소장
36 양승수. “민방위 훈련 6년 공백에 국민 모두 감잃어...할 때 제대로 해야.” 『조선일보』, 2023년 8월 24일, https://www.chosun.com/national/2023/08/24/6QYCVE2GAFC67FVP4K2HXTG4KY/(검색일: 2024년1월 18일). 미소장
37 이영재. “미군, 북 지하시설 정밀지도 작성...한국군 간부 교육.” 『한국경제』, 2015년 8월 1일,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5080104148(검색일: 2023년 6월 25일). 미소장
38 임지우. “하마스 지도자 신와르, 이스라엘 공격 후폭풍 예상 못했다.” 『연합뉴스』, 2004년 2월 15일,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5057200009(검색일: 2024년 3월 6일). 미소장
39 전종보. “하마스 대원들, 전투 전 마약 복용 의혹...캡타곤 뭐길래.” 『조선일보』, 2023년 10월 20일,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 html?contid=2023102002099(검색일: 2023년 10월 20일). 미소장
40 조경환. “반복되는 정보 실패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다.” 『시시저널』, 2023년10월 28일,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 idxno=274968(검색일: 2024년 1월 17일). 미소장
41 황혜진. “가자지구, 인구의 1% 이상 숨져...전쟁 끝나도 살기 힘들 만큼 초토화.” 『문화일보』, 2024년 1월 11일,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4011101031509294001(검색일: 2024년 1월 11일). 미소장
42 Beaumont, Peter. “What is a human shield and how has Hamas been accused of using them?,” The Guardian, October 30, 2023,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oct/30/human-shield -israel-claim-hamas-command-centre-under-hospital-palesti nian-civilian-gaza-city(accessed: Jan. 20, 2024). 미소장
43 Carchidi, Vincent. “The October 7 Hamas attack: An Israeli overreliance on technology?,” MEI, October 23, 2023, https://www.mei. edu/publications/october-7-hamas-attack-israeli-overreliance -technology(accessed: Jan. 20, 2024). 미소장
44 Davies, Wyre. “100 days since Hamas attacked Israel, triggering war in Gaza.” BBC News, Jan. 15, 2024, https://www.bbc.com/news/world-middle-east-67972962(accessed: Jan. 19, 2024). 미소장
45 Harris, Rob. “What Would All-out War in the Middle East Look Like?,”The Sydney Morning Herald, Oct. 13(2023), https://www.smh. com.au/world/middle-east/uncharted-and-unprecedented-what -does-all-out-war-in-the-middle-east-look-like-20231013-p5ec05.html(accessed: March 8, 2024). 미소장
46 Hoffman, Bruce. “Understanding Hamas’s Genocidal Ideology: A Close Read of Hamas’s Founding Documents Clearly Shows Its Intentions. “The Atlantic(Oct. 10, 2023), https://www. theatlantic.com/international/archive/2023/10/hamas-covenant -israel-attack-war-genocide/675602/(accessed: Dec. 5, 2023). 미소장
47 Hutchinson, Bill. “Israel-Hamas War: Timeline and key developments.”ABC News, Nov. 23, 2023, https://abcnews.go.com/ International/timeline-surprise-rocket-attack-hamas-israel/story?id=103816006(accessed: Dec. 21, 2023). 미소장
48 Kang, Hyun-kyung. “North Korea’s arms deals with Hamas, Hezbollah pose common threat to South Korea, Israel.” The Korea Times, January 13, 2023. 미소장
49 Murphy, Paul P., Tara John, Brent Swails and Oren Liebermann. “Hamas militants trained for its deadly attack in plain sight and less than a mile from Israel’s heavily fortified border.” CNN, Oct. 12, 2023, https://edition.cnn.com/2023/10/12/middleeast/hamas-training-site-gaza-israel-intl/index.html(accessed:Dec. 21, 2023). 미소장
50 Nakhoul, Samia and Jonathan Saul. “How Hamas duped Israel as it planned devastating attack.” Reuters, Oct. 11, 2023, https://www.reuters.com/world/middle-east/how-israel-was-dupedhamas-planned-devastating-assault-2023-10-08/(accessed:Dec. 21, 2023). 미소장
51 Parmeter, Ian. “Why Did Hamas Attack, and Why Now? What Does It Hope to Gain?” The Conversation, October 9(2023), https://theconversation.com/why-did-hamas-attack-and-why-nowwhat-does-it-hope-to-gain-215248(accessed: Feb. 29, 2024). 미소장
52 미국 대테러센터(U.S. National Counterterrorism Center) 홈페이지, https://www.dni.gov/nctc/ftos/hamas_fto.html(검색일: 2023년 11월 1일). 미소장
53 하마스 성명서, https://avalon.law.yale.edu/20th_century/hamas.asp (검색일: 2023년 12월 5일) 미소장
54 “김정은 헌법에 대한민국 ‘제1적대국·불변의 주적’.” 『MBC뉴스』, 2024년 1월16일,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930/article/6562849_36507.html(검색일: 2024년 1월 16일). 미소장
55 “대북 공작 南 3000명, 北 250명 숙청된 98년이 분수령.” 『중앙일보』, 2011년12월 25일, https://www.bing.com/search?q=%EA%B9%80%EB%8C%80%EC%A4%91+%ED%9C%B4%EB%AF%BC%ED%8A%B8&cvid=562ad9c096c1499085914864e207e5e9&gs_lcrp=EgZjaHJvbWUqBgg AEAAYQDIGCAAQABhA0gEINDAxOGowajSoAgCwAgA&FORM=AN AB01&PC=LGTS(검색일: 2024년 1월 17일). 미소장
56 “북한 무인기: 서울까지 침투한 북한 무인기가 격추되지 않은 이유.” 『BBC News 코리아』, 2022년 12월 27일, https://www.bbc.com/korean/news-64099782(검색일: 2024년 1월 17일). 미소장
57 “Why Hamas Attacked and Why Israel Was Taken by Surprise,” Foreign Affairs, October 7(2023), https://www.foreignaffairs.com/middle-east/martin-indyk-why-hamas-attacked-and-why-isr ael-was-taken-surprise?_gl=1*f89nlh*_ga*MTQzODY2NDk0NS4xNzA5MTk3MTYw*_ga_N9V4J2JY26*MTcwOTE5NzE1OS4xLjEuM TcwOTE5NzU5MC41OC4wLjA.*_ga_5PHCCVN7B8*MTcwOTE5NzE 1OS4xLjEuMTcwOTE5NzU5MC41OC4wLjA.*_ga_24W5E70YKH*MT cwOTE5NzE1OS4xLjEuMTcwOTE5NzU5MC42MC4wLjA.(accessed:Feb. 29, 202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