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신방 엿보기’형 민담의 심층을 분석하고 거기에 내재되어 있는 성(性)과 결혼에 대한 기층민중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민담의 핵심 모티프인 ‘신부 살해’ 서사와 ‘엿보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국내외 민담과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이 민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론 첫 장에서는 ‘신방 엿보기’형 민담의 전승 상황과 서사구조, 변이양상을 개관하여 민담의 전체상을 파악하였다.

성적 결합과 관련한 배우자 살해 모티프는 전 세계 민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데, 여기에는 성의 폭력성, 그리고 성과 혼인을 둘러싼 불안과 공포의 심리가 내재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 민담의 경우, 성에 대한 원초적인 공포가 발현하는 때를 주로 첫날밤의 신방(新房)이라는 시공간으로 특정하며, 특히 ‘신방 엿보기’형 민담은 그 희생자를 여성으로 설정한다는 데 특수성이 인정된다. 여기에는 첫날밤의 성에 대한 공동체의 각별한 관심과 함께 폐쇄적인 성문화와 조혼 관습, 그리고 여성의 성을 피동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전통적인 성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한편, 대부분의 혼인담에서 ‘엿보기’는 금기로 설정되고, 이 금기가 깨질 때 혼인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파국을 맞는다. 이에 비해 ‘신방 엿보기’형 민담은 엿보기가 위험한 혼인으로부터 신랑 신부를 보호하기 위한 방편이라고 설명한다. 이때 엿보기는 상대의 정체를 은밀하게 탐색하는 수단이 아니라, 혼례라는 의례의 장에서 집단적이고 공공연하게 일어난다. 이 민담은 신부 살해 서사를 통해 혼인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도, 공동체의 힘으로 그 위험을 막아낼 수 있다는 낙관적 메시지도 함께 전하고 있는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어당 이상수의 「출사표구해」와 『고문석의』의 영향 = The 『Guwenxiyi (古文析義)』’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Yi Sang-soo (Eodang)’s 「Chushibiao Guhae (出師表句解)」 신재식 p. 7-36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시세계 고찰 = An examination of Gyenam Choi Sook-min's poetic world 김기림 p. 37-63

조선의 누정(樓亭) 문화에 대한 기호학적 이해 = A semiotic aspect of Joseon Neo-Confucian culture of Nu-Jeong, or Asian pavilion : focused on Choe Lip(1539~1612)’s case : 최립(崔岦, 1539~1612)의 「열승정기(閱勝亭記)」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학재 p. 65-89

<숙향전(淑香傳)>의 새 한문본, <마고외전(麻姑外傳)> 고찰 = A study on the “Mago-oejeon(麻姑外傳)”, which is the Chinese version of “Sukhyangjeon(淑香傳)” 김인경 p. 91-118

‘신방 엿보기’형 민담의 심층 = The depths of 'peeping into the bridal room' type folk tale : marriage folk tales of bride murder and ‘peeping’ : 신부 살해와 엿보기의 혼인담 김난주 p. 119-142

『시경』⋅<문왕>의 수용양상에 대하여 = Regarding the acceptance pattern of 『The Book of Odes(詩經)』’s <Mun-wang(文王)> : focusing on literary works from the Joseon Dynasty : 조선시대 문집을 중심으로 이상봉 p. 143-172

구양수(歐陽修)⋅소식(蘇軾)의 시문학 작품 속 금(琴)의 함의 = The implications of Guqin(古琴) in the poetry of Ou Yangxiu(歐陽修) and Su Shi(蘇軾) 문성호, 김민경, 김서영, 안영실, 김은희 p. 171-192

조선 후기 매듭장의 시기별 변천과 왕실 매듭의 특징 분석 = An analysis of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Maedeupjang and kno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Royal Uigwe(儀軌) : 「조선왕실의궤」의 분석을 중심으로 장경희 p. 195-230

청말민초(淸末民初) 광동성 빈랑(檳榔) 섭취 문화의 쇠퇴 = The disappearance of chewing betel nut culture in Guangdong during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김현선 p. 231-256

담약수 심학의 연원과 특징 =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Zhan Ruoshui's philosophy : 물망물조(勿忘勿助) 공부론을 중심으로 정종모 p. 257-284

천부인권 개념의 수용과 변용 =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natural rights(Cheonbu In-gwon) : focusing on 『Hakjigwang』 : 『학지광(學之光)』을 중심으로 윤상현 p. 313-338

조선말기 관료유학자 수당 이남규의 ‘자주/독립’과 ‘사대/교린’에 대한 국제질서관 연구 = A study on the view of international order on 'independence/atonomy' and 'Sadae/Kyorin(diplomatic principle)' of Lee Nam-gyu, a bureaucratic 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안외순 p. 285-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