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에서는 우리 사회 내 최대 위기 중 하나인 지역경제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최근 전국 각지의 지자체 및 지역운동가들에 의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대안으로서의 CWB(community wealth building, 이하 CWB)’ 개념에 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CWB의 정의, 역사, 기본적인 논리구조, 그리고 그 의의를 규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며, 특히 본고에서는 모범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Cleveland)시와 영국 랭커셔주 프레스턴(Preston)시 CWB의 성과를 간략하게 소개하여 CWB 개념을 보다 경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CWB 개념 및 운동의 ‘다섯 가지 원칙’에 관해 검토, 논의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결론을 대신하여 CWB와 이른바 ‘지역순환경제’ 간의 인과관계에 관해 논의하면서도 기존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는 CWB가 갖는 ‘지역순환경제’ 담론 차원의 한계에 관해서도 지적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CWB as an alternative’, which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by local governments and local activists across the country to overcome the crisis in the local economy.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develop a discussion focusing on identifying the definition, history, basic logical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CWB.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what CWB is, its definition and significance, and briefly introduce the achievements of CWB in Cleveland, Ohio, USA and Preston, Lancashire, UK, which are considered best practices. We will review and discuss the five principles of the CWB concept and movement, and finally, as a conclusion, we will discu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WB and the 'local endogenous development' and the 'local endogenous development' of CWB that appears in existing cases. I would also like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discourse level.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남동진(2023). 지역순환경제 구축 전략으로서의 Community Wealth Building: 영국 프레스턴 현장 취재 내용을 토대로“ 인천대학교 후기산업사회연구소 주최 제31회 지역순환경제 학술세미나 발제문. | 미소장 |
2 | 리카르도 페트렐라·세르주 라투슈·엔리케 두셀 지음/안성헌 옮김 (2021). 탈성장, 대장간. | 미소장 |
3 | 매튜 브라운·리안 존스(/김익성 옮김/양준호 감수(2023) ”프레스턴, 더 나은 경제를 상상하다: 쇠퇴한 지방도시에서 영국 최고의 도시로 거듭한 프레스턴 이야기“ 원더박스. | 미소장 |
4 | 양준호(2016) ‘미국 지역개발금융(CDFI)에 관한 ‘개괄적’ 고찰: 지역 사회적금융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제48권 제2호. | 미소장 |
5 | 양준호(2023a) “지역순환경제와 사회적경제: 지역재투자, CWB, 그리고 어소시에이션”, 부산사회적경제포럼 주최 토론회 발제문. | 미소장 |
6 | 양준호(2023b) “소멸되어 가던 쇠퇴 도시를 부활시킨 영국 프레스턴시의 Community Wealth Building 전략 및 사회적경제에 대한 시사점” 대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 주최 '우리 모두의 미래를위한 순환경제' 포럼 기조발제문. | 미소장 |
7 | 양준호(2023c) “진보적 대안으로서의 지역순환경제” 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주최 강연회 발제문. | 미소장 |
8 | 양준호(2023e) ‘진보적 대안으로서의 ‘지역순환경제’: 독점자본의공간 전략에 대한 시민적 저항, 통제, 계획’, “마르크스주의연구”통권 제70호. | 미소장 |
9 | 양준호·남승균·박창규·곽동혁·이점순·송지현·이상헌(2022)”시민이 주도하는 지역순환경제: 위기의 지역경제, 그 새판짜기“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10 | 양준호·박창규·송지현·현영애·이점순·이상헌·고광용(2023)”대안으로서의 지역순환경제: 반독점자본, 탈성장, 시민적 통제의 대안적 지역경제를 모색하며“ 로컬퍼스트. | 미소장 |
11 |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지음/양희승 옮김(2018)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우다“ 중앙books. | 미소장 |
12 | CLES AND URBED(2021) ‘Community-led development: a roadmap for asset ownership’, Centre for Local Economic Strategies(CLES). | 미소장 |
13 | Neil McInroy, Sarah McKinley, and Jeff Sutton(2020) A NEW era for community wealth building: Growing a democratic economy in cities across America, with lessons from Chicago. | 미소장 |
14 | The Alternative UK(2020) THE FIVE CLEAR PRINCIPLES OF COMMUNITY WEALTH-BUILDING, Rethinking Poverty. | 미소장 |
15 | Thomas M. Hanna and Marjorie Kelly(2021) ‘Community Wealth Building: The Path towards a Democratic and Reparative Political Economic System’, The Democracy Collaborative(TDC). | 미소장 |
16 | Sarah McKinley and Neil McInroy(2023) ‘Action guide for advancing COMMUNITY WEALTH BUILDING in the United States’, The Democracy Collaborative(TDC).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