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동학에서는 인간이 한울님으로 성화(聖化)된 상태를 ‘인내천(人乃天)’이라고 한다. 동학의 성ㆍ경ㆍ신은 마음에 모시고 있는 한울님을 믿고, 한울님을 공경하면서 그 가르침을 지극정성으로 실천함을 요체로 삼아 인내천의 구현이 관건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대순사상 삼요체는 종교의미의 성ㆍ경ㆍ신으로 동학 도덕 의미의 성ㆍ경ㆍ신과 구별된다. 대순사상 삼요체의 성ㆍ경ㆍ신은 도덕적 자각을 벗어나서 절대자로서 상제를 신앙한다. 이에 대순사상 삼요체로서 성ㆍ경ㆍ신은 상제 의지가 실현된 지상 선경을 그 목표로 삼는다. 지상 선경 건설에 동참하는 인간은 성ㆍ경ㆍ신 실천을 중시한다. 대순사상에서는 상제에 대한 정성과 공경 그리고 믿음을 다할 때 후천의 모든 복록이나 수명까지 무위이화로 주어진다고 말한다. 이에 대순사상 삼요체 성ㆍ경ㆍ신은 상제 모시는 종교적 신앙에 따라 상제의 강림과 천지공사(天地公事)에 그 바탕을 두고, ‘무자기(毋自欺)’의 교리 차원과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철학 차원으로 구체화한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삼요체 성ㆍ경ㆍ신을 동학사상 인내천에서 강조하는 도덕 의미와 구별되는 신앙 의미에서 이루어지게 이에 대한 비교분석을 꾀하고자 한다. 그동안 대순사상 성ㆍ경ㆍ신 삼요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동학 인내천과 비교하여 상제 신앙과 대비하는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동학사상의 도덕 의미와 대순사상의 종교 의미를 비교 분석하고자 니니안 스마트(Roderick Ninian Smart, 1927~2001)의 종교현상학 방법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종교현상의 질적 차원에 대한 비교분석을 목표로 동학 인내천의 윤리적 차원 및 법적 차원과 대순사상 삼요체의 교리적 차원 및 철학적 차원을 대비하고자 한다. 아울러 공통기반의 영성구현이 인간존엄의 삼투연동 계기임을 규명한다.

Donghak’s teaching, In-nae-cheon, means “humans are divine.” It is said, “When humans were formed, God’s blessing was required for their formation.” Donghak’s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s based on believing in God, respecting God, and practicing His teachings with utmost sincerity. These are key to implementing In-nae-cheon. On the other hand,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also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appear in a religious sense. These can be distinguished from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Donghak moral sense.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context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goes beyond moral awareness, and calls for belief in God as the Absolute. Accordingly,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is context, that of Daesoon Thought, aims at the realization of an Earthly Paradise wherein God’s will can be achieved. Humans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of Earthly Paradise value the practice of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Daesoon Thought, it is said that when one exerts sincerity, respect, and faith in God (Sangje), all the blessings and fortune of the Later World, even those of longevity, will be endowed through transformation via effortless action (無爲而化). Accordingly,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context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is based on God’s descent into the world and Hi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This is a religious faith that worships Sangje and is based on the doctrinal dimension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毋自欺)’ and the philosophical dimension of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in the context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Donghak’s In-nae-cheon and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Therefore, in order to clearly compare and analyze the moral significance of Donghak history and the religious meaning of Daesoon Thought, Roderick Ninian Smart’s method of religious phenomenology can be actively used. In this way, the ethical and legal dimensions of Donghak’s In-nae-cheon and the doctrinal and philosophical dimensions of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is style of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alization of commonly shared spirituality can be an opportunity for greater human dign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순진리회의 시간관 연구 = A study of Daesoon Jinrihoe’s view of time. 1, Focusing on time as measured and experienced. 1, 측정되고 경험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차선근 p. 1-40

해월의 동학 도통전수 담론 연구 = A study on the discourse regarding the lineage transmission to Haewol in the eastern learning : focused on document verification :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박상규 p. 41-155

종교박물관의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of religiously-themed museums : focused on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 대순진리회박물관을 중심으로 김진영 p. 157-198

동학교 ‘도로 선천(先天)’사상의 내용과 의의 =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return to the former world’ in Donghak-gyo 김탁 p. 199-237

신종교의 영상 콘텐츠 활용 현황과 과제, 그리고 제언 =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utilizing Daesoon Jinrihoe’s video content : focusing on the film, the road of peace and harmony, and the videos of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물을 중심으로 박종수 p. 239-268

동학 인내천과 대순사상 삼요체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Donghak’s In-nae-cheon and the three essential attitudes in Daesoon thought 김용환 p. 269-303

7~8세기 중국 고승전의 정형화와 다양화 =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Chinese biographies of the eminent monks in the 7th and 8th century 정천구 p. 305-335

종교 문화유산의 가치 인식과 선제적 보전 기반 마련 = Recognizing the value of religious cultur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preemptive preservation foundation : a case study on cultural heritage as observed at the headquarters of Daesoon Jinrihoe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문화유산을 사례로 류호철 p. 337-374

대순진리회의 상생생태론 연구 = The Sangsaeng ecological theory of Daesoon Jinrihoe : focusing on the meaning of Sangsaeng : 상생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귀만 p. 375-406

후한 영제(靈帝) 시기 민중 봉기와 그 배경 = The relationship between Yellow Turban Rebellion and displaced persons : the entangled influence of the economy, natural disasters, civil wars, and refugees : 재정·자연재해·내란의 상호영향 최진열 p. 407-443

대순사상에서 ‘인사(人事)’의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meaning of ‘human affairs’ in Daesoon thought : focusing on its relation to ‘the way of heaven’ : ‘천도(天道)’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의성 p. 445-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