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생들의 기초 쓰기 양상 탐구 = Exploring basic writing aspects of elementary students : based on error analysis of a sentence dictation test of second-grade students : 2학년 학생들의 문장 받아쓰기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이용준, 김경환 p. 13-42
다문서 기반의 지식 구성 과정으로서 초등 임용고사 교직 논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Review of essay for teaching profess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a multiple document-based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장성민 p. 43-70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협동적 읽기-쓰기 수행 양상 연구 = Digital-based collaborative reading-writ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채은, 김세연 p. 71-105
초등학생의 과학 글쓰기에서 명사화 실현과 어휘 사용 양상 분석 = Analysis of the use of nounization and the use of vocabulary in science writ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장동민 p. 107-144
신수사학 논증 모형의 위상과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창안의 문제 = Educational status of the new rhetoric's argument model and the issue of invention in thesis genre education 민정호 p. 147-170
학부 유학생의 온라인 기계번역 활용 양상 및 교수자의 인식 =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use of online machine translation and instructor perceptions : focusing on Korean writing : 한국어 작문을 중심으로 최지영 p. 171-205
과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를 중심으로"> ‘겹쳐 읽기’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읽기 방안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university reading education using intertextual reading : focused on utilizing Lee Kwang-soo's "Moojeong" & Kim Keum-hee's "Too Bright Midday for Romance" : 이광수의 <무정>과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를 중심으로 윤정화 p. 207-233
핵심역량 중심의 <대학글쓰기>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core competency-centered <college writing> class operation : focusing on Dankook University class cases : 단국대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임선숙 p. 235-258
텍스트 읽기와 영상 보기에 따른 학생 반응글의 양과 질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student response writings between reading text and watching video : focusing on the classic 'The Old Man and the Sea' : 고전 ‘노인과 바다’를 중심으로 이지영 p. 259-292
메타버스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의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in metaverse-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 C대학의 <북 챌린지>를 중심으로 최영민, 이상민 p. 293-319

디지털 공감능력과 참여 역량 함양을 통한 디지털 시민성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citizenship by cultivating digital empathy and participation capabilities : digital empathy and social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people in their 20s : 20대의 디지털 공감과 사회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류숙 p. 321-347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작문 교육 = Writing education for sutainable life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reflection and value of communication through writing : 글쓰기를 통한 성찰의 가능성과 소통의 가치에 주목하여 장지혜 p. 349-376
위험 리터러시 기반 안전 및 건강 관련 초등영어 교재 구성의 방향 = Direction of designing primary teaching materials related to safe and health based on risk literacy 김진석, 장은숙 p. 377-408
일본의 정보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 현황 =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Japan 윤유라, 김민정, 이은주 p. 409-432
이해조 신소설에서의 사실성의 의미와 지향의 변화 = Changes in the meaning and orientation of reality in the new novel in Lee Hae-jo : centering on "Gumageom"(1908), "Sancheonchomok"(1912), and "HwauiHyeol"(1911) : 「구마검」(1908), 「산천초목」(1912), 「화의 혈」(1911)을 중심으로 이정용 p. 433-465
운동 = Poetry creation education plan using movement-images : 이미지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박한라 p. 467-491
<아기장수> 전설의 현대적 변용과 스키마 = The modern transformation and schema of "The Agijangsu(Baby Hero)" 류정월 p. 493-515
‘경주유람’가류 가사작품의 전승양상과 작품세계 = Transmission patterns and the world of works of "Gyeongjuyuram" type Gasa 이재빈 p. 517-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