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이형기의 소설, 『석가모니』를 연구 대상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고 의미를 찾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나아가 불교적 세계관이 다른 장르에까지 확장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본고에서는 『석가모니』 소설이 지닌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석가모니라는 인물의 일대기를 통해, 불교교리의 핵심 중 하나인 사성제를 강조하고 불교사상을 자연스럽게 형상화하였다. 둘째 신이 아닌 인간적인 면모의 석가모니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셋째 불교를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불교 용어의 유래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는 부처님의 말씀이 2600여 년의 것만이 아닌, 현대에도 여전히 유용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종교소설이 지닌 특징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형기 문학에 있어 불교적 세계관과 사상은 시뿐만 아니라 소설 여타 다른 장르에까지 유기적으로 확장되어, 장르적 다양성이 드러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형기의 소설, 『석가모니』를 학술적으로 연구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계 미국작가의 탈북서사와 기독교 재현 = North Korean refugee narratives and the representation of Christianity in the work of Korean-American writers Helie Lee and Krys Lee : 이혜리와 크리스 리를 중심으로 노은미 p. 1-21

박완서와 공지영의 그리스도교 해석과 생활종교 = Christianity and lived religion : a case study of Korean Catholic women writers Park Wansuh and Gong Jiyoung 양혜원 p. 23-42

<위트>를 통해 본 존엄한 죽음과 웰다잉 고찰 = A study about the dignified death and well-dying through Wit 강준수 p. 43-60

이형기 『석가모니』의 교리 및 인간적 면모 연구 = A study on the doctrines and human aspects of Lee Hyeong-gi’s novel, Sakyamuni 남진숙 p. 61-83

“여인과 그림과 계절”의 타블로 비방 = A Tableau Vivant of ‘woman and painting and season’ : Linda Pastan’s ‘Ethics’ and Rembrandt : 린다 패스턴의 「윤리학」과 렘브란트 백정국 p. 109-135

오해된 낙관주의 = The optimism, misunderstood : between Volataire’s Candide and Leibniz’s Theodicy : 볼테르의 『캉디드』와 라이프니츠의 『변신론』 사이 이성근 p. 137-165

‘영성 다시 보기’ = ‘Rediscovering spirituality' [서평] 한금윤, 김용성 [평] p. 167-184

밀턴의 서사시적 영웅에 관한 재조명 = Revisiting Milton’s epic hero : divine justice and human freedom in Paradise Lost : 『실낙원』에 나타난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자유 박현경 p. 85-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