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 무용 전공 중국 유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무용참여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규명하고 학교지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통제력이 인지적욕구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통제력과 긍정성이 행동적욕구와 정의적욕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력, 긍정성과 인지적욕구, 정의적욕구의 관계에서 교수지원은 부분매개하였고, 통제력, 긍정성과 정의적욕구의 관계에서 동료학생지원은 부분매개하였으며, 통제력과 행동적욕구, 정의적욕구의 관계에서 학교분위기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들을 위한 지원과 관리 제도의 구체적인 체계성 확보, 회복탄력성을 활용한 무용 전공 중국 유학생들의 학업생활 개선 방안 마련을 시사점으로 도출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상제작 수업, 창작과 지도의 어려움 그리고 생각해 볼 수 있는 해결 방법들 = Video production classes, creative and instructional challenges, and possible solutions 김삼력 p. 1-16

미디어아트가 예술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impact of media art on art education 진승현, 이보림 p. 17-34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An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using big data 김근혜 p. 35-49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emotional expression and stress coping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송영 p. 51-68

평가 관련 연구 동향 = Trends of evaluation research in international music education journals : 음악교육 분야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정윤정 p. 69-87

중국 청소년의 악기 학습경험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장 마인드셋과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adolescents' musical instrument learning experiences,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growth mindset :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nd gender : 학교와 성별의 조절효과 유선성 p. 89-109

방탄소년단(BTS)와 백남준 작품의 접점을 활용한 세대통합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Direction of intergenera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intersections of BTS contents and Nam June Paik's works 주영광 p. 111-129

뮤지컬 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 A trend analysis of musical theatr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민예진 p. 131-143

21세기 관현악 관련 연구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21st century orchestral music research 추상희, 최진호 p. 145-159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에서 CRAFT 모형 활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using CRAFT model in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for training art and culture educators 안혜리 p. 161-181

성인 학습자의 경력탐색 측면에서의 근거리학습지원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미 = Meaning of participation in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of the short-distance learning support center in terms of career exploration of adult learners 문주영, 현은령 p. 183-202

(A) study on spatiality and performativity of Korean immersive theatre = 국내 이머시브 연극의 장소성과 수행성에 대한 연구 Jin, Hyunchung, Cho, Joonhui p. 203-216

리 스트라스버그의 매소드 연기론을 활용한 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acting technique of Lee Strasberg and acting education 박서연, 송낙원 p. 217-232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Estill Voice Training) 훈련이 배우의 음성 공명 개선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still voice training (EVT) on improving actors' vocal resonance : a case 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applying EVT to enhance vocal resonance in actors : EVT를 적용한 실험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이아름, 조준희 p. 233-253

황무봉류 기본춤의 호흡 분석 연구 = A study on breathing analysis of Hwang, Mu-bong style basic dance 유혜진 p. 255-274

재능탐색자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화 = Exploring and validating the factor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er 김수진, 태진미 p. 275-295

무용 전공 중국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무용참여욕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covery elastic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their desire to participate in dance :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support : 학교지원의 매개효과 김규진 p. 297-311

양리핑(楊麗萍)의 <공작의 영(孔雀之靈)>의 안무 요소와 미학적 가치 = The choreographic elements and aesthetic values of Yang Liping's 「The Soul of Peacock」 고청여 p. 313-334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를 적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person-centered expressive art therapy 정주원 p. 335-355

미술관 교육 관점에서 조명한 미술관 건축 = Transitions in art museum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al role of art museums 이혜진 p. 357-376

프로젝트 기반 음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in project-based music education 한송이 p. 377-391